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여 장애인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장애인사역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96891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3-157(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여 장애인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장애인사역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여 장애인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장애인사역연구소에서 주최한 제19회 장애인교회학교 캠프강습회에 참여한 장애인교회학교 교사 및 교역자 173명으로, 총 173개의 설문지 중 응답내용이 부적절한 8개를 제외한 유효설문지 165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ASW Statistic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Scree-test 및 요인분석으로 요인수를 살펴본 결과, 원자료의 eigen-value와 random data의 95% 신뢰구간 eigen-value를 비교하여 5개 상위요인과 25개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KMO·Bartlett 구형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KMO는 .992로 .5보다 크기 때문에 요인분석에 적절한 표본적합도를 나타냈으며, 상관계수 행렬의 대각행렬 여부를 검증하는 Bartlett 값이 p<.05, Chi-Square 3140.156(자유도 = 300)으로 대각행렬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델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RMSEA=.083, RMR=.042, TLI=.887, CFI=.900, Chi-Square=567.119, DF=265, P=.000로 수용가능한 수준의 지수가 도출되었다. 넷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집중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표준화 계수가 .5이상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였으며, AVE(평균분산추출) 값이 >.5를 충족하여 50%이상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판별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잠재변인들 간에 상관관계가 유의한 관계로 나타났으며(p<0.05), 잠재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AVE>상관계수², 평균분산추출(AVE)>.5, 개념신뢰도(C.R.)>.8의 범위로 파악되었다. 여섯째, Cronbach Alpha를 살펴본 결과, 내적일관성신뢰도 값이 .879~.910 범위로 나타남에 따라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으며, 세부요인별로는 교회 내 비장애인과의 통합 .879, 인식변화 .883, 장애인 편의시설 제공 .910, 장애인 교회학교 예배지원 .877, 전문성 개발 .897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장애인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평가지표가 개발되었으며, 이 연구가 장애인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source material for the invigoration of the church school for the disabled by conducting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and valid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3 teachers and religious workers of the church schoo...
This study aims to provide source material for the invigoration of the church school for the disabled by conducting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and valid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3 teachers and religious workers of the church school for the disabled who participated in the 19th Church School for the Disabled Camp Workshop hosted by the Korea Ministry Institute for the Disabled. A positive sample of nonprobability sampling was used for the sampling, and a total of 17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f which 165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8 inappropriate responses. The research method was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 analyzed as follows using the PASW Statistics 18.0 and Amos 18.0 program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are the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umber of factors with Scree-test and factor analysis, it extracted 5 upper factors and 25 sub factors by comparing the eigen-value of the 95% confidence interval of the eigen-value and the random data from the source material.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KMO and Bartlett"s sphericity test, it showed the appropriate sample suitability for factor analysis because KMO was 992, which is greater than.5. The Bartlett value verifying the diagonal matrix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matrix was p<.05, Chi-Square 3140.156 (degree of freedom = 300), which was not a diagonal matrix.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ling suitability by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daptable levels of index were derived as RMSEA=.083, RMR=.042, TLI=.887, CFI=.900, Chi-Square=567.119, DF=265, P=.000.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Convergent Validity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showed that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satisfied all the criteria of.5 or more, and that the 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 value satisfied > .5, and thus has an explanation power of 50% or more.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Discriminant Validity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all latent variables was significant (p<0.05),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latent variables was in the range of AVE>CC², AVE>.5, and C.R.>.8. Sixth, the result of examining Cronbach Alpha showed a high level of reliability as the value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in the range of .879 to .910, and the detailed factor showed that integration with the non-disabled in churches was .879, the change in perception was .883, the providing facility for the disabled was .910, the supporting worship of church schools for the disabled was .877,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897. As such, the evaluation index for revitalization of church schools for the disabled has been developed,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be the source material for invigorating the church schools for the disabl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미, "한국인의 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종교적, 문화적, 성서적 연구" 18 : 61-107, 2000
2 이계윤, "한국교회 장애인사역의 현황과 중장기적 과제" 5 : 7-29, 2007
3 김성원, "장애통합 사역 지원 요소에 대한 예비 목회자들의 인식" 개혁신학회 43 : 127-155, 2017
4 김일권, "장애인에 대한 성경적 이해" 40 : 6-27, 2003
5 이재환, "장애인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한국기독교학회 (96) : 219-242, 2015
6 안교성, "장애인교육 : 장애아동 종교교육을 위한 몇가지 제언" 177 : 48-51, 1991
7 안교성, "장애인교육 : 교회일치와 장애인교육" 184 : 58-61, 1991
8 이회능, "장애인과 비장애인 통합교육에 관한 기독교적 접근"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9) : 113-152, 2004
9 안교성, "장애인 교육 : 장애인은 목회의 문제다" 170 : 89-94, 1990
10 탁지일, "시각장애인 교육의 선구자 로제타 홀" 한국기독교학회 (74) : 87-104, 2011
1 박경미, "한국인의 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종교적, 문화적, 성서적 연구" 18 : 61-107, 2000
2 이계윤, "한국교회 장애인사역의 현황과 중장기적 과제" 5 : 7-29, 2007
3 김성원, "장애통합 사역 지원 요소에 대한 예비 목회자들의 인식" 개혁신학회 43 : 127-155, 2017
4 김일권, "장애인에 대한 성경적 이해" 40 : 6-27, 2003
5 이재환, "장애인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한국기독교학회 (96) : 219-242, 2015
6 안교성, "장애인교육 : 장애아동 종교교육을 위한 몇가지 제언" 177 : 48-51, 1991
7 안교성, "장애인교육 : 교회일치와 장애인교육" 184 : 58-61, 1991
8 이회능, "장애인과 비장애인 통합교육에 관한 기독교적 접근"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9) : 113-152, 2004
9 안교성, "장애인 교육 : 장애인은 목회의 문제다" 170 : 89-94, 1990
10 탁지일, "시각장애인 교육의 선구자 로제타 홀" 한국기독교학회 (74) : 87-104, 2011
11 한국장애인사역연구소, "발달장애인교회학교 실태조사 : 지적장애인과 자폐성장애인을 중심으로" 도서출판 한장연 2018
12 최대열, "몰트만의 장애(인)신학" 한국기독교학회 (77) : 83-110, 2011
13 이금섭, "목회자 양성 대학의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 개설 현황 조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297-313, 2005
14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 161-177, 2000
15 김요섭, "교회 장애인 부서 교사들의 의식에 대한 조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6) : 157-180, 2007
16 김기흥, "교회 내 장애인 부서의 운영 실태와 통합교육에 대한 담당 교사들의 인식" 기독교학문연구회 22 (22): 35-67, 2017
17 Anthony, M. J., "In foundation of ministry: An introduction to Christion education for a new generation" Victor Books 360-378, 1992
니콜라스 월터스토프와 미로슬라브 볼프의 공공신학의 함의 및 고찰: 정의와 샬롬 교육을 중심으로
기독대학생이 인식한 가족건강성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성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9 | 0.655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