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汗蒸法을 통해 바라본 朝鮮朝 佛敎醫學의 一面 = An Aspect of Buddhist Medicine in Joseon Dynasty Studied through Sauna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83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una, or hanjeung (汗蒸) is a physical sweating method that uses external heat to forcibly raise body temperature to treat cold damage disorders (伤寒)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sauna was recorded as a healing and bathing method on the Vinaya Pitaka (律藏), and investigates the records of folk sauna therapy of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medicine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ancient medicine history in Korea.
      Although the word ‘hanjeung (汗蒸)' first appeared in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世宗實錄)』 in the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the tradition of Buddhist sauna bathing has already exist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based on the fact that sauna bathing was recorded in the Vinaya Pitaka and that the ancient Buddhist bathing culture was introduced in ancient Japan. In addition, the succession of the Buddhist sauna tradition by Goryeo will be traced back through the records of 1920s urban saunas in Gaesung (개성) which was the old capital of Goryeo and had a strong tendency to adhere to traditional Goryeo customs. Finally, the study trie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the Buddhist sauna bathing on the records of folk sauna therapy in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Buddhist sauna bathing culture in ancient Korea, which was led by medical monks, spread in the general public and influenced the folk sauna therapy in the Joseon Dynasty.
      번역하기

      Sauna, or hanjeung (汗蒸) is a physical sweating method that uses external heat to forcibly raise body temperature to treat cold damage disorders (伤寒)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sauna was recorded as ...

      Sauna, or hanjeung (汗蒸) is a physical sweating method that uses external heat to forcibly raise body temperature to treat cold damage disorders (伤寒)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sauna was recorded as a healing and bathing method on the Vinaya Pitaka (律藏), and investigates the records of folk sauna therapy of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medicine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ancient medicine history in Korea.
      Although the word ‘hanjeung (汗蒸)' first appeared in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世宗實錄)』 in the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the tradition of Buddhist sauna bathing has already exist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based on the fact that sauna bathing was recorded in the Vinaya Pitaka and that the ancient Buddhist bathing culture was introduced in ancient Japan. In addition, the succession of the Buddhist sauna tradition by Goryeo will be traced back through the records of 1920s urban saunas in Gaesung (개성) which was the old capital of Goryeo and had a strong tendency to adhere to traditional Goryeo customs. Finally, the study trie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the Buddhist sauna bathing on the records of folk sauna therapy in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Buddhist sauna bathing culture in ancient Korea, which was led by medical monks, spread in the general public and influenced the folk sauna therapy in the Joseon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汗蒸은 韓醫學에서 傷寒의 치료법 중 汗法의 한가지로서 뜨거운 외부의 열기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체온을 올려 땀을 내는 물리적 發汗法이다. 본 논문에서는 汗蒸이 불교 율서 상에 風, 寒冷病 등의 치료법이자 목욕법으로 기록된 점에 착안하여 한국 고대의학에서 상당한 역할을 수행했던 불교의학의 관점에서 조선시대의 汗蒸 기록들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록 ‘汗蒸’이라는 단어는 세종실록에 최초로 등장하지만, 불교율서 상에 汗蒸浴法이 기록된 점과 고대일본으로 백제 목욕문화가 전래된 내용을 바탕으로, 이미 삼국시대부터 불교식 汗蒸浴의 전통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삼국시대의 불교적 汗蒸浴이 남북국시대를 거쳐 고려의 불교문화 속에서 계승된 모습을 옛 고려 수도였던 개성의 1920년대 汗蒸所 사료를 통해서 역추적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民間에서 汗蒸이 시행된 기록들 상에서 불교식 汗蒸浴에 원형을 둔 요소들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醫僧들의 주도로 형성된 한국고대의 불교 汗蒸浴이 민간영역으로 확산되고 조선의 民間汗蒸療法에 영향을 준 모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汗蒸은 韓醫學에서 傷寒의 치료법 중 汗法의 한가지로서 뜨거운 외부의 열기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체온을 올려 땀을 내는 물리적 發汗法이다. 본 논문에서는 汗蒸이 불교 율서 상에 風, ...

      汗蒸은 韓醫學에서 傷寒의 치료법 중 汗法의 한가지로서 뜨거운 외부의 열기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체온을 올려 땀을 내는 물리적 發汗法이다. 본 논문에서는 汗蒸이 불교 율서 상에 風, 寒冷病 등의 치료법이자 목욕법으로 기록된 점에 착안하여 한국 고대의학에서 상당한 역할을 수행했던 불교의학의 관점에서 조선시대의 汗蒸 기록들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록 ‘汗蒸’이라는 단어는 세종실록에 최초로 등장하지만, 불교율서 상에 汗蒸浴法이 기록된 점과 고대일본으로 백제 목욕문화가 전래된 내용을 바탕으로, 이미 삼국시대부터 불교식 汗蒸浴의 전통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삼국시대의 불교적 汗蒸浴이 남북국시대를 거쳐 고려의 불교문화 속에서 계승된 모습을 옛 고려 수도였던 개성의 1920년대 汗蒸所 사료를 통해서 역추적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民間에서 汗蒸이 시행된 기록들 상에서 불교식 汗蒸浴에 원형을 둔 요소들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醫僧들의 주도로 형성된 한국고대의 불교 汗蒸浴이 민간영역으로 확산되고 조선의 民間汗蒸療法에 영향을 준 모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244-247, 1966

      2 다케쿠니토모야스, "한국온천이야기" 논형 25-39, 2006

      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안수현, "한국동서문학" 한국동서문학사 2017

      5 하정용, "한국고대사회 僧醫와 醫僧의 개념에 대하여" 한국한의학연구원 14 (14): 9-17, 2008

      6 김성순, "한국 불교의학의 전래와 醫僧들의 활동에 관한 일고찰" 불교학연구회 39 : 339-366, 2014

      7 송기호, "한국 고대의 온돌 : 북옥저, 고구려, 발해" 서울대학교출판부 53-, 2006

      8 고려대장경연구소, "지식베이스 서비스"

      9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DB"

      10 김성수, "조선 시대 한증 요법의 운영과 변천" 한국과학사학회 38 (38): 509-537, 2016

      1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244-247, 1966

      2 다케쿠니토모야스, "한국온천이야기" 논형 25-39, 2006

      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안수현, "한국동서문학" 한국동서문학사 2017

      5 하정용, "한국고대사회 僧醫와 醫僧의 개념에 대하여" 한국한의학연구원 14 (14): 9-17, 2008

      6 김성순, "한국 불교의학의 전래와 醫僧들의 활동에 관한 일고찰" 불교학연구회 39 : 339-366, 2014

      7 송기호, "한국 고대의 온돌 : 북옥저, 고구려, 발해" 서울대학교출판부 53-, 2006

      8 고려대장경연구소, "지식베이스 서비스"

      9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DB"

      10 김성수, "조선 시대 한증 요법의 운영과 변천" 한국과학사학회 38 (38): 509-537, 2016

      11 북한의학과학원 동의학연구소, "의방류취3" 여강출판사 62-, 1991

      12 여인석, "우리나라 고대 불교의학의 한 단면:원효의 경우" 4 (4): 3-6, 1995

      13 김준봉, "온돌 그 찬란한 구들문화" 청홍 2006

      14 김성순, "세종대의 불교정책과 한증승(汗蒸僧)" 한국종교학회 74 (74): 95-114, 2014

      15 동국대학교,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서비스 시스템"

      16 채인환, "백제불교 (百濟佛敎) 계율사상(戒律思想)연구" 28 : 29-74, 1991

      17 송호정, "高句麗의 族源과 濊貊" 고구려발해학회 27 : 107-124, 2007

      18 中桐確太郞, "風呂の話" 11 (11): 752-753, 1937

      19 조효순, "韓國服飾風俗使硏究" 一志社 356-358, 1988

      20 落合茂, "洗う風俗史" 未来社 20-26, 1984

      21 李瑄根, "汗蒸의 土俗學的 硏究" 3 (3): 18-, 1930

      22 許浚, "東醫寶鑑" 남산당 738-, 1981

      23 如囚居士, "朝鮮雜記" 春祥堂 15-16, 1894

      24 中桐確太郞, "日本風俗史講座" 雄山閣 24-34, 1929

      25 福永勝美, "佛敎醫學詳說" 醫藥社 173-177, 1975

      26 丁若鏞, "“欽欽新書卷六 祥刑追議六 傷病之辨六” 與猶堂全書" 한국고전번역원

      27 洪敬謨, "'鶴城志' 冠巖全書 冊24" 한국고전번역원

      28 李仁行, "'西遷錄 上' 新野先生文集 卷之十二" 한국고전번역원

      29 崔忠成, "'蒸室記' 山堂集 卷之二 記" 한국고전번역원

      30 徐兢, "'澣濯' 宣和奉使高麗圖經 卷23 雜俗2" 국사편찬위원회

      31 李仁行, "'汗甑' 新野先生文集 卷之一 詩" 한국고전번역원

      32 李穡, "'安東藥院記' 牧隱文藁 卷之1 記" 한국고전번역원

      33 壽春學人, "'大京城城壁踏査記' 別乾坤23" 국사편찬위원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醫史學會誌 -> 한국의사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37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