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해안 ‘해류’ 구분법과 ‘무대’에 관한 민속지식 - 서해안 ‘물때’와 비교의 관점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40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삼면이 바다인 한국 해양문화의 특징 중 하나가 조석현상에 관한 민간지식의 발달이다. 이 연구는 조석현상이 발달하지 않은 동해안 어민문화에서는 서해안 및 남해안의 ‘물때’에 대응하...

      삼면이 바다인 한국 해양문화의 특징 중 하나가 조석현상에 관한 민간지식의 발달이다. 이 연구는 조석현상이 발달하지 않은 동해안 어민문화에서는 서해안 및 남해안의 ‘물때’에 대응하는 지역 고유의 해양환경에 대한 문화적 관심은 무엇인지를 발견하고, 한국의 해양환경과 어민문화의 다양성과 보편성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이 글은 울진군 후포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해안 어민들이 ‘해류’틀 구분하고 인지하는 방식 및 ‘무대’의 개념을 밝힌다. 먼저 ‘물’의 명칭체계를 분석하여 물이 홀러가는 방위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해류’의 민속분류법을 찾아내고, 이것이 동해 해류의 특성 및 어로활동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물의 방향 및 세기와 관련된 바닷물의 흐름을 가리키는 ‘무대’의 개념과 특징을 네 가지 차원에서 ‘물때’와의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서해안 어민들이 밀물과 썰물을 구분할 때, 동해안 어민들은 설물과 맛물을 구분한다. 무대는, 물때와 달리, 비주기성을 특징으로 하는 바닷물의 흐름이며, 동해안 어민들의 어로활동은 이 ‘무대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이 연구는 조석의 유무 차원에서 서해안과 동해안 어민들이 처해 있는 바다 환경은 다르지만, 어업 생산성 및 안전 문제에서 항시 불확실성이 높은 바다에서 일하는 어민들에게 바닷물의 흐름과 그 속성은 중요한 공통의 관심사임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n fishers’ culture, folk knowledge about tide has developed. It is the ‘multtae’(tide time) system that is passed down in the West and South Seas.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is the cultural interest of fishers in the East Sea for the...

      In Korean fishers’ culture, folk knowledge about tide has developed. It is the ‘multtae’(tide time) system that is passed down in the West and South Seas.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is the cultural interest of fishers in the East Sea for the regional marine environment that responds to the ‘multtae’, and to understand the diversity and universality of Korean marine environment and fisher culture. Focusing on the case of Hupo in Uljin-gun, this article clarifies how fishers in the East Sea classify and perceive ‘mul’(water), and examines the concept of ‘mudae’(water current). First, I analyze the terminology of ‘mul’ to find a folk taxonomy of ‘sea currents’ that are classifi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flows, and examine how this relat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currents and fishing activities. And I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dae’, which refers to the flow of seawater related to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water,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ison with the ‘multtae’ in four dimensions. When fishers in the West Sea distinguish between ‘milmul’(rising tide) and ‘sseolmul’(ebb tide), fishers in the East Sea distinguish between ‘seolmul’(water flowing north) and ‘matmul’(water flowing south). Unlike the ‘multtae’, the ‘mudae’ is a flow of seawater characterized by aperiodicity based on irregular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speed of seawater, and the fishing activities of East Sea fishers take place ‘along the mudae’. Although the sea environment in which fishers in the West and East Seas face is different in term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ide, the flow of seawater and its properties are an important common concern for fishers working in the sea, where there is always a high degree of uncertainty in terms of fishing productivity and saf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후포 어민들의 어로활동
      • Ⅲ. 동해안 ‘해류’의 명칭과 구분법
      • Ⅳ. 동해안 ‘무대’와 서해안 ‘물때’의 개념 비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후포 어민들의 어로활동
      • Ⅲ. 동해안 ‘해류’의 명칭과 구분법
      • Ⅳ. 동해안 ‘무대’와 서해안 ‘물때’의 개념 비교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정현, "항구민속지 시론:울진 후포항을 사례로" 3 : 2014

      2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3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경상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4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전라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5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1 :서편" 교문사 2009

      6 왕한석, "한국의 물때 체계: 그것의 구분법과 지역적 변이 그리고 실학자들의 이른 기술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51 (51): 9-63, 2018

      7 홍재상, "한국의 갯벌" 대원사 1998

      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9 송기태, "한국 물때력(潮汐曆)의 두 체계 -‘7물때식‧8물때식’의 실효성과 의도성에 대한 추론-" 비교민속학회 (72) : 161-203, 2020

      10 박남일,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 서해문집 2004

      1 조정현, "항구민속지 시론:울진 후포항을 사례로" 3 : 2014

      2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3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경상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4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전라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5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1 :서편" 교문사 2009

      6 왕한석, "한국의 물때 체계: 그것의 구분법과 지역적 변이 그리고 실학자들의 이른 기술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51 (51): 9-63, 2018

      7 홍재상, "한국의 갯벌" 대원사 1998

      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9 송기태, "한국 물때력(潮汐曆)의 두 체계 -‘7물때식‧8물때식’의 실효성과 의도성에 대한 추론-" 비교민속학회 (72) : 161-203, 2020

      10 박남일,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 서해문집 2004

      11 장태진, "조수어휘의 연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2 (12): 1969

      12 이기복, "조석ㆍ조간대의 인식과 어업민속의 전개:부안연안지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02

      13 최병주,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로 추정한 동해 표층해류와 공간분포 변동성" 한국해양학회 17 (17): 225-242, 2012

      14 남효선, "울진지방 전통문화의 원형을 찾아-1: 협업노동의 정수 ‘멸치후리’의 본 고장, 울진 후포항"

      15 "울진군청 홈페이지"

      16 백인기, "울릉도와 독도의 거리와 해류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17 국립해양조사원, "우리바다 우리해양지명"

      18 조숙정,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 현황과 과제" 민속학연구소 (36) : 69-102, 2018

      19 조정현, "어촌의 공유자원과 마을굿의 함수관계"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5 : 2012

      20 조정현, "어촌민속의 세계와 어업" 민속원 2013

      21 조숙정, "바람에 관한 서해 어민의 민속지식" 비교문화연구소 21 (21): 291-328, 2015

      22 조숙정, "바다 생태환경의 민속구분법 : 서해 어민의 문화적 지식에 관한 인지인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3 권삼문, "동해안 어촌의 민속학적 이해" 민속원 2001

      24 왕한석, "국어학연구:남천 박갑수 선생화갑 기념 논문집" 태학사 1994

      25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2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7 이경미, "경남 어촌민속지" 국립민속박물관 2002

      28 박구병, "韓國漁業史" 정음사 1975

      29 윤근섭, "韓國漁村의 社會移動에 관한 硏究:厚浦里의 事例調査를 中心으로"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1 : 1984

      30 厚浦洞中老班契, "鄕土史硏究厚浦洞誌, 후포동중노반계"

      31 이숭녕, "西海島嶼調査報告" 을유문화사 1957

      32 구만옥, "朝鮮後期 潮汐論과 ‘東海無潮汐論’"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11 : 2001

      33 한상복, "厚浦隣近 農山漁村의 通婚圈과 初婚年齡" 한국문화인류학 15 : 1983

      34 조숙정, "Tide and Time: Korean Fishermen's Traditional Knowledge of Multtae in Gomso Bay" 국립민속박물관 (13) : 205-220, 2018

      35 박주은, "1991년부터 2017년까지 표층 뜰개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동해의 평균 표층 해류와 해류 변동성" 한국해양학회 24 (24): 208-225,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0.7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