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 와중에 조선인을 6천여 명 이상 학살하고 6천여 명을 불법검속한 일본 제국주의세력은 학살의 책임을 모면하기 위해 박열과 그의 애인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01296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7-69(33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 와중에 조선인을 6천여 명 이상 학살하고 6천여 명을 불법검속한 일본 제국주의세력은 학살의 책임을 모면하기 위해 박열과 그의 애인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 그...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 와중에 조선인을 6천여 명 이상 학살하고 6천여 명을 불법검속한 일본 제국주의세력은 학살의 책임을 모면하기 위해 박열과 그의 애인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 그리고 불령사 동지들을 체포했다. 박열은 조사과정에서 동지들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이 그해 10월 황태자 결혼식에 맞춰 폭탄투척 계획을 세운 바 있다고 당당히 밝혔고, 金子文子도 이 계획을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를 빌미로 일본정부는 뚜렷한 물증이나 계획전모를 밝히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을 ‘대역죄인’으로 만들어 사형에 처하려 하였다.
그동안 박열의 일왕폭살투쟁에 대하여는 일본 검찰의 신문조서를 ‘1차 사료’로 삼아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을 숨기려 했던 당사자들의 진솔한 기록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많은 한계와 오해를 갖게 하였다. 이에 이 글에서는 그동안 폭탄유입과정에서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 관련자의 진술을 활용하여 실행여부를 재평가하고, 옥중활동에 참여했던 관련자의 기록도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바는 첫째, 그동안의 연구와 달리, 박열은 치밀한 준비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모두 5차례에 걸쳐 폭탄유입을 추진했고, 마침내 유입에 성공하였다. 이는 그동안 일본 검찰조사과정에서 알려진 4차례의 추진 이외에도 불령사 회원 최영환을 통해 중국 다물단으로부터 폭탄을 전해받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는 옥중에서의 검찰신문과 법정투쟁을 통해 천황제에 맞서 철저히 투쟁하였다. 일본 사법부는 심문과정에서 천황제를 비판하는 두 사람에게 여러 차례 전향을 시키려 노력하였으나, 모두 실패하고 말았다.
셋째, 1926년 7월 23일 가네코 후미코의 갑작스런 죽음은 정확한 시간이나 원인도 밝혀지지 않았고, 일본 형무소측의 일방적인 처리로 타살의 혐의를 짙게 하고 있다. 당시 현장으로 찾아간 동지들은 그녀가 옥중에서 임신하게 되자, 일본 형무소측이 낙태수술을 감행하다가 죽게 만들었다고 판단했다. 고인의 유해는 일본경찰의 감시와 많은 마찰을 빚은 후 박열의 고향으로 보내져 묻힐 수 있었다.
넷째, 1925년 5월 당시 옥중에서 찍힌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의 이른바 ‘괴사진’은 이후 담당 판사가 파면 당하게 만들고, 일본 내각이 붕괴되는 등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이처럼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의 일왕폭살계획 추진에 이어 당당한 옥중투쟁은 일본 제국주의와 천황제의 뿌리를 근본부터 뒤흔든 일대 사건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ptember 1, 1923 Great Kanto Earthquake, in the midst of Koreans to 6,000 or more people slaughtered 6,000 people illegally arrest Japanese Imperialist forces massacred responsibility to escape in order to Park yeol (朴烈) and his lover Kaneko Humi...
September 1, 1923 Great Kanto Earthquake, in the midst of Koreans to 6,000 or more people slaughtered 6,000 people illegally arrest Japanese Imperialist forces massacred responsibility to escape in order to Park yeol (朴烈) and his lover Kaneko Humiko (金子文子), and Bulryeong-sa (不逞社) comrades was arrested. Park yeol comrades in the process of the investigation in order to protect the prince his wedding in October of that year in accordance with plan to bomb throwing that bars openly event. Kaneko Humiko had also claimed to know the plan. This excuse is no evidence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is also two people ‘high treason of’ oppression began to be created.
Meanwhile, the struggle of Park yeol Against Japan’s Emperor poksal (爆殺) prosecutors ‘primary feed the paper dossier’ was studied in first proof. But it was to hide the fact that the parties’ lack of honest history to have a lot of limitations and was misunderstood. In the meantime, this article does not bomb influx stakeholders in the process of fully evaluating whether or not to execute the re-evaluation by utilizing state and stakehold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ison records of activity was also noted.
It has been shown through the first, during the study, unlike Park yeol path through the careful preparation and a variety of bombs across all five times to promote influx and finally succeeded in inflows. Meanwhile, Japan, which is known to four times during the course of the investigation of the prosecution in addition to promoting Damuldan (多勿團) members from China through Choi Younghwan who delivered the bomb that can be found.
Second, Kaneko Humiko and Park yeol and prosecution of the prison interrogation and thorough legal battle to fight against the emperor was. Japan emperor in the process of the judiciary in the interrogation criticizing turned to two people attempted several times, but all failed.
Third, Kaneko Humiko July 23, 1926, or the cause of sudden death is not known the exact time did the prison side of Japan’s unilateral treatment to be heavily charged with the murder. She goes for the scene at the time of the winter solstice that became pregnant in prison, the prison side of Japan to carry out an abortion while he was judged them die. The remains of the deceased is a lot of friction in the Japanese police surveillance and the debt could be buried Park yeol sent home to.
Finally, in May 1925 was taken from prison and Park yeol-Kaneko Humiko the so-called mysterious photo of the wavefront after letting the judge in charge, making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cabinet has caused such a large wavelength. Thus, the Park yeol and Kaneko Humiko imposing legal battles followed poksal plan promotion of Japanese imperialism from the fundamental root of the emperor shook one ev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사상편" 지식산업사 2001
2 김명섭, "한국아나키스트들의 독립운동-일본에서의 투쟁" 이학사 2008
3 김영범, "한국 근대 민족운동과 의열단" 창작과비평사 1997
4 야마다 쇼지, "식민지조선을 사랑한 일본 제국의 아나키스트-가네코후미코" 산처럼 2003
5 전상숙, "박열의 무정부주의와 민족의식"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7 (7): 99-118, 2008
6 이호룡, "박열의 무정부주의사상과 독립국가건설 구상" 87 : 1997
7 정애영 옮김, "무엇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는가-일본제국을 뒤흔든 아나키스트 가네코 후미코 옥중수기" 이학사 2012
8 김인덕, "극일에서 분단을 넘은 박애주의자 박열"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3
9 崔凡述, "靑春은 아름다워라(1~40)" 1975
10 再審準備會, "金子文子·朴烈裁判紀錄" 黑色戰線社 1977
1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사상편" 지식산업사 2001
2 김명섭, "한국아나키스트들의 독립운동-일본에서의 투쟁" 이학사 2008
3 김영범, "한국 근대 민족운동과 의열단" 창작과비평사 1997
4 야마다 쇼지, "식민지조선을 사랑한 일본 제국의 아나키스트-가네코후미코" 산처럼 2003
5 전상숙, "박열의 무정부주의와 민족의식"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7 (7): 99-118, 2008
6 이호룡, "박열의 무정부주의사상과 독립국가건설 구상" 87 : 1997
7 정애영 옮김, "무엇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는가-일본제국을 뒤흔든 아나키스트 가네코 후미코 옥중수기" 이학사 2012
8 김인덕, "극일에서 분단을 넘은 박애주의자 박열"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3
9 崔凡述, "靑春은 아름다워라(1~40)" 1975
10 再審準備會, "金子文子·朴烈裁判紀錄" 黑色戰線社 1977
11 布施辰治, "運命の勝利者 朴烈" 世紀書房 1946
12 松尾尊兌, "續現代史資料 3(アナーキズム)" みすず書房 1988
13 金子文子, "獄窓に想う : 金子ふみ子全歌集" 黑色新聞社 1987
14 布施辰治, "朴烈鬪爭記" 朝陽社 1948
15 김명섭, "朴烈·金子文子의 반천황제 투쟁과 아나키즘 인식" (4) : 2003
16 金子文子, "何か我をかうさせか" 黑色新聞社 1972
17 최종길, "1927년을 전후한 조선과 일본의 정치적 연관성 - 조선에서 치안유지법이 확대 적용된 배경을 중심으로 -" 일본사학회 (31) : 173-200, 2010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제공동관리안 반대운동(1942~194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5-2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2 | 1.442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