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니콜라스 월터스토프와 미로슬라브 볼프의 공공신학의 함의 및 고찰: 정의와 샬롬 교육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68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공공 신학에 관한 정의와 샬롬의 교육을 주장한 니콜라스 월터스토프와 미로슬라브 볼프의 연구 및 주장을 고찰한다. 니콜라스 월터스토프는 개혁주의 전통에서 신학과 학문의 학제 간 연구 및 실천적 학문을 위해 힘써온 학자이다. 그는 샬롬의 비전은 하나님 나라의 핵심이며 정의를 통해 구현되고, 기독교의 제자도는 정의를 실천하여 공공선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을 길러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미로슬라브 볼프는 공공 신학을 대표하는 신학자이며, 십자가 신학으로부터 차용한 포용과 화해의 원리를 전제로 교회가 타자의 선을 위해 공적 영역에 참여할 것을 제안한다. 하나님이 십자가를 통해 인간을 온전히 포용하셨기에 그리스도인 역시 타자를 전적으로 포용해야 하며, 그것이 바로 사랑 안에 정의를 구현하며 진리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두 학자의 공공 신학에 대한 관점 및 주장을 토대로 정의와 샬롬의 교육이 기독교 교육 내에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며 실현되어야 할지에 대해 성경적 세계관을 토대로 연구 및 분석,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공공 신학에 관한 정의와 샬롬의 교육을 주장한 니콜라스 월터스토프와 미로슬라브 볼프의 연구 및 주장을 고찰한다. 니콜라스 월터스토프는 개혁주의 전통에서 신학과 학문의 ...

      본 논문은 공공 신학에 관한 정의와 샬롬의 교육을 주장한 니콜라스 월터스토프와 미로슬라브 볼프의 연구 및 주장을 고찰한다. 니콜라스 월터스토프는 개혁주의 전통에서 신학과 학문의 학제 간 연구 및 실천적 학문을 위해 힘써온 학자이다. 그는 샬롬의 비전은 하나님 나라의 핵심이며 정의를 통해 구현되고, 기독교의 제자도는 정의를 실천하여 공공선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을 길러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미로슬라브 볼프는 공공 신학을 대표하는 신학자이며, 십자가 신학으로부터 차용한 포용과 화해의 원리를 전제로 교회가 타자의 선을 위해 공적 영역에 참여할 것을 제안한다. 하나님이 십자가를 통해 인간을 온전히 포용하셨기에 그리스도인 역시 타자를 전적으로 포용해야 하며, 그것이 바로 사랑 안에 정의를 구현하며 진리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두 학자의 공공 신학에 대한 관점 및 주장을 토대로 정의와 샬롬의 교육이 기독교 교육 내에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며 실현되어야 할지에 대해 성경적 세계관을 토대로 연구 및 분석,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eeks to explore justice and Shalom’s education through research and argumentation concerning the public theology of Nicholas Wolterstorff and Miroslav Volf. Wolterstorff is a prominent scholar regarding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practical study of theology and discipline in the Reformed tradition. He argues that Shalom’s vision is the main core of the kingdom of God and is actualized through justice. Christian discipline cultivates people who practice justice and serve the public good. In addition, Volf states that because God fully embraced humans through the cross, Christians must also fully embrace others, claiming it is the realization of justice in love and the pursuit of truth.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analyze, and examine how justice and Shalom"s education should be realized within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the two scholars" viewpoints and arguments on public theology based on a biblical worldview.
      번역하기

      This paper seeks to explore justice and Shalom’s education through research and argumentation concerning the public theology of Nicholas Wolterstorff and Miroslav Volf. Wolterstorff is a prominent scholar regarding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This paper seeks to explore justice and Shalom’s education through research and argumentation concerning the public theology of Nicholas Wolterstorff and Miroslav Volf. Wolterstorff is a prominent scholar regarding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practical study of theology and discipline in the Reformed tradition. He argues that Shalom’s vision is the main core of the kingdom of God and is actualized through justice. Christian discipline cultivates people who practice justice and serve the public good. In addition, Volf states that because God fully embraced humans through the cross, Christians must also fully embrace others, claiming it is the realization of justice in love and the pursuit of truth.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analyze, and examine how justice and Shalom"s education should be realized within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the two scholars" viewpoints and arguments on public theology based on a biblical worldvie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공공 신학의 필요성 및 성경적 토대
      • Ⅲ. 니콜라스 월터스토프의 샬롬과 정의 교육
      • Ⅳ. 미로슬라브 볼프의 공공 신학적 관점
      • Ⅴ. 비판적 평가 및 시사점
      • Ⅰ. 들어가는 말
      • Ⅱ. 공공 신학의 필요성 및 성경적 토대
      • Ⅲ. 니콜라스 월터스토프의 샬롬과 정의 교육
      • Ⅳ. 미로슬라브 볼프의 공공 신학적 관점
      • Ⅴ. 비판적 평가 및 시사점
      • Ⅵ.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Volf. M., "행동하는 기독교" IVP 2017

      2 Volf. M., "하나님의 말씀에 사로잡혀" 국제제자훈련원 2012

      3 손봉호, "하나님을 사랑한 철학자 9인" IVP 2005

      4 장동민,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의 한국 기독교" 새물결플러스 2019

      5 이도영, "코로나19이후 시대와 한국교회의 과제" 새물결플러스 2020

      6 Kuyper. A, "칼빈주의 강연" 크리스천다이제스트 2017

      7 Reeves. M, "처음 읽는 신학자" 복있는사람 2018

      8 Berger. P. L., "종교와 사회" 종로서적 1982

      9 McGrath, A. E, "종교개혁 시대의 영성" 좋은 씨앗 2021

      10 황윤한, "제6차 교육과정과 구성주의적 교육" 33 (33): 237-252, 1995

      1 Volf. M., "행동하는 기독교" IVP 2017

      2 Volf. M., "하나님의 말씀에 사로잡혀" 국제제자훈련원 2012

      3 손봉호, "하나님을 사랑한 철학자 9인" IVP 2005

      4 장동민,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의 한국 기독교" 새물결플러스 2019

      5 이도영, "코로나19이후 시대와 한국교회의 과제" 새물결플러스 2020

      6 Kuyper. A, "칼빈주의 강연" 크리스천다이제스트 2017

      7 Reeves. M, "처음 읽는 신학자" 복있는사람 2018

      8 Berger. P. L., "종교와 사회" 종로서적 1982

      9 McGrath, A. E, "종교개혁 시대의 영성" 좋은 씨앗 2021

      10 황윤한, "제6차 교육과정과 구성주의적 교육" 33 (33): 237-252, 1995

      11 Wolterstorff. N, "정의와 평화가 입맞출 때까지" IVP 2007

      12 Bonhoeffer. D, "저항과 복종" 대한기독교서회 2010

      13 Volf. M., "일과 성령" IVP 2019

      14 Williams. R, "인간이 된다는 것" 복있는사람 2019

      15 Volf. M., "인간의 번영" IVP 2017

      16 Migliore. D. L,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 새물결플러스 2016

      17 신국원, "월터스톨프의 실천지향적 기독교 철학" 70 (70): 236-261, 2003

      18 Wolterstorff. N, "월터스토프 하나님의 정의" 복있는사람 2017

      19 김동규, "우리 시대의 기독교 사상가들" 도서출판100 2020

      20 Bacote. V. E., "아브라함 카이퍼의 공공신학과 성령" SFC출판부 2019

      21 Wright. N. T., "신약성서와 하나님의 백성" 크리스천다이제스트 2003

      22 Volf. M., "세상에 2012 주는 신학" IVP 2020

      23 Goheen. M. W., "세계관은 이야기다" IVP 2011

      24 Goheen. M. W., "성경은 드라마다" IVP 2014

      25 Wolterstorff. N, "샬롬을 위한 교육" SFC출판부 2014

      26 Volf. M., "삼위일체와 교회" 새물결플러스 2012

      27 Wolterstorff. N, "사랑과 정의" IVP 2017

      28 신국원, "변혁과 샬롬의 대중문화론" IVP 2004

      29 Volf. M., "배제와 포용" 새물결플러스 2012

      30 Mouw. R. J, "무례한 기독교" IVP 2004

      31 Newbigin. L,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IVP 2007

      32 신영순, "니콜라스 월터스톨프(Nicholas P. Wolterstorff)의 기독교교육 사상에 관한 연구"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5

      33 박성철, "니콜라스 월터스토프의 정의론에대한 연구" 한국복음주의신학회 87 : 165-192, 2018

      34 Sider. R. J, "그리스도인의 양심 선언" IVP 2005

      35 Volf. M., "광장에 선 기독교" IVP 2014

      36 김현진, "공동체적 교회 회복을 위한 공동체 신학"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37 최경환, "공공신학으로 가는 길" 도서출판100 2019

      38 성석환, "공공신학과 한국사회" 새물결플러스 2019

      39 김창환, "공공신학과 교회" 대한기독교서회 2021

      40 임창호, "공공성을 회복하라 : 기독교 공동체와 공공성" 쿰란출판사 2000

      41 Wolterstorff. N, "경이로운 세상에서" 복있는 사람 2020

      42 Audi R., "Religion in the public square: the place of religious convictions in the political debate" Rowman&Littlefield 1997

      43 Bavinck. H., "Reformed dogmatics, vol. 2 : God and creation" Baker Academic 2004

      44 Casanova. J, "Public religions in the modern worl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45 Wuthnow. R, "Producing the sacred : An essay to public relig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4

      46 Smit. D., "Notions of the public and doing theology" 1 (1): 431-454, 2007

      47 Plantinga Jr, C, "Not the way it’s supposed be : a breviary of sin" Eerdmans 1996

      48 Wolterstorff. N., "Miroslav Volf on living one’s faith" 14 (14): 721-726, 2015

      49 Brueggemann. W, "God, neighbor, empire: The excess of divine fidelity and the command of common good" Baylor University Press 2016

      50 Volf. M., "Faith, pluralism, and public engagement: A response" 14 (14): 813-834, 2013

      51 Plantinga. Jr, C, "Engaging God’s world: a Christian vision of faith, learning, and living"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2

      52 Wolterstorff. N., "Education for life: reflection on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2

      53 Strohm, B. H., "Contextuality and intercontextuality in public theology" Lit verlag 2013

      54 Atkinson. J. W., "An introduction to motivation" Van Nostrand 1964

      55 Kim. K., "A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9 0.65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