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HSK 3-5급 〈쓰기1〉 영역 출제경향 분석 - 2014년, 2018년 기출문제집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37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기
      • Ⅱ. 기존 연구 검토
      • Ⅲ. 2009년 어법대강과 2015년 어법대강 분석
      • Ⅳ. 2014년, 2018년 등급별 기출문제 분석
      • Ⅴ. 나가기
      • Ⅰ. 들어가기
      • Ⅱ. 기존 연구 검토
      • Ⅲ. 2009년 어법대강과 2015년 어법대강 분석
      • Ⅳ. 2014년, 2018년 등급별 기출문제 분석
      • Ⅴ. 나가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경숙, "현대중국어 이음절 형용사 AABB식과 ABAB식 중첩의 비교 및 교육 방안 - 신HSK 6급 단어 분석 위주 -" 한국중국언어학회 (57) : 73-100, 2015

      2 박용진, "현대중국어 교육어법 연구" 학고방 2005

      3 박애화, "한국 학생 新HSK 4級 쓰기 偏誤 분석" 동아인문학회 (26) : 145-160, 2013

      4 김미순, "초·중급 중국어능력평가 양상에 따른 중국어교육에 대한 소고 ― SATⅡ와 AP 및 신HSK3급과 5급 간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68) : 127-155, 2011

      5 위수광, "중국어교육문법체계 마련을 위한 考察 ― 『国际大纲(2014)』과 『新HSK大纲(2015)』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64) : 121-145, 2018

      6 김미순, "중국어 의사소통능력 평가 및 교수⋅학습을 위한 제언 ― 신HSK3급과 SATⅡ의 문항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중국언어학회 (35) : 443-470, 2011

      7 위수광, "중국어 교육문법" 박이정 2012

      8 문정혜, "새로운 중국어평가방식(新HSK)도입에 따른 문법교육에 대한 소고(小考) ― 新HSK 필기평가(5급)을 중심으로" 중국연구센터 17 : 225-254, 2012

      9 성윤숙, "새로운 중국어능력평가방식 新HSK 분석연구 - 新HSK 5급과 舊HSK 초·중급의 비교를 중심으로 -" 언어과학회 (54) : 41-82, 2010

      10 朴恩婷, "新舊『汉语水平考试(HSK)大纲』对比分析" 山东大学 2012

      1 구경숙, "현대중국어 이음절 형용사 AABB식과 ABAB식 중첩의 비교 및 교육 방안 - 신HSK 6급 단어 분석 위주 -" 한국중국언어학회 (57) : 73-100, 2015

      2 박용진, "현대중국어 교육어법 연구" 학고방 2005

      3 박애화, "한국 학생 新HSK 4級 쓰기 偏誤 분석" 동아인문학회 (26) : 145-160, 2013

      4 김미순, "초·중급 중국어능력평가 양상에 따른 중국어교육에 대한 소고 ― SATⅡ와 AP 및 신HSK3급과 5급 간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68) : 127-155, 2011

      5 위수광, "중국어교육문법체계 마련을 위한 考察 ― 『国际大纲(2014)』과 『新HSK大纲(2015)』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64) : 121-145, 2018

      6 김미순, "중국어 의사소통능력 평가 및 교수⋅학습을 위한 제언 ― 신HSK3급과 SATⅡ의 문항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중국언어학회 (35) : 443-470, 2011

      7 위수광, "중국어 교육문법" 박이정 2012

      8 문정혜, "새로운 중국어평가방식(新HSK)도입에 따른 문법교육에 대한 소고(小考) ― 新HSK 필기평가(5급)을 중심으로" 중국연구센터 17 : 225-254, 2012

      9 성윤숙, "새로운 중국어능력평가방식 新HSK 분석연구 - 新HSK 5급과 舊HSK 초·중급의 비교를 중심으로 -" 언어과학회 (54) : 41-82, 2010

      10 朴恩婷, "新舊『汉语水平考试(HSK)大纲』对比分析" 山东大学 2012

      11 崔蕾, "新舊HSK考试大纲对比研究與全项应试辅导" 河北师範大学 2013

      12 国家汉辦/孔子學院總部, "新汉语水平考试大纲" 商務印書館 2010

      13 国家汉语国际推廣领导小组办公室, "新汉语水平考试大纲" 人民教育出版社 2015

      14 王小语, "新汉语水平考试(HSK)五级完成句子题型常见错误及教学对策" 天津师範大学 2018

      15 郭上瑋, "新汉语水平考试(HSK)1~3级语法项目调查分析" 上海师範大学 2017

      16 박경송, "新HSK의 화제범주와 항목 분석 -新HSK 4~6급(듣기, 독해)을 중심으로-"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8) : 265-284, 2018

      17 이춘령, "新HSK应试策略解析" 중국인문학회 (63) : 169-184, 2016

      18 焦璇, "新HSK完成句子题“教—学—考”三维提分策略研究" 鲁东大学 2016

      19 周丽, "新HSK大纲及试题研究" 黑龙江大学 2017

      20 韦钰, "新HSK四级考查语言點探析" 华中师範大学 2013

      21 钱袁, "新HSK四级书写部分“完成句子”试题與教学对策研究" 山东大学 2018

      22 曹晓阳, "新HSK四级书写“完成句子”试题分析及对韩教学研究" 湖南大学 2017

      23 卓彩, "新HSK四级书写(完成句子)题型分析及应试建议" 华中师範大学 2014

      24 曾文松, "新HSK四级“完成句子”题型的调查及教学策略" 重庆师範大学 2019

      25 闫瑾, "新HSK四、五级书写部分偏误研究" 鲁东大学 2015

      26 江敏⋅尉亮, "新HSK五级考试写作试题题型分析和教学启示" (350) : 128-130, 2013

      27 禹玲, "新HSK五级“完成句子”题教学策略研究" 河北师範大学 2018

      28 章越, "新HSK三级连词成句题型的分析研究" 安徽大学 2017

      29 邹艳丽, "新HSK4级排列顺序题型研究" 华中师範大学 2016

      30 이지은, "新HSK 5·6급 독해 영역 어휘의 코퍼스 분석" 언어정보연구소 25 : 159-180, 2015

      31 梁宇霜, "新 HSK1-6级真题句型研究" 廣西民族大学 2014

      32 韦靓, "基於新HSK五级书写题型的语言测试分析及教学建议" 渤海大学 2016

      33 国家汉语国际推廣领导小组办公室, "国际汉语教学通用课程大纲" 北京语言大学出版社 2014

      34 위수광, "国际大纲(语法:2014)의 중국어 교육문법체계 고찰 - 国际大纲(语法:2008)과 비교를 토대로 -" 한국중국언어학회 (73) : 309-338, 2017

      35 孔子学院总部·国家汉办编制, "『汉语水平考试真题集』 第三级, 第四级, 第五级" 高等教育出版社 2014

      36 孔子学院总部·国家汉办编制, "『汉语水平考试真题集』 第三级, 第四级, 第五级" 人民教育出版社 2018

      37 朴庆珍, "『新汉语水平考试真题集』(HSK五级)试题研究" 黑龙江大学 2015

      38 위수광, "『国际汉语教学通用课程大纲(语法)』와 『新HSK大纲(语法)』의 비교분석 ― 『新HSK大纲(语法)』에서 체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중국언어학회 (34) : 287-317, 2011

      39 문정혜, "‘新HSK’ 필기평가(6급)에서의 문법교육 一考" 중국어문학연구회 (77) : 313-340, 2012

      40 管洪, "HSK五级书写部分测试分析及能力提升建议" 重庆师範大学 2019

      41 姜春雪, "HSK五级书写专项教学研究" 哈尔滨师範大学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1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Chinese Teaching and Studies ->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Research KCI등재
      2011-08-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Teaching ->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6-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국어교육학회 -> 한국중국어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Teaching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4 0.472 0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