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면도 해안지형의 생태보존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in the Coastal Landforms of Anmyeon-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43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coastal landform of Anmyeon-do was classified and evaluated as the site for the establishment of an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As a result of study, Anmyeon-do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18 zones, including a preservation zone, a preservation-recommendable zone, and a restoration zone. The preservation zone was divided into a total of 7 regions: Western Hwangdo Region, Eastern Hwangdo Region, Baramarae Beach Region, Dunduri Coastal Region, Batgae Beach Region, Anmyeon Beach Region, and Sambong Beach Region. The whole preservation-recommendable zone was subclassified into a total of 6 regions: Anmyeonam Region, Daeyado Region, Solsum Region, Goomae Coastal Region, the Northwest Coastal Region of Sinyari, and Doyeo Coastal Region. Lastly, the restoration zone was divided into a total of 5 regions: Woonyeo Beach Region, Julbatmeori Coastal Region, Kkotji Beach Region, Bangpo Beach Region, and Baeksajang Beach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clear standards for a landform landscape that is worthy of being preserved, and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tural-environment management policy, and not just as required conditions.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coastal landform of Anmyeon-do was classified and evaluated as the site for the establishment of an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As a result of study, Anmyeon-do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18 zones, including a preservation zon...

      In this study, the coastal landform of Anmyeon-do was classified and evaluated as the site for the establishment of an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As a result of study, Anmyeon-do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18 zones, including a preservation zone, a preservation-recommendable zone, and a restoration zone. The preservation zone was divided into a total of 7 regions: Western Hwangdo Region, Eastern Hwangdo Region, Baramarae Beach Region, Dunduri Coastal Region, Batgae Beach Region, Anmyeon Beach Region, and Sambong Beach Region. The whole preservation-recommendable zone was subclassified into a total of 6 regions: Anmyeonam Region, Daeyado Region, Solsum Region, Goomae Coastal Region, the Northwest Coastal Region of Sinyari, and Doyeo Coastal Region. Lastly, the restoration zone was divided into a total of 5 regions: Woonyeo Beach Region, Julbatmeori Coastal Region, Kkotji Beach Region, Bangpo Beach Region, and Baeksajang Beach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clear standards for a landform landscape that is worthy of being preserved, and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tural-environment management policy, and not just as required condi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환경과학원,

      2 강대균, "해안사구의 물질 구성과 플라이스토세층-충청남도의 해안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38 (38): 505-517, 2003

      3 권혁재, "태안반도와 안면도의 해안지형" 6 : 261-287, 1981

      4 장동호, "충남 연안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지형 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73-95, 2009

      5 엄기철, "지속가능한 국토연안축의 통합적 관리방안" 국토연구원 2006

      6 환경부, "제3차자연환경조사 지침"

      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자연경관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8 권혁재, "서해안의 해안침식" 18 : 137-155, 1993

      9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보존 가치가 있는 지형·지질의 대상 설정에 관한 연구"

      10 최성원, "동해안의석호에관한지리학적연구-고성~강릉간의 해안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2000

      1 국립환경과학원,

      2 강대균, "해안사구의 물질 구성과 플라이스토세층-충청남도의 해안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38 (38): 505-517, 2003

      3 권혁재, "태안반도와 안면도의 해안지형" 6 : 261-287, 1981

      4 장동호, "충남 연안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지형 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73-95, 2009

      5 엄기철, "지속가능한 국토연안축의 통합적 관리방안" 국토연구원 2006

      6 환경부, "제3차자연환경조사 지침"

      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자연경관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8 권혁재, "서해안의 해안침식" 18 : 137-155, 1993

      9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보존 가치가 있는 지형·지질의 대상 설정에 관한 연구"

      10 최성원, "동해안의석호에관한지리학적연구-고성~강릉간의 해안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2000

      11 전영권, "대구 비슬산지 내 지형자원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10 (10): 53-66, 2004

      1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토연안생태네트워크 구축과 계획적 관리방안(I)"

      13 허철호, "관광지질학 활성화를 위한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 개발에 관한 연구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 28 (28): 75-8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