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학습병행제 기업현장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연구 = A Study on Training Needs Analysis of the Workplace Trainers in Apprenticeship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71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critical to have qualified workplace trainers for successful Apprenticeships in Korea.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aining needs of workplace trainers based on competencies required for workplace trainers participating in Korean Apprenticeships.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to the 825 workplace trainers who participated and completed training programs of a basic course of workplace trainers as of September, 2009 for investigating needs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workplace trainers. A total of 421 trainers finally responded to the survey. Then, the study analyzed the priorities of training needs using the methods of Borich and the Locus for Focu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planning training’, ‘developing materials’, and ‘training skills’ were highly ranked in both the Borich and the Locus for Focus. In addition, ‘developing training media’, ‘planning training programs’, ‘evaluating training’, and ‘S-OJT knowledge’ were indicated as secondly highly needed competencies in either the Borich or the Locus for Focus. Therefore, these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or essentially needed components for training of workplace trai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sugges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study were discussed to develop workplace trainers in more systematic ways.
      번역하기

      It is critical to have qualified workplace trainers for successful Apprenticeships in Korea.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aining needs of workplace trainers based on competencies required for workplace trainers participati...

      It is critical to have qualified workplace trainers for successful Apprenticeships in Korea.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aining needs of workplace trainers based on competencies required for workplace trainers participating in Korean Apprenticeships.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to the 825 workplace trainers who participated and completed training programs of a basic course of workplace trainers as of September, 2009 for investigating needs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workplace trainers. A total of 421 trainers finally responded to the survey. Then, the study analyzed the priorities of training needs using the methods of Borich and the Locus for Focu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planning training’, ‘developing materials’, and ‘training skills’ were highly ranked in both the Borich and the Locus for Focus. In addition, ‘developing training media’, ‘planning training programs’, ‘evaluating training’, and ‘S-OJT knowledge’ were indicated as secondly highly needed competencies in either the Borich or the Locus for Focus. Therefore, these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or essentially needed components for training of workplace trai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sugges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study were discussed to develop workplace trainers in more systematic way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성공적인 일학습병행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역량을 갖춘 기업현장교사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는 기업현장교사를 대상으로 기업현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이들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기업현장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4년 9월 기준으로 기업현장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이수한 825명의 기업현장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421명의 응답 자료를 기초로 기업현장교사의 역량별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기업현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별로 Borich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사분면 위치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역량에 대한 우선순위를 판단하였다.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난 역량은 ‘교육계획 수립 능력’, ‘교재개발’, ‘티칭 스킬'의 3개의 역량이었다. 즉, 기업현장교사들은 소속 기업의 장기․중기․단기 전략에 부합하여 적절한 교육계획을 수립하는 교육계획 수립 능력과 교육훈련 실행을 위하여 교재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 및 티칭 스킬에 대한 역량 증진의 필요성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과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에서만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나 차순위로 개발이 요구되는 역량으로 ‘교육매체 개발’, ‘교육과정 설계 능력’, ‘교육평가 기술’, ‘S-OJT 지식’이 있었다. 이러한 기업현장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를 기초로 기업현장교사의 체계적인 양성을 위한 제언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성공적인 일학습병행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역량을 갖춘 기업현장교사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는 기업현장교사를 대상...

      성공적인 일학습병행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역량을 갖춘 기업현장교사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는 기업현장교사를 대상으로 기업현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이들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기업현장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4년 9월 기준으로 기업현장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이수한 825명의 기업현장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421명의 응답 자료를 기초로 기업현장교사의 역량별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기업현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별로 Borich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사분면 위치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역량에 대한 우선순위를 판단하였다.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난 역량은 ‘교육계획 수립 능력’, ‘교재개발’, ‘티칭 스킬'의 3개의 역량이었다. 즉, 기업현장교사들은 소속 기업의 장기․중기․단기 전략에 부합하여 적절한 교육계획을 수립하는 교육계획 수립 능력과 교육훈련 실행을 위하여 교재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 및 티칭 스킬에 대한 역량 증진의 필요성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과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에서만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나 차순위로 개발이 요구되는 역량으로 ‘교육매체 개발’, ‘교육과정 설계 능력’, ‘교육평가 기술’, ‘S-OJT 지식’이 있었다. 이러한 기업현장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를 기초로 기업현장교사의 체계적인 양성을 위한 제언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용노동부, "한국형 일학습듀얼시스템 도입" 고용노동부 2013

      2 고용노동부, "한국형 일학습 병행제 운영 매뉴얼"

      3 나영돈, "한국형 일․학습 듀얼시스템의 소개 및 정책 방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16): 2013

      4 박용호,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의 역량평가사로서의 훈련요구분석" 7 (7): 147-153, 2015

      5 전승환, "일학습병행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추진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6 강경종, "일학습병행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17): 2014

      7 강경종, "일학습병행제의 경제․사회적 성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8 김주섭, "일학습병행제와 학습근로자 보호" 한국노동연구원 12 (12): 1-3, 2014

      9 전승환, "일학습병행제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10 고용노동부, "일학습병행제 운영 및 평가규정"

      1 고용노동부, "한국형 일학습듀얼시스템 도입" 고용노동부 2013

      2 고용노동부, "한국형 일학습 병행제 운영 매뉴얼"

      3 나영돈, "한국형 일․학습 듀얼시스템의 소개 및 정책 방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16): 2013

      4 박용호,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의 역량평가사로서의 훈련요구분석" 7 (7): 147-153, 2015

      5 전승환, "일학습병행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추진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6 강경종, "일학습병행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17): 2014

      7 강경종, "일학습병행제의 경제․사회적 성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8 김주섭, "일학습병행제와 학습근로자 보호" 한국노동연구원 12 (12): 1-3, 2014

      9 전승환, "일학습병행제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10 고용노동부, "일학습병행제 운영 및 평가규정"

      11 임경화, "일학습병행제 기업현장교사의 육성 및 제도화 방안" 한국산업인력공단 2014

      12 오성숙, "일터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퍼실리테이터 역량 요구분석: D기업 사내 강사를 대상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77-101, 2014

      13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업현장교사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안).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능력개발교육원 내부자료"

      15 박용호, "국내 대기업 사내강사의 역량 및 교육 요구 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16 (16): 279-299, 2014

      16 WDA., "WDA Annual Report 2013/14"

      17 IBSA, "TAE40110 Certificate IV in Training and Assessment"

      18 Jacobs, R. L.,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Unleashing employee expertise in the workplace" Berrett-Koehler Publishers, Inc 2003

      19 Mink, O. G.,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업교육연구 -> 기업교육과인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KCI등재후보
      2009-07-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orporate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6 2.1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