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馬場是一郞, "梁山夫婦塚と其遺物" 朝鮮總督府 1927
2 穴澤咊光, "羅州潘南面古墳群" 古代學硏究會 70 : 1973
3 공주대학교박물관, "회맹지 취리산"
4 호암미술관, "황금의 미-한국미술 속의 금빛"
5 국립광주박물관, "함평 신덕고분 조사개보"
6 홍보식, "한반도 남부지역의 왜계 요소-기원후 3∼6세기대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44) : 21-58, 2006
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6 삼국의 정치와 사회II in: 백제" 1995
8 국립중앙박물관, "하찌우마타다수선생 기증유물특별전"
9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백제(도록)"
10 차용걸, "청주 신봉동유적의 고고학적 검토 in: 백제 지방세력의 존재양태"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11 충북대학교 박물관, "청주 신봉동고분군"
12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청원 주성리유적"
13 충북대학교박물관, "청원 南城谷고구려유적"
14 공주대학교박물관, "천안 용원리고분군"
15 박영복, "중부지역 발견 고구려계 귀걸이 in: 창산김정기박사화갑기념논총" 1990
16 강인구, "중국묘제가 무령왕릉에 미친 영향"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0 : 1979
17 최종규, "제라야의 문물교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3 : 1992
18 임영진, "전남지역 석실봉토분의 백제계통론 재고" 호남고고학회 6 : 1997
19 조근우, "전남지방의 석실분 연구" 한국상고사학회 21 : 1986
20 목포대학교박물관, "자미산성"
21 정상기, "일제강점기 자료로 본 송산리와 능산리고분군" 국립중앙박물관 10 : 2009
22 국립박물관, "의성 탑리고분"
23 이남석, "웅진시대의 백제고고학" 서경문화사 2002
24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웅진도읍기의 백제" 2007
25 김영심, "웅진 사비시기 백제의 영역 in: 고대 동아세아와 백제" 서경문화사 2003
26 서울대학교박물관, "용원리유적 : C지구 발굴조사보고서" 2001
27 권오영, "영산강유역 정치체의 성격 in: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동향" 서경문화사 2007
28 강봉룡,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의 대두와 그 역사적 의미"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41 : 1999
29 김낙중,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서울대학교 2009
30 최병현, "신라고분연구" 일지사 1988
31 이한상, "송산리분묘군 출토 금속제 장신구" 한국고고미술연구소 8 : 1997
32 김태식, "송산리6호분 명문전 재검토를 통한 무녕왕릉 축조 재론" 충북대학교사학회 19 : 2007
33 이훈, "서산 부장리고분과 분구묘" 2006
34 박희명, "삼국시대 팔찌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1
35 최병현, "삼국시대 공예 in: 한국미술사" 대한민국 예술원 1984
36 서현주, "복암리고분군 출토 토기의 양상과 성격 in: 영산강유역 고대문화의 성립과 발전" 학연문화사 2007
37 전남대학교 박물관, "복암리고분군"
38 최성락, "복암리3호분의 분형과 축조과정 in: 영산강유역 고대문화의 성립과 발전" 학연문화사 2007
39 국립중앙박물관, "법천리Ⅱ"
40 국립공주박물관, "백제의 제사유적 정지산"
41 박순발, "백제의 남천과 영산강유역 정치체의 재편 in: 한국의 전방후원분"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0
42 이송란, "백제 무령왕과 왕비 관의 복원시론과 도상 in: 무령왕릉·출토유물 분석보고서Ⅱ" 국립공주박물관 2006
43 신영호, "무령왕의 금동제 신발에 대한 일고찰"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1 : 2000
44 이한상, "무령왕릉 출토품 추보(1)『대금구』" 한국고고미술연구소 5 : 1993
45 정광용, "무령왕릉 왕비 신발의 제작기법 연구" 호서고고학회 4 : 2001
46 문화재관리국, "무령왕릉 발굴조사보고서" 1973
47 윤무병, "무령왕릉 및 송산리6호분의 전축구조에 대한 고찰"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5 : 1974
48 임영진, "마한 백제 고고학의 최근 연구 성과와 과제" 한국선사고고학회 12 : 2006
49 권오영, "동아시아 문명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돌베개 2005
50 이한상, "대전 월평산성 출토 고구려토기 in: 학산 김정학박사 송수기념논총 한국고대사와 고고학" 학연문화사 2000
51 국립문화재연구소, "나주 신촌리9호분"
52 신대곤, "나주 신촌리 출토 관ㆍ관모 일고" 고대연구회 5 : 1997
53 국립문화재연구소, "나주 복암리3호분"
54 국립광주박물관, "나주 반남고분군 종합조사보고서" 1988
55 전남대학교박물관, "나주 덕산리고분군"
56 박보현, "금동관으로 본 나주 신촌리9호분 을관의 연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8 : 1998
57 이병도, "근초고왕 척경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 : 1970
58 국립공주박물관, "근대박물관의 태동, 공주와 박물관"
59 안승주, "공주 웅진동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4 : 1980
60 안승주, "공주 보통골 백제고분발굴조사보고서"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91
61 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 "공주 금학동고분군"
62 계명대학교, "고령 지산동고분군"
63 권오영, "고대 한국의 상장의례" 한국고대사학회 20 : 2000
64 노태돈, "고구려의 한성지역 병탄과 그 지배양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66 : 2005
65 白井克也, "고구려 토기연구의 성과와 새로운 과제 in: 한국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5
66 최종택, "고고자료를 통해 본 웅진도읍기 한강유역 영유설 재고" 백제연구소 47 (47): 127-160, 2008
67 大阪府立近つ飛鳥博物館, "黃泉のアクセサリ-古墳時代の裝身具" 2003
68 森下章司, "鴨稻荷山古墳出土遺物の調査 in: 琵琶湖周邊の6世紀を探る" 京都大學文學部考古學硏究室 1995
69 木下亘, "韓半島 出土 須惠器(系) 土器에 대하여" 백제연구소 37 : 21-36, 2003
70 菊水町史編纂委員會, "菊水町史江田船山古墳編"
71 成正鏞, "百濟와 中國의 貿易陶磁" 백제연구소 38 : 25-56, 2003
72 輕部慈恩, "百濟遺蹟の硏究" 吉川弘文館 1972
73 齊東方, "百濟武寧王墓와 南朝梁墓 in: 무령왕릉과 동아세아" 국립공주박물관 2001
74 王志高, "百濟武寧王陵形制結構的考察" 충청문화재연구원 2005
75 권오영, "百濟文化의 이해를 위한 中國 六朝文化 탐색" 한국고대사학회 (37) : 81-112, 2005
76 김영심, "榮山江流域 古代社會와 百濟" 역사문화학회 3 (3): 297-328, 2000
77 東洋學術協會, "梅原考古資料目錄朝鮮之部"
78 有光敎一, "昭和十三年度古蹟調査報告" 朝鮮古蹟硏究會 1940
79 朝鮮總督府, "慶尙北道達城郡達西面古墳調査報告" 1930
80 조윤재, "宋山里6號墳 銘文塼 판독에 대한 管見" 호서고고학회 19 (19): 58-73, 2008
81 朝鮮總督府, "大正六年度古蹟調査報告" 1920
82 本村豪章, "古墳時代の基礎硏究稿-資料篇(II)-" 26 : 1991
83 毛利光俊彦, "古代朝鮮冠(百濟) in: 瓦衣千年森郁夫先生還曆記念論文集" 1999
84 周裕興, "南京의 南朝墓制硏究 in: 위진남북조시대 묘장제도와 백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9
85 南京市博物館, "南京市栖霞區東楊坊南朝墓" 2008
86 有光敎一, "公州宋山里第29號墳發掘調査報告 in: 朝鮮古蹟硏究會遺稿Ⅱ" 유네스코 東아시아문화연구센터 재단법인 동양문고 2002
87 野守健, "公州宋山里古蹟調査報告 in: 昭和2年度古蹟調査 第2冊" 朝鮮總督府 1935
88 輕部慈恩, "公州に於ける百濟古墳(8)" 26 (26): 1936
89 김낙중, "6세기 영산강유역의 장식대도와 왜 in: 영산강유역 고대문화의 성립과 발전" 학연문화사 2007
90 酒井淸治, "5·6세기의 토기에서 본 羅州勢力" 백제연구소 (39) : 63-83, 2004
91 김낙중, "5~6세기 영산강유역 정치체의 성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32 : 2000
92 양기석, "475년 위례성 함락 직후 고구려와 백제의 국경선 in: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