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초등돌봄교실의 돌봄전담사를 대상으로 집단면담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시와 농촌의 급 · 간식관리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08932
2018
Korean
elementary care class ; food service ; meal ; snack ; menu
590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264-274(1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초등돌봄교실의 돌봄전담사를 대상으로 집단면담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시와 농촌의 급 · 간식관리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초등돌봄교실의 돌봄전담사를 대상으로 집단면담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시와 농촌의 급 · 간식관리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전담사 7명을 대상으로 한 집단면담조사 결과, 관련 지침이나 전문가의 도움 없이 돌봄전담사가 급 · 간식 운영을 전담하고 있었으며, 예산 부족으로 인한 질적 저하가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돌봄교실의 급 · 간식을 공동관리할 수 있는 전문기관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돌봄전담사 10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학기 중 간식비는 평균 1,463원, 방학 중 급식비는 평균 4,062원이었으며, 학기 중 간식비 (p = 0.015)와 방학 중 급식비 (p = 0.039)는 농촌이 도시보다 유의적으로 적었다. 학기 중, 방학 중 급 · 간식 모두 완제품을 구매해서 제공하는 학교가 가장 많았으며 도시와 농촌 간 차이는 없었다.
셋째, 급식 영양관리기준이 있는 학교는 10% 미만에 불과하였다. 급식식단을 별도로 작성하고 있는 학교는 101개교 중 47개교였으며, 이 중 30개교 (63.8%)는 도시락공급업체로부터 식단을 제공받고 있었고, 17개 (19.3%)에서는 돌봄전담사가 식단을 작성하고 있었다. 간식식단을 작성하는 학교는 80개교로, 이 중 45개교 (44.6%)에서는 돌봄전담사가 식단을 작성하고 있었다. 농촌은 도시에 비해 돌봄전담사가 급식식단을 작성하는 비율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p = 0.054).
넷째, 위생관리 기준이 있는 학교는 101개교 중 34개교(33.7%)에 불과하였으며, 31개교는 급 · 간식 제공 전 검식을 하지 않고 있었고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하지 않는 돌봄전담사도 56.4%에 달했다. 급 · 간식 위생관리 현황은 지역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돌봄전담사가 응답한 적정 1회 간식비는 1,924원으로 실제 간식비보다 높아 적정 간식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해 보였다. 바람직한 급 · 간식의 운영형태에 대한 의견에서는 초등돌봄교실 전문 급 · 간식지원센터 설치가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48개교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결과, 초등돌봄교실의 급 · 간식 운영에서는 지역구분과 관계없이 식단관리 및 위생관리 등에서 문제점이 나타났다. 초등돌봄교실에 참여하는 어린이들에게 위생적이며 영양이 풍부한 급 · 간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돌봄전담사가 식단작성 등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급 · 간식 운영지침 마련이 시급하며, 돌봄전담사를 대상으로 한 영양 · 위생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초등돌봄교실 급 · 간식 권장패턴 및 참고식단 개발이 필요하며, 정부 차원의 효율적인 제도 마련과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농촌은 도시에 비해 급 · 간식의 단가가 낮고 돌봄전담사가 식단을 작성하는 경우가 많아 급 · 간식 단가의 상승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체계적인 급 · 간식 관리를 위한 제도 도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food service management in elementary care classes. Methods: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seven care class managers and a survey with 101 care class managers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food service management in elementary care classes. Methods: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seven care class managers and a survey with 101 care class managers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Gyeonggi province were conducted. Results: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purchased meals and snacks were evaluated as low quality by the care class managers. Frequent use of frozen or processed food and products with low prices were also reported as problems. Care class managers were in charge of meal and snack planning without any guidelines or expert advice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most schools serve purchased snacks and meals. The average unit costs of one meal and snack were 4,062 and 1,463 Won, respectively. The average unit costs of snacks during semester (p = 0.015) and vacation (p = 0.039) were significantly lower in rural than urban areas. The percentages of schools that prepared nutrition standards for meal and snack planning in elementary care classes were only 7.4% and 10.9%, respectively. The meal menus were mostly provided by catering service companies, and the snack menus were planned mostly by the care class managers. Menu planning by the care class managers was more usual in rural than urban areas (p = 0.054 for meal planning and p = 0.008 for snack planning). Just 33.7% of schools introduced safety standards for food service in elementary care classes, 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56.4%) did not do a regular medical check-up. Only 33.7% of the respondents received education for food safety.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e necessity for establishment of detailed guidelines for food service in elementary care classes and for the introduction of a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ustomized for care class managers.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순정, "혼자 또는 온 가족이 함께 하는 식사형태가 아동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관한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대전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206-226, 2010
2 양윤이,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직영과 사회적 기업에 의한 위탁 운영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171-200, 2013
3 김경희, "서울 및 지방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 아동들의 식습관, 식행동 및 식품섭취빈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180-190, 2010
4 김종호, "방과 후 돌봄서비스 실태 및 만족도 비교 연구: 의정부시, 고양시, 연천군의 초등돌봄교실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5 (25): 399-419, 2015
5 Jung YM, "The development of a quality assessment tool for elementary child-care classroom" Sungkyunkwan University 2016
6 Yun MH, "The comparison of diet behavior, stress, self-esteem, and nutrient uptake in accordance with obes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Gyeongbuk local children's cente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7
7 Beets MW, "Salty or sweet? Nutritional quality, consumption, and cost of snacks served in afterschool programs" 85 (85): 118-124, 2015
8 Mozaffarian RS, "Price and healthfulness of snacks in 32 YMCA after-school programs in 4 US metropolitan areas, 2006-2008" 9 : E38-, 2012
9 Ministry of Education (KR), "Plans for expansion of elementary care classes [Internet]" Ministry of Education
10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Operation status of elementary care class in Gyeonggido" 2017
1 성순정, "혼자 또는 온 가족이 함께 하는 식사형태가 아동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관한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대전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206-226, 2010
2 양윤이,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직영과 사회적 기업에 의한 위탁 운영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171-200, 2013
3 김경희, "서울 및 지방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 아동들의 식습관, 식행동 및 식품섭취빈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180-190, 2010
4 김종호, "방과 후 돌봄서비스 실태 및 만족도 비교 연구: 의정부시, 고양시, 연천군의 초등돌봄교실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5 (25): 399-419, 2015
5 Jung YM, "The development of a quality assessment tool for elementary child-care classroom" Sungkyunkwan University 2016
6 Yun MH, "The comparison of diet behavior, stress, self-esteem, and nutrient uptake in accordance with obes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Gyeongbuk local children's cente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7
7 Beets MW, "Salty or sweet? Nutritional quality, consumption, and cost of snacks served in afterschool programs" 85 (85): 118-124, 2015
8 Mozaffarian RS, "Price and healthfulness of snacks in 32 YMCA after-school programs in 4 US metropolitan areas, 2006-2008" 9 : E38-, 2012
9 Ministry of Education (KR), "Plans for expansion of elementary care classes [Internet]" Ministry of Education
10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Operation status of elementary care class in Gyeonggido" 2017
11 Beets MW, "Nutritional policies and standards for snacks served in after-school programmes: a review" 14 (14): 1882-1890, 2011
12 Oh SY, "Job analysis of child care professionals in elementary child care classes" Soongsil University 2017
13 Baek YJ, "Family structure and die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alysis of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2011"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14 Statistics Korea,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nternet]" Statistics Korea
15 Kim HK,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low income children in underserved area" 2007
16 United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Child and adult care food program [Internet]" United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17 Bae SM, "Analysis on the 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caregiving class - focusing on downtown area in Seou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7
18 Sung CJ, "An ecological study of food and nutri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6 (6): 150-161, 2001
1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 study on the status of sole-parent families"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5
20 Han JK,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management in after-school student care classes: the country vs. the c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7
21 Shin DC, "A study on meals of elementary school's care programs in Seou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1
22 Woo SJ, "A study on activation methods for operation of after - school student care clas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1
23 Lee SY, "A comparison of factors related to skipping breakfast between rural and urb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okmin University 2013
24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7 guidance on operation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2017
25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6 guidance on operation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2016
26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6 current situation of elementary schools [Internet]" 2016
고지방식이 비만 유도 mouse에서 누에체액의 항비만 및 LDL-cholesterol 저하효과
으뜸도라지추출물이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과 염증매개물질의 분비 억제에 미치는 영향
심혈관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한식식이조절 영양교육이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5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한 보건소 기반 고혈압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3-07-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영양학회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6 | 0.86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1 | 1.778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