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식적 말하기 교육내용 고찰 = Critical Review of the Contents of Public Speaking Education Cont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07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ideas, bur they didn't systematically and concretely learn how to speak in school. So I inspect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eaking and the contents of speaking education in the 7th korean curriculum. The contents of public speaking education have mainly general contents about the way of express to create and organize, but little concrete contents of it. So I suggest that the contents of public speaking education are presented by speaking types and constructed of the ability to use language, the ability to organize a message logically and the psycholog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according to Seo, Jae Cheol's idea.
      Most of all, we should study about student's public speaking realities and structure the contents of public speaking education based on it. So it needs that we systematically support the studies about it.
      번역하기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ideas, bur they didn't systematically and concretely learn how to speak in school. So I inspect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eaking and the contents of speaking education in the 7th korean c...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ideas, bur they didn't systematically and concretely learn how to speak in school. So I inspect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eaking and the contents of speaking education in the 7th korean curriculum. The contents of public speaking education have mainly general contents about the way of express to create and organize, but little concrete contents of it. So I suggest that the contents of public speaking education are presented by speaking types and constructed of the ability to use language, the ability to organize a message logically and the psycholog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according to Seo, Jae Cheol's idea.
      Most of all, we should study about student's public speaking realities and structure the contents of public speaking education based on it. So it needs that we systematically support the studies about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교에서 학생들은 자기의 생각이나 의견을 표현할 기회를 자주 갖게 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말해야 하는가를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지도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공식적 말하기의 특징을 살피고,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상에 나와있는 말하기 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공식적 말하기에 관한 내용은 내용생성이나 내용조직 면에서 일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었고 표현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래서 공식적 말하기 내용을 구조화하기 위해 말하기 유형별로 말하기 내용을 제시하는 것과 서재철의 논의에 따라 언어구사능력, 논리적 조직 능력, 심적 전달 능력에 따라 구조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공식적인 말하기 실태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구조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말하기 실태를 파악한 후 학생들에게 필요한 말하기 교육을 정선해야 하며 이러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학교에서 학생들은 자기의 생각이나 의견을 표현할 기회를 자주 갖게 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말해야 하는가를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지도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공식적 ...

      학교에서 학생들은 자기의 생각이나 의견을 표현할 기회를 자주 갖게 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말해야 하는가를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지도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공식적 말하기의 특징을 살피고,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상에 나와있는 말하기 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공식적 말하기에 관한 내용은 내용생성이나 내용조직 면에서 일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었고 표현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래서 공식적 말하기 내용을 구조화하기 위해 말하기 유형별로 말하기 내용을 제시하는 것과 서재철의 논의에 따라 언어구사능력, 논리적 조직 능력, 심적 전달 능력에 따라 구조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공식적인 말하기 실태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구조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말하기 실태를 파악한 후 학생들에게 필요한 말하기 교육을 정선해야 하며 이러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화법의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 한국화법학회 6집 : 2003

      2 "화법 교육의 방향 연구" 한국 국어교육 연구회 94 : 1997

      3 "학습자 중심의 국어 교육" 서광학술자료사 1994

      4 "학생 소집단 대화의 구조와 전략 연구" 2004

      5 "프리젠테이션의 모든 것" 청림출판 2003

      6 "프리젠테이션 박사-최신 개정판" 21세기 북스 2003

      7 "프레젠테이션은 말하는 힘으로 결정된다" 바른지식 2005

      8 강길호,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한나래 2000

      9 "커뮤니케이션 이론(제5판)" 나남출판사 1995

      10 "침묵의 세계" 까치 1985

      1 "화법의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 한국화법학회 6집 : 2003

      2 "화법 교육의 방향 연구" 한국 국어교육 연구회 94 : 1997

      3 "학습자 중심의 국어 교육" 서광학술자료사 1994

      4 "학생 소집단 대화의 구조와 전략 연구" 2004

      5 "프리젠테이션의 모든 것" 청림출판 2003

      6 "프리젠테이션 박사-최신 개정판" 21세기 북스 2003

      7 "프레젠테이션은 말하는 힘으로 결정된다" 바른지식 2005

      8 강길호,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한나래 2000

      9 "커뮤니케이션 이론(제5판)" 나남출판사 1995

      10 "침묵의 세계" 까치 1985

      11 "청자를 고려한 대화방법" 한국화법학회 (5호) : 2003

      12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이화여대 교육과학연구소 제32집 : 2001

      13 "제7차 교육과정 적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02

      14 "자기조절 전략 수업과 상위인지가 아동의 작문수행에 미치는 효과" 1995

      15 "음성언어 생태와 듣기 말하기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제22집 : 2003

      16 "오늘의 국어 무엇이 문제인가" 어문각 1993

      17 "언어의 진실성에 대하여" 5집 : 2001

      18 김진우, "언어와 의사소통" 한신문화사 11995

      19 "언어와 문화" 박이정 2001

      20 "언어사용과 국어사랑" 1997

      21 "언어 사용 영역의 내용 체계에 대한 연구" 1998

      22 "언어 교수학" 박영사 1994

      23 김영임, "스피치커뮤니케이션" 나남출판 1998

      24 "스피치와 프레젠테이션" 민지사 2004

      25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나남출판 1998

      26 "설득적 말하기 능력 신장 방안에 관한 연구" 2001

      27 "상황 맥락의 도입을 통한 말하기 지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3

      28 "상생화용론 서설"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03

      29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30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일지사 1988

      31 "메타커뮤니케이션의 분석을 통한 국어 교수-학습 내용 탐구" 1996

      32 "말하기에 나타난 자기 조정하기 양상연구, 말하기 듣기 수업방법" 박이정 2000

      33 "말하기 영역의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타당성 고찰" 한국화법학회 3 : 2001

      34 "말하기 듣기의 교육내용 구성과 교과서 개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997

      35 "말하기 듣기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한 제고" 1998

      36 "말하기 듣기 영역의 교육과정 내용의 체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1997

      37 "말하기 듣기 교육론" 박이정 1999

      38 "말하기 듣기 교육론" 박이정 1999

      39 "말하기 교육의 효율적인 교수 방안 연구" 2003

      40 "말하기 교육에 관련된 수삼의 과제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86

      41 "말하기 교육 어떻게 바라 볼 것인가?" 2003

      42 "말하기 교육 및 연구의 현황과 과제, 말하기 듣기 수업방법" 도서출판 박이정 2000

      43 "말하기 교육 및 연구의 현황과 과제, 말하기 듣기 수업 방법" 박이정 2000

      44 "말 그 모습과 쓰임" 한국문화사 1997

      45 "대화의 메타분석을 활용한 말하기 평가 방법 탐색" 99 (99): 1999

      46 구현정, "대화의 기법" 한국문화사 1997

      47 "대화 지도를 위한 반복표현의 기능 연구" 1999

      48 "대인 관계와 의사소통" 집문당 1995

      49 "논쟁의 교수 학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연구" 제19집 : 2002

      50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사 1999

      51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1997

      52 "국어교육학 원론" 교학사 1997

      53 "국어교육의 원리" 청하 1989

      54 "국어과 협동학습 방안" 박이정 1 : 2003

      55 "국어과 수업 담화분석을 통한 교수 전략 연구" 1995

      56 "국어과 교육론" 갑을출판사 1988

      57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탐구" 교학사 1995

      58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 문예출판사 1995

      59 김윤옥,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과 설계" 문음사 1996

      60 "공감적 듣기의 듣기교육적 수용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61 "SPEECH" NTC Publishing Group 1996

      62 "SPEAKING TO THINK THINKING TO SPEAK" Boynton/Cook Publisher 1995

      63 "SPEAK SMART" Princeton Review Publishing, L.L.C. 1997

      64 "Essentials of Public Speak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9

      65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Boynton/Cook Publisher 1999

      66 "'Teaching Oral Communication in Grade K-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