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매화문양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 개발-레이저 커팅 기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interior goods using apricot flower patterns - Focused on laser cutting techniq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15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growing cultural interest in design, as well as industrial interest, products using traditional pattern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The aim of this study is at this time to develop interior goods using apricot flower pattern among traditional patterns. The material used here is felt and the product selected is the decorated mat. The arrangement of pattern was placed regularly or irregularly for each product and the various laser-cutting technique were used. While pre-existing products mainly used the cut-cut technique among laser-cutting techniques, various techniques were used in combination in this study to get more diverse effects.
      Unlike other fabrics, felt has a advantage of unwinding when the laser-cutting technique is used. Therefore, outlines of products can vary and the pattern can be used itself as the shape of the product. Engraving technique was the more effective way to make small and delicate patterns. Also the utilization of complex techniques in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create products with multi-layering effects.
      The result of survey revealed that consumers preferred the product with circular layout the most among circular, linear and irregularly scattering pattern. In terms of cutting technique, consumers showed the preference to kiss-cut technique for the product with circular layout, the mixed technique between cut-cut and kiss-cut technique for the product with linear layout, and cut-cut technique for the product with irregularly scattering layout respectively.
      번역하기

      With the growing cultural interest in design, as well as industrial interest, products using traditional pattern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The aim of this study is at this time to develop interior goods using apricot flower pattern among traditio...

      With the growing cultural interest in design, as well as industrial interest, products using traditional pattern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The aim of this study is at this time to develop interior goods using apricot flower pattern among traditional patterns. The material used here is felt and the product selected is the decorated mat. The arrangement of pattern was placed regularly or irregularly for each product and the various laser-cutting technique were used. While pre-existing products mainly used the cut-cut technique among laser-cutting techniques, various techniques were used in combination in this study to get more diverse effects.
      Unlike other fabrics, felt has a advantage of unwinding when the laser-cutting technique is used. Therefore, outlines of products can vary and the pattern can be used itself as the shape of the product. Engraving technique was the more effective way to make small and delicate patterns. Also the utilization of complex techniques in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create products with multi-layering effects.
      The result of survey revealed that consumers preferred the product with circular layout the most among circular, linear and irregularly scattering pattern. In terms of cutting technique, consumers showed the preference to kiss-cut technique for the product with circular layout, the mixed technique between cut-cut and kiss-cut technique for the product with linear layout, and cut-cut technique for the product with irregularly scattering layout resp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난희,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한국과 인도 전통 문양 비교"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5 (35): 395-404, 2012

      2 정석영,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대문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423-432, 2012

      3 임영주, "한국전통문양" 예원 1998

      4 강경화, "한국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문화포스터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5 최범, "한국디자인 어디로 가는가" 안그라픽스 2008

      6 백승정, "한국과 몽골의 전통문양디자인 비교- 몽골의 연속문양(Алхан хээ)과 길상문양(θлзий хээ)을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28) : 287-326, 2010

      7 유현정, "한국ᆞ중국ᆞ일본 전통복식에 나타난 문양의 조형적 특성과 조형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2 (12): 107-117, 2010

      8 오현선, "한국 전통문양의 시각화 교육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이연순, "한국 전통문양을 응용한 넥타이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0 (10): 149-161, 2008

      10 천애경, "한국 전통문양에 나타난 조형성과 상징성 연구 : 식물문양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2

      1 김난희,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한국과 인도 전통 문양 비교"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5 (35): 395-404, 2012

      2 정석영,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대문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423-432, 2012

      3 임영주, "한국전통문양" 예원 1998

      4 강경화, "한국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문화포스터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5 최범, "한국디자인 어디로 가는가" 안그라픽스 2008

      6 백승정, "한국과 몽골의 전통문양디자인 비교- 몽골의 연속문양(Алхан хээ)과 길상문양(θлзий хээ)을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28) : 287-326, 2010

      7 유현정, "한국ᆞ중국ᆞ일본 전통복식에 나타난 문양의 조형적 특성과 조형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2 (12): 107-117, 2010

      8 오현선, "한국 전통문양의 시각화 교육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이연순, "한국 전통문양을 응용한 넥타이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0 (10): 149-161, 2008

      10 천애경, "한국 전통문양에 나타난 조형성과 상징성 연구 : 식물문양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2

      11 김월계,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니트 디자인 개발 연구" 한국니트디자인학회 8 (8): 90-100, 2010

      12 전진영, "한·일 전통복식에 나타난 문양 비교 연구: 16C~18C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3 "프랑프랑"

      14 하봉수, "평면의 수학적 대칭성 모형에 기반 한 한국전통문양의 구성형식 체계화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401-416, 2011

      15 이수영, "펠트를 이용한 조형성 표현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16 오정연, "펠트 재질감에 의한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17 현선희, "패션문화상품을 위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한국전통문양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1 (31): 985-966, 2007

      18 "토드 분체"

      19 송하영, "직물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금문 단청 문양의 자카드 직물 디자인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1 (11): 33-42, 2009

      20 최정운, "주거공간의 인테리어소품 적용경향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21 엄경희, "조선시대 조각보문양을 활용한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313-325, 2011

      22 정혜린, "조선시대 여자복식에 나타난 꽃문양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23 정진순, "조선 상감백자에 표현된 꽃문양을 활용한 넥타이 직물디자인 개발" 한국디자인학회 21 (21): 93-102, 2008

      24 김정윤, "전통식물문양을 이용한 공예문화상품 연구 :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25 강민정, "전통문양의 활용에 관한 기존연구 분석 - 의류학 분야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5 (15): 1-14, 2011

      26 강민정, "전통문양을 활용한 현대적 원피스 디자인 개발 연구 - 문양의 배치 및 색채 배색 과정을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20 (20): 330-346, 2012

      27 설이현, "전통문양을 활용한 패턴 디자인 수업지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8 박영미, "전통문양과 친환경소재를 활용한 패션소재기획" 한국생활과학회 18 (18): 1103-1113, 2009

      29 기희숙, "전통 문양을 응용한 여성복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 Knit CAD System을 응용한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1 (11): 43-53, 2009

      30 남유선, "장욱진 회화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펠트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31 김상권, "인테리어디자인" 미진사 2001

      32 "예진침구"

      33 "예지방"

      34 "엘리티스"

      35 허은숙, "에콜로지 표현의 아트 패브릭 연구 : 펠트를 응용한 본인 작품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36 김중군, "실내디자인 총론" 지문당 1994

      37 "문화포털"

      38 박경미, "마크 로드코(Mark Rothko)의 색면추상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니들 펀칭 펠트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39 김재원, "레이저 커팅 가공기법을 이용한 섬유소재별 커팅 효과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40 황경현, "레이저 가공기술의 개발 현황과 전망" 1 (1): 106-117, 1989

      41 "라노비아"

      42 "뜨란채"

      43 노혜경, "꽃 이미지를 이용한 펠트의 조형 표현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44 "김영준홈페이지"

      45 "광주요"

      46 John F. Pile, "Interior Design" 국제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