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성적 실체인 영혼과 육체의 합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856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5~1274)가 ‘영혼과 육체의 통일성’에 대해 강조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그가 이를 어떻게 논증하는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토마스는 『대이교대전』(Summa contra Gentiles) 제Ⅱ권에서 다른 저작들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상세하게 영혼과 육체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변들을 무려 십여 장에 걸쳐 하나하나 검토하며 논박하고 있다. 국내에는 아직 이 책의 번역이 출간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간학에 관심 있는 독자들을 위해 핵심부분을 번역해서 소개한다.
      “어떤 방식을 통해서 지성적 실체는 육체와 합일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다루는 제56장은 이 질문을 직접 다루기 이전에 지성적 실체와 육체의 결합 방식 일반에 대한 내용을 먼저 다룬다. 토마스는 우선 지성적 실체는 혼합의 방식으로는 육체와 결합될 수 없으며(n.3~5), 양적인 최종 경계들에 따른 접촉을 하지 않는다고 논증한다(n.6~7). 그런 다음에 토마스는 지성적 실체와 육체가 결합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으로 ‘능력의 접촉’(n.8~10)을 검토하고 있다. ‘능력의 접촉’에 따르면 작용자는 상호 간의 변화를 전제하는 양의 최종 경계에 따른 접촉만이 아니라, 자신의 형상을 변하는 것 안에 각인함으로써, 질이나 형상의 유사성에 따라서도 서로 합일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성적 실체는 비물질적이지만 육체 안에 현실적으로 존재하면서, 육체전체를 움직일 수 있다.
      토마스는 이러한 설명에 의해 지성적 실체와 육체의 결합을 설명할 수는 있지만 이것은 최종적인 해결책이 아니라고 밝힌다. 곧 능력의 접촉에 의해 지성적 실체와 육체가 결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단적으로 하나’는 아니라는 것이다. 토마스는 이어서 마지막 단락(n.11)에서 단적으로 하나인 세 가지 가능성을 나열한다. 결국 본질규정에 따른 하나로서 형상-질료의 관계만이 남지만 이에 대한 반대론자의 5가지 반론을 소개하고 있다.
      토마스는 이러한 배경하에서 영혼과 육체의 결합 가능성들에 대해 역사적으로 언급된 매우 다양한 견해들을 하나씩 논박한 후(제57~67장)에 제68장에 가서 ‘인간 영혼은 지성적 실체이면서도 육체의 형상’이라는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이를 토대로 앞서 제시된 반론들을 논박한다.
      번역하기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5~1274)가 ‘영혼과 육체의 통일성’에 대해 강조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그가 이를 어떻게 논증하는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토마스는 『대이교대...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5~1274)가 ‘영혼과 육체의 통일성’에 대해 강조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그가 이를 어떻게 논증하는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토마스는 『대이교대전』(Summa contra Gentiles) 제Ⅱ권에서 다른 저작들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상세하게 영혼과 육체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변들을 무려 십여 장에 걸쳐 하나하나 검토하며 논박하고 있다. 국내에는 아직 이 책의 번역이 출간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간학에 관심 있는 독자들을 위해 핵심부분을 번역해서 소개한다.
      “어떤 방식을 통해서 지성적 실체는 육체와 합일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다루는 제56장은 이 질문을 직접 다루기 이전에 지성적 실체와 육체의 결합 방식 일반에 대한 내용을 먼저 다룬다. 토마스는 우선 지성적 실체는 혼합의 방식으로는 육체와 결합될 수 없으며(n.3~5), 양적인 최종 경계들에 따른 접촉을 하지 않는다고 논증한다(n.6~7). 그런 다음에 토마스는 지성적 실체와 육체가 결합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으로 ‘능력의 접촉’(n.8~10)을 검토하고 있다. ‘능력의 접촉’에 따르면 작용자는 상호 간의 변화를 전제하는 양의 최종 경계에 따른 접촉만이 아니라, 자신의 형상을 변하는 것 안에 각인함으로써, 질이나 형상의 유사성에 따라서도 서로 합일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성적 실체는 비물질적이지만 육체 안에 현실적으로 존재하면서, 육체전체를 움직일 수 있다.
      토마스는 이러한 설명에 의해 지성적 실체와 육체의 결합을 설명할 수는 있지만 이것은 최종적인 해결책이 아니라고 밝힌다. 곧 능력의 접촉에 의해 지성적 실체와 육체가 결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단적으로 하나’는 아니라는 것이다. 토마스는 이어서 마지막 단락(n.11)에서 단적으로 하나인 세 가지 가능성을 나열한다. 결국 본질규정에 따른 하나로서 형상-질료의 관계만이 남지만 이에 대한 반대론자의 5가지 반론을 소개하고 있다.
      토마스는 이러한 배경하에서 영혼과 육체의 결합 가능성들에 대해 역사적으로 언급된 매우 다양한 견해들을 하나씩 논박한 후(제57~67장)에 제68장에 가서 ‘인간 영혼은 지성적 실체이면서도 육체의 형상’이라는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이를 토대로 앞서 제시된 반론들을 논박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인론, prop. 2 et 9"

      2 "신명론, 제VII장 제3절"

      1 "원인론, prop. 2 et 9"

      2 "신명론, 제VII장 제3절"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 Studi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간연구 창간호 -> 인간연구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0.85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