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의 기조와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해 정부에서는 각종 보육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들 보육정책이 효과적으로 서비스 대상자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보육행정전달체계를 거쳐야 한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28076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7-157(21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저출산의 기조와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해 정부에서는 각종 보육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들 보육정책이 효과적으로 서비스 대상자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보육행정전달체계를 거쳐야 한다...
저출산의 기조와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해 정부에서는 각종 보육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들 보육정책이 효과적으로 서비스 대상자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보육행정전달체계를 거쳐야 한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보육행정서비스의 수혜자이며 아동에 대한 최종 공급자인 보육시설의 시설장의 인식을 토대로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로부터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국공립보육시설의 시설장들의 인식이 좋은 반면에 민간보육시설의 시설장들의 인식은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다. 둘째, 행정지원에 있어서는 공무원의 전문성 부족으로 지도감독 시 문제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보육시설의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위한 지원에 대하여는 세부사항의 혼란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공무원의 시설방문은 시설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가정보육시설에서는 낮은 만족수준을 보여주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trend of low birth rate and increase of women who enter into the labor market make various types of nursery policy created as the national priority welfare program. For these policies’ success, it needs to have effective delivery system for the re...
A trend of low birth rate and increase of women who enter into the labor market make various types of nursery policy created as the national priority welfare program. For these policies’ success, it needs to have effective delivery system for the recipient to receive good servic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of administration delivery system for nursery from problem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principals at day care centers through survey.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it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
First, principal’s recognition of public day care centers about administration delivery system is better than that of private day care centers. It means that principals of private day care centers have negative consciousness on the various types of administration problems.
Second, civil servants who is responsible for administration of nursery delivery system lack expert knowledge to supervise principals. Therefore, it needs professional inspectors for the supervision like school inspectors of kindergarten.
Third, according to the guide book for day care center, it recommends to organize parental meeting. However, it does not have detailed rules for concrete performance. Therefore, it needs to make detailed rules to prevent confusion in the field.
Fourth, private day care centers with a capacity limit under 20 have serious problems when a civil servant who is responsible for day care centers visiting the center. The centers have only 2-4 workers for the children/ infants. Therefore, they experience lack of teachers when a principal or teachers work with the civil serva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효은, "행정기관 보육업무 담당자의 직무에 관한 인식과 실태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17-237, 2008
2 강달금, "한국보육정책변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7
3 김정헌, "한국 영 유아 보육행정의 인식과 대응" 14 (14): 1-24, 2004
4 삼성경제연구소, "추경의 적정규모와 전략적 재정집행"
5 황성하, "지방정부의 복지행정조직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한국과 일본의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21): 81-114, 2007
6 정영숙, "저출산 시대와 보육정책"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7
7 서울시 보육정보센터, "자모회 구성에 대하여"
8 감순양, "읍면동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성 수준 분석" 35 (35): 155-176, 2001
9 서화자, "영유아보육에 있어서 지역사회 참여 및 시설운영 투명성 제고를 위한 과제의 과제와 개선방안. 정부의 중장기보육계획안에 대한 전망과 과제" 2006
10 김옥례, "영유아보육사업의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2004
1 정효은, "행정기관 보육업무 담당자의 직무에 관한 인식과 실태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17-237, 2008
2 강달금, "한국보육정책변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7
3 김정헌, "한국 영 유아 보육행정의 인식과 대응" 14 (14): 1-24, 2004
4 삼성경제연구소, "추경의 적정규모와 전략적 재정집행"
5 황성하, "지방정부의 복지행정조직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한국과 일본의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21): 81-114, 2007
6 정영숙, "저출산 시대와 보육정책"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7
7 서울시 보육정보센터, "자모회 구성에 대하여"
8 감순양, "읍면동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성 수준 분석" 35 (35): 155-176, 2001
9 서화자, "영유아보육에 있어서 지역사회 참여 및 시설운영 투명성 제고를 위한 과제의 과제와 개선방안. 정부의 중장기보육계획안에 대한 전망과 과제" 2006
10 김옥례, "영유아보육사업의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2004
11 여성가족부, "영유아보육법령" 여성가족부 2008
12 전남련, "영유아보육개론" 형설출판사 2004
13 여성가족부, "여성정책연차보고서" 정책총괄과 2007
14 오가실,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아동간호학회 15 (15): 5-14, 2009
15 국회여성위원회, "보육행정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회여성위원회 2004
16 중앙보육정보센터, "보육통계"
17 여성부, "보육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대안 연구" 여성부 2004
18 김호순, "보육정책의 공공성과 투명성 제고 방안" 여성부 2007
19 이만수, "보육정책론" 법문사 2005
20 김경륜, "보육시설의 안전 보육환경 평가척도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2004
21 여성가족부, "보육시설 안전 심층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2007
22 이재완, "보육서비스의 실태와 대책; 보육서비스 행정체계의 발전방안" 402 : 45-57, 2002
23 서문희, "보육서비스 전달체계평가" 27 : 27-38, 1998
24 허 선,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1 : 183-208, 2000
25 여성부, "보육사업 전달체계 효율성 강화방안 연구" 여성부 2004
26 여성가족부, "보육사업 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연구" 여성가족부 2006
27 여성가족부, "보육사업 관련 법령집" 여성가족부 보육정책팀 2006
28 문선화, "보육료 제도와 정부의 보육재정지원 체계. 일본과 한국의 공보육 구현을위한 전략" 2004
29 조은정, "보육교사가 평가한 보육시설장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311-327, 2008
30 류현수, "가족관계와 복지" 동문사 2007
31 여성가족부, "e-보육시스템 운영규정" 여성가족부 2008
32 Karen, K. Kirst-Ashman, "Introduction to social work and social welfare: Critical ThinkingPerspectives" Thomson 200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5 | 2.35 | 2.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52 | 2.45 | 2.634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