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국현대문학사 안에서 가장 문제적인 작가인 최인훈의 생애와 등단완료작 라울전 을 재검토하여 그의 문학 세계의 기원을 탐사하려는 의도로 쓰였다. 최인훈은 ‘회향을 거부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76941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85-312(2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현대문학사 안에서 가장 문제적인 작가인 최인훈의 생애와 등단완료작 라울전 을 재검토하여 그의 문학 세계의 기원을 탐사하려는 의도로 쓰였다. 최인훈은 ‘회향을 거부한...
이 논문은 한국현대문학사 안에서 가장 문제적인 작가인 최인훈의 생애와 등단완료작 라울전 을 재검토하여 그의 문학 세계의 기원을 탐사하려는 의도로 쓰였다. 최인훈은 ‘회향을 거부한 방랑자’로 자기를 정립하며 남한이나 북한 어느 쪽도 고향이 될 수 없음을 밝혔는데 작가가 『화두』 등을 통해 반복적으로 그려놓은 ‘자아비판회’ 장면을 통해 그 이유를 짐작해볼 수 있다. 『화두』에서 작가의 분신 격으로 등장하는 소년은 혹독한 자아비판회를 거치면서 한반도의 역사가, ‘진리’로 군림해 온 ‘가짜 이념’을 회의 없이 받아들여 온 과정이며 그것이 종내 인간을 얼마나 큰 파국으로 내몰았는지 알아차렸다. 최인훈은 그와 같은 인물형을 초기 소설 속에 생생하게 그려 넣었는데 대표적인 작품이 「라울전」이다. 라울은 예수가 등장한 시대에 바울과 경쟁했던 허구적인 인물이다. 당시의 계급 사회와 노예제를 지탱했던 히브리교 및 유대교 경전에 결박당했던 그는 작가의 분신이면서도 지양되어야 할 존재였다.
반대로 그것과 단절하고 새로운 진리를 실천하는 바울은 작가의 지향점으로 나타난다. 라울전 에서 바울은 메시아의 도래라는 혁명적 사건을 이어가기 위해 여러가지 일을 실천한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시바의 사랑을 용인하고 그녀를 노예가 아니라 인간으로 인정한 것이다. 바울은 신의 아들 예수의 진리에 참여함으로써 모든 사람들이 평등한 신의 자식이 된다고 선포했다. 성별이든 민족이든 신분이든 진리에 참여하고 진리를 공유하는 데는 조금도 장애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바울이 선포한 사랑은, 거짓 진리였던 유대 율법과 히브리 철학의 외부에서 출현한 보편적 진리였다. 아울러 ‘라울의 꿈’에 나타난 바울, 시바, 예수의 이념과 계급을 초월한 공동체는 소설이 쓰인 당대 남북한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것이었다. 어쩌면 인간의 존재론적 자유와 평등을 담보로 하는 사랑이야말로, 작가가 생각한 ‘정신적 고향’의 핵심은 아니었을까.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origin of literary world of Choi, In-Hun who is the most problematic author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by reviewing his lifetime and his first-completed work, 「Raul-jeon」(or 「Raul’s story」). 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origin of literary world of Choi, In-Hun who is the most problematic author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by reviewing his lifetime and his first-completed work, 「Raul-jeon」(or 「Raul’s story」). Establishing himself as a ‘wanderer who refused to long for home’, Choi, In-Hun revealed that none of South Korea or North Korea could be his home. And the reason could be guessed in the scene of ‘self-criticism’ which was repetitively described by the author in 『Hwadoo』. Going through the severe self-criticism, he newly realized the negative effects of accepting a ‘false ideology’ with no doubts on humans, which was also described in 「Rauljeon」. 「Raul-jeon」 dealt with Paul’s conversion and predestination as a major event of Christianity. In this story, his interests in Christianity and the composition of rival characters-Raul and-Paul were repeated and varied in later works. In 「Raul-jeon」, Raul who was tied up with the distorted religious truth suppressing humans was described as a being that should be rejected as an alter ego of the author while Paul(Paulus) who cut himself off from it and then practiced the new truth was revealed as the pointing spot of the author. Finally Paul declared the advent of the Messiah and lived the ‘real truth’ of Love through the emancipation of slaves. The looks of Raul and Paul(Paulus) are variated and refined into a character, Dok, Go-Jun in 『Christmas Carol』, 『Hoesaekin』, and 『Seoyugi』 afterward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하, "한국 소설과 기독교" 국학자료원 2002
2 린다 허천,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2
3 방민호, "최인훈-오딧세우스의 항해" 에피파니 2018
4 배지연, "최인훈 초기 소설에 나타난 근대의 양가성 - 「그레이구락부 전말기」와 「라울전」의 기독교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52) : 43-78, 2017
5 최인훈, "최인훈 전집" 문학과지성사 2008
6 정영훈, "최인훈 소설의 주체성과 글쓰기" 태학사 2008
7 김기우, "최인훈 단편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세 영역 -최인훈과 라캉의 주체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1 (21): 251-272, 2017
8 이태동, "최인훈" 서강대출판부 1999
9 조경덕, "운명과 자유 - 최인훈의 「라울전」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1 (21): 367-394, 2017
10 신익호, "신학적 神正論의 관점에서 본 문학* - <라울전>과 <고양이는 부르지 않을 때 온다>를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3 (53): 215-237, 2012
1 이동하, "한국 소설과 기독교" 국학자료원 2002
2 린다 허천,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2
3 방민호, "최인훈-오딧세우스의 항해" 에피파니 2018
4 배지연, "최인훈 초기 소설에 나타난 근대의 양가성 - 「그레이구락부 전말기」와 「라울전」의 기독교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52) : 43-78, 2017
5 최인훈, "최인훈 전집" 문학과지성사 2008
6 정영훈, "최인훈 소설의 주체성과 글쓰기" 태학사 2008
7 김기우, "최인훈 단편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세 영역 -최인훈과 라캉의 주체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1 (21): 251-272, 2017
8 이태동, "최인훈" 서강대출판부 1999
9 조경덕, "운명과 자유 - 최인훈의 「라울전」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1 (21): 367-394, 2017
10 신익호, "신학적 神正論의 관점에서 본 문학* - <라울전>과 <고양이는 부르지 않을 때 온다>를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3 (53): 215-237, 2012
11 이택광, "신성한 유물론: 발터 벤야민의 정치신학에 대하여" 한국비평이론학회 17 (17): 195-216, 2012
12 이수형, "신과 대면한 인간의 한계와 가능성-「라울전」과 「아겔다마」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1) : 225-246, 2010
13 노스롭 프라이, "성서와 문학" 숭실대학교 출판부 1993
14 이경림, "서사의 창조에 의한 자기 정위(定位)의 원칙– 최인훈의 『회색인』론" 한국현대문학회 (42) : 291-326, 2014
15 귄터 보른캄, "바울" 이화여대출판부 2006
16 장 폴 사르트르,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2017
17 조르조 아감벤, "목적없는 수단" 난장 2009
18 F. V. 콘스탄티노프, "맑스 레닌주의 철학의 본질" 중원문화 2012
19 최성은, "『쿠오 바디스』에 나타난 애국적 알레고리 연구 - 헨릭 시엔키에비츠의 노벨 문학상 100주년을 기념하며-"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7 (7): 125-158, 2005
20 방민호, "‘데가주망’의 논리 - 최인훈 장편소설 『회색인』 -" 한국문학언어학회 (67) : 161-190, 2016
「탐정소설가의 살인/가상범인」 속 ‘낭만성’의 실체와 호모소셜리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2 | 0.72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91 | 1.388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