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 교사들에게 영어 평가 도구 개발과 적용의 한 예를 보여 줌과 동시에 상황 타당도에 근거하여 영어 말하기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65325
2006
-
374
KCI등재
학술저널
93-120(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 교사들에게 영어 평가 도구 개발과 적용의 한 예를 보여 줌과 동시에 상황 타당도에 근거하여 영어 말하기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학...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 교사들에게 영어 평가 도구 개발과 적용의 한 예를 보여 줌과 동시에 상황 타당도에 근거하여 영어 말하기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영어 말하기 과업을 구안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영어 말하기 검사 도구를 상세화하였으며, 교사의 관찰 평가와 피드백, 학생들의 자기 평가, 상황 타당도에 근거하여 검사 도구를 검증하였다. 검사 결과, 영어 말하기에 사용되는 어휘와 구문이 제한적일 수록 교사의 관찰 평가 점수와 학생의 자기 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과업의 흥미도와 과업의 용이성, 그리고 학습 필요성과 유용성 간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 타당도에 근거하여 영어 말하기 검사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검사 개발 및 적용에 대한 긍정적인 해석을 도출할 수 있었다. 현장의 교사들은 그들이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교육 여건과 학생의 특성에 맞도록 그들 나름의 영어 기능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이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에게 검사 도구 개발과 적용 및 검증에 대한 실제적인 과정 및 그 예를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영어 마을의 현황 조사 및 개선 방안 - 전주 지역을 중심으로
초등 영어 수업에서 의사 소통 중심 역할 놀이 활동 구안 및 적용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