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편지를 활용한 국어와 한국사의 융합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History Using Hangeul Letters of the Joseon Dynasty3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4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how possibility and a method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it will be shown that how grammar education included in ‘언어와 매체’ can be integrated with history education about late Joseon dynasty in ‘한국사’ using specific material, ‘Hangeul letters of 19th century’ in high school curriculum.
      Hangeul letters of Joseon dynasty are greatly important material in a study of Korean language history because they show spoken language at that time, a variety of vocabulary about everyday life and specific style and expressions of letter writing genre. They are also very important in a study of Korean history of Joseon dynasty because they include contents related to social circumstance besides private lives at that time. In particular, Hangeul letters of 19th century show various situations related to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n.
      Therefore Hangeul letters can be very useful material to integr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show possibility and a method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it will be shown that how grammar education included in ‘언...

      This paper aims to show possibility and a method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it will be shown that how grammar education included in ‘언어와 매체’ can be integrated with history education about late Joseon dynasty in ‘한국사’ using specific material, ‘Hangeul letters of 19th century’ in high school curriculum.
      Hangeul letters of Joseon dynasty are greatly important material in a study of Korean language history because they show spoken language at that time, a variety of vocabulary about everyday life and specific style and expressions of letter writing genre. They are also very important in a study of Korean history of Joseon dynasty because they include contents related to social circumstance besides private lives at that time. In particular, Hangeul letters of 19th century show various situations related to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n.
      Therefore Hangeul letters can be very useful material to integr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소재’를 중심으로 한 국어 교과와한국사 교과의 융합교육 가능성과 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19세기 한글편지’ 자료를 중심으로,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교과목에 포함된 문법 교육과 ‘한국사’ 교과목에서 다루는 조선 후기 역사 교육을 연계하는 방안을제시할 것이다. 조선시대 한글편지는 당대의 구어를 반영하고 다양한 일상의 어휘를 포함하고 있으며, 서간문 갈래의 형식과 특유의 생략 표현 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국어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인 동시에, 지극히 사적(私的)인 사연과 함께 당대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내용 역시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특히 19세기의 한글편지에는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상황을 반영하는 내용이 자주 발견되므로, 하나의 자료를 중심으로 국어 교육과 한국사 교육을 함께 수행하는 데 유용하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소재’를 중심으로 한 국어 교과와한국사 교과의 융합교육 가능성과 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19세기 한글편지’ 자료를 중심...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소재’를 중심으로 한 국어 교과와한국사 교과의 융합교육 가능성과 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19세기 한글편지’ 자료를 중심으로,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교과목에 포함된 문법 교육과 ‘한국사’ 교과목에서 다루는 조선 후기 역사 교육을 연계하는 방안을제시할 것이다. 조선시대 한글편지는 당대의 구어를 반영하고 다양한 일상의 어휘를 포함하고 있으며, 서간문 갈래의 형식과 특유의 생략 표현 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국어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인 동시에, 지극히 사적(私的)인 사연과 함께 당대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내용 역시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특히 19세기의 한글편지에는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상황을 반영하는 내용이 자주 발견되므로, 하나의 자료를 중심으로 국어 교육과 한국사 교육을 함께 수행하는 데 유용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경목, "한글편지를 통해 본 조선후기 과거제 운용의 한 단면 : ‘진성이씨 이동표가 언간’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28-57, 2011

      2 조항범, "주해 순천김씨묘출토간찰" 태학사 1998

      3 이승희, "조선시대 한글편지를 활용한 국어사 교육"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219-246, 2011

      4 김현정, "인문 소양 교육의 한 방향으로서의 고전시가와 역사의 연계 융합교육" 127-142, 2017

      5 이병기,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의 역주와 스토리텔링-김진화와 그 가족 및 주변 인물 이야기-(과제번호 : AKSR2016-J04, 최종연구결과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6 김일근, "언간의 연구"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6

      7 박주형, "시각화를 통한 문학 텍스트 구체화 교육의 가능성 고찰" 국어국문학회 (179) : 35-87, 2017

      8 이승희, "순원왕후의 한글편지" 푸른역사 2010

      9 고정희, "문학과 체육 융합교육 내용 탐구 - <어부사시사>에 나타난 신체 활동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4) : 109-148, 2017

      10 고정희, "문학과 영상의 창의적 융합을 통한 공감교육 -NT Live <리어왕>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35 : 71-108, 2015

      1 전경목, "한글편지를 통해 본 조선후기 과거제 운용의 한 단면 : ‘진성이씨 이동표가 언간’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28-57, 2011

      2 조항범, "주해 순천김씨묘출토간찰" 태학사 1998

      3 이승희, "조선시대 한글편지를 활용한 국어사 교육"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219-246, 2011

      4 김현정, "인문 소양 교육의 한 방향으로서의 고전시가와 역사의 연계 융합교육" 127-142, 2017

      5 이병기,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의 역주와 스토리텔링-김진화와 그 가족 및 주변 인물 이야기-(과제번호 : AKSR2016-J04, 최종연구결과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6 김일근, "언간의 연구"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6

      7 박주형, "시각화를 통한 문학 텍스트 구체화 교육의 가능성 고찰" 국어국문학회 (179) : 35-87, 2017

      8 이승희, "순원왕후의 한글편지" 푸른역사 2010

      9 고정희, "문학과 체육 융합교육 내용 탐구 - <어부사시사>에 나타난 신체 활동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4) : 109-148, 2017

      10 고정희, "문학과 영상의 창의적 융합을 통한 공감교육 -NT Live <리어왕>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35 : 71-108, 2015

      11 고정희, "문학과 미술의 교육적 융합을 위한 제언 - 존 에버렛 밀레이의 그림 <오필리아>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40 : 39-72, 2016

      12 이승희, "국어 청자높임법의 역사적 변화" 태학사 2007

      13 김종윤, "교과 간 연계⋅융합 교육에서의 국어 교과의 역할과 향후 과제" 109-122, 2017

      14 서명희, "고전시가를 제재로 한 교과 융합적 경험교육 -<덴동어미화전가>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2 (52): 285-313, 2017

      15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16 김창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국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17 황문환, "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 태학사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제어문
      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3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