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헤겔 역사철학에 있어서 이성의 근거설정 문제 = The Self-ground of Reason in Confrontation with Theod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93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헤겔 역사철학에 나타난 이성의 자기실현 문제를 반사실적 가정 비판과 연착륙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이 문제는 헤겔 철학의 현재성을 검증하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지엽적인 문제가 아니라 본질적인 문제에 속한다. 현대성에 도전하는 헤겔의 이성개념은 이성에 대한 현대의 비판 못지않게 현대적 사유의 빈곤을 비판하는 척도로 작용한다. 자유의식의 진보로서의 이성의 자기실현은 역사의 궁극적인 척도로 작용한다. 반대로 현대의 이성비판은 이 척도를 비판함으로써 헤겔을 한계지우려고 한다. 하지만 헤겔 비판을 비판하는 가운데서 헤겔 역사철학의 현재성이 분명하게 설정된다는 전제가 성립하듯이 헤겔을 통한 현대철학의 이성 비판은 충분히 비판적으로 재검토되지 않으면 안 된다. 철학은 사고로 파악된 시대의 정신이라는 헤겔을 비판적으로 검증하는 것은 이 점에서 피할 수가 없다. 헤겔은 궁극성을 현실화한다는 요구 아래 역사의 사실을 물은 것이 아니라 사실이 완성하지 않으면 안 되는 역사의 이념을 묻고 있다. 이 물음이 현대철학의 이성비판이라는 도전에 직면해서 비록 재구성될 여지를 남겨둔다고 해도 헤겔의 역사이념은 현대적 사유의 흐름이 처한 빈곤과 불충분성을 드러내는 비판의 척도로 작용하는 것 역시 사실이다. 이 글은 한 학파를 형성하거나 변호하려는 의도에서가 아니라 한 시대를 만들 수 있다는 헤겔 본래의 요구에 따라 구성되고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헤겔 역사철학에 나타난 이성의 자기실현 문제를 반사실적 가정 비판과 연착륙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이 문제는 헤겔 철학의 현재성을 검증하는 중요한 문제...

      이 글은 헤겔 역사철학에 나타난 이성의 자기실현 문제를 반사실적 가정 비판과 연착륙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이 문제는 헤겔 철학의 현재성을 검증하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지엽적인 문제가 아니라 본질적인 문제에 속한다. 현대성에 도전하는 헤겔의 이성개념은 이성에 대한 현대의 비판 못지않게 현대적 사유의 빈곤을 비판하는 척도로 작용한다. 자유의식의 진보로서의 이성의 자기실현은 역사의 궁극적인 척도로 작용한다. 반대로 현대의 이성비판은 이 척도를 비판함으로써 헤겔을 한계지우려고 한다. 하지만 헤겔 비판을 비판하는 가운데서 헤겔 역사철학의 현재성이 분명하게 설정된다는 전제가 성립하듯이 헤겔을 통한 현대철학의 이성 비판은 충분히 비판적으로 재검토되지 않으면 안 된다. 철학은 사고로 파악된 시대의 정신이라는 헤겔을 비판적으로 검증하는 것은 이 점에서 피할 수가 없다. 헤겔은 궁극성을 현실화한다는 요구 아래 역사의 사실을 물은 것이 아니라 사실이 완성하지 않으면 안 되는 역사의 이념을 묻고 있다. 이 물음이 현대철학의 이성비판이라는 도전에 직면해서 비록 재구성될 여지를 남겨둔다고 해도 헤겔의 역사이념은 현대적 사유의 흐름이 처한 빈곤과 불충분성을 드러내는 비판의 척도로 작용하는 것 역시 사실이다. 이 글은 한 학파를 형성하거나 변호하려는 의도에서가 아니라 한 시대를 만들 수 있다는 헤겔 본래의 요구에 따라 구성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abermas, J., "heorie und Praxis" Suhrkamp 1971

      2 "Wissenschaft der Logik, (Hg. von G.Lasson)" Hamburg 1963

      3 Löwith, K, "Von Hegel zu Nietzsche. Der revolutionäre Bruch im Denken des 19.Jahrhunderts" Hamburg 1978

      4 Heinzmann, R., "Thomas von Aquin. Eine Einführung in sein Denken" Kohlhammer 1994

      5 Paton, H.J, "The categorical Imperative" Hutschinson 1970

      6 Paton, H.J, "The categorical Imperative" Hutschinson 1970

      7 Aquinas, T, "The Summa Theologica" Random 1945

      8 Baumeister, "Th Hegels frühe Kritik an Kants Ethik" Heidelberg 1976

      9 Hogrebe, W, "Subjektivität" Wihlelm Fink 1998

      10 Lakebrink, B, "Studien zur Metaphysik Hegels" Rombach 1969

      1 Habermas, J., "heorie und Praxis" Suhrkamp 1971

      2 "Wissenschaft der Logik, (Hg. von G.Lasson)" Hamburg 1963

      3 Löwith, K, "Von Hegel zu Nietzsche. Der revolutionäre Bruch im Denken des 19.Jahrhunderts" Hamburg 1978

      4 Heinzmann, R., "Thomas von Aquin. Eine Einführung in sein Denken" Kohlhammer 1994

      5 Paton, H.J, "The categorical Imperative" Hutschinson 1970

      6 Paton, H.J, "The categorical Imperative" Hutschinson 1970

      7 Aquinas, T, "The Summa Theologica" Random 1945

      8 Baumeister, "Th Hegels frühe Kritik an Kants Ethik" Heidelberg 1976

      9 Hogrebe, W, "Subjektivität" Wihlelm Fink 1998

      10 Lakebrink, B, "Studien zur Metaphysik Hegels" Rombach 1969

      11 Henrich, D, "Selbstverhältnisse" Reclam 1982

      12 Henrich,D., "Selbstverhältnisse" Reclam 1982

      13 Riedel, M, "Rehabilitierung der praktischen Philosophie. Bde2" Rombach Freiburg 1972

      14 Cooper, J. M, "Reason and Human Good in Aristotle" Hacket 1986

      15 Beierwaltes, W, "Platonismus im Christentum" Vittorio Klostermann 1998

      16 "Phänomenologie des Geistes, (Hg. von J.Hoffmeister)" Hamburg 1952

      17 "Nikomachische Ethik," Hamburg 1985

      18 Taylor, C., "Negative Freiheit? Zur Kritik des neuzeitlichen Individualismus" Suhrkamp 1988

      19 Adorno, T.W, "Negative Dialektik" Suhrkamp 1971

      20 Bittner, R, "Moralisches Gebot oder Autonomie" Alber 1983

      21 Ritter, J., "Metaphysik und Politik" Suhrkamp 1969

      22 Weckwert, C, "Metaphysik als Phänomenologie. Eine Studie zur Entstehung und Struktur der Hegelschen "Phänomenologie des Geistes"" Königshausen&Neumann 2000

      23 Aristoteles, "Metaphysik" Hamburg 1982

      24 Köhl, H, "Kants Gesinnungsethik" Walter de Gruyter 1990

      25 Langhaler, R, "Kants Ethik als System der Zwecke. Perspektiven einer modifizierten Idee der moralischen Teleologie und Ethikotheologie" Walter de Gruyter 1991

      26 Prauss, G, "Kant über Freiheit als autonomie" Vittorio Klostermann 1983

      27 Höffe, O, "Immanuel Kant" München 1983

      28 Theunissen, M, "Hegelslehre vom absoluten Geist als theologisch-politischer Traktat" Berlin 1970

      29 Tuschling,B, "Hegels Philosophie des subjektiven Geistes" Stuttugart-Bad Cannstatt 1991

      30 Marquard, O, "Hegel und das Sollen, in: Philosophisches Jahrbuch der Görres-Gesellschaft" 1964

      31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Hamburg 1955

      32 Marx, K, "Gesamtausgabe" Berlin 1972

      33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im Grundrisse 1830

      34 Schorer, E, "Die Zweckethik des hl. Thomas von Aquin als Ausgleich der formalistischen Ethik Kants und der materialen Wertethik Schelers" Albert-Magnus 1937

      35 Schulz, W, "Die Vollendung des Deutschen Idealismus in der Spätphilosophie Schellings" Sttuttgart 1955

      36 "Die Vernunft in der Geschichte (Hg.von J.Hoffmeister)" Hamburg 1955

      37 Horstmann, R-P, "Die Grenzen der Vernunft. Eine Untersuchung zu Zielen und Motiven des Deutschen Idealismus" Athenäum 1995

      38 Kondylis, P., "Die Entstehung der Dialektik. Eine Analyse der geistigen Entwicklung von Hölderlin, Schelling und Hegel bis1802" Stuttgart 1982

      39 "Die Aufhebung des Idealismus in der Spätphilosophie Schellings" 1976

      40 Fulda, H-F, "Das Problem einer Einleitung in Hegels Wissenschaft der Logik" Frankfurt 1965

      41 Blühdorn, J., "Das Gewissen in der Diskussion, (Hg.von.der)" Darmstadt 1976

      42 Korsgaard, C.M, "Creating the Kingdom of Ends" Cambridge 1996

      43 Wildt, A, "Autonomie und Anerkennung" Klett-Cotta 1982

      44 Siep, L, "Anerkennung als Prinzip der praktischen Philosophie. Untersuchungen zu Hegels Jenaer Philosophie des Geistes" Alber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6 1.32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