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남산에서의 임형과 토양 환경에 따른 서양등골나물의 분포 양상 = Distribution Pattern of Eupatorium rugosum in Various Forest Types and Soils in Mt. Nam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47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Eupatorium rugosum by forest types and soil characteristics in Mt. Namsan in Seoul, Korea. E. rugosum is designated as a harmful non-indigenous plant in ecos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Eupatorium rugosum by forest types and soil characteristics in Mt. Namsan in Seoul, Korea. E. rugosum is designated as a harmful non-indigenous plant in ecosystem by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in Korea. E. rugosum grew along roadside and in valleys with some favorable light conditions. E. rugosum occurred in aggregations under Pinus densiflora an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ies. And it was sparse in forests of Quercus mongolica and P. koraiensis. The representative herb layer species were Oplismenus
      undulatifolius, an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in the E. rugosum communities.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verage of E. rugosum and the coverage of tree layer. However, the result of ANOVA of E. rugosum coverage by dominant species of tree laye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level of soil moisture content, organic content, and pH, was slightly higher in communities with E. rugosum than without, but it was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coverage of E. rugosum was very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the depth of top soil profile (litter and
      fermentation layer, p<0.05).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울 남산을 대상으로 임형과 토양 특성에 따른 서양등골나물의 출현과 분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양등골나물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환경부 고시 생태계위해외래식물로 광조건...

      서울 남산을 대상으로 임형과 토양 특성에 따른 서양등골나물의 출현과 분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양등골나물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환경부 고시 생태계위해외래식물로 광조건이 좋은 길가와 계곡의 교란된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서양등골나물군락은 소나무림과 아까시나무림 하층에 주로 출현하였
      으며, 신갈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서양등골나물군락의 초본층 식별종은 주름조개풀과 담쟁이덩굴이었다. 서양등골나물의 피도와 우점수종의 피도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ANOVA, p>0.05). 토양함수량, 유기물 함량, 수소이온농도, 표층의 두께(F-Hlayers) 등 토양 환경 특성과 서양등골나물의 출현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서양등골나물이 출현한 군락에
      서 토양함수량 및 유기물 함량, 수소이온농도가 서양등골나물이 출현하지 않은 군락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표층(F-H층)의 두께와 서양등골나물의 피도는 강한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p<0.0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창변. 1987. 서울 남산의 식생. 중앙대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1" 31-42,

      2 "전의식. 1980. 한반도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23" 69-83,

      3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 1-31,

      4 "의 식생과 토양요인에 관하여. 자연보존 60" 13-18, 1987.남산공원

      5 "식물환경연구소" 농촌진흥청 .1971.개략토양도.서울.

      6 "서양등골나물의 생태적 특성 및 환경위해성 평가.." 건국대학교 142 p.-, 2003.

      7 "서양등골나물(Ageratina altissima)(L.R. King & H. Robinson) 개체군의 생육특성 및 유전적 구조." 73 p.-, 2002.

      8 "남산공원관리사무소. 1993. 남산 제 모습 가꾸기 자연보전사업보고서. 서울특별시" 67-,

      9 "L.O. and M.B. McDonald. 1985. Principles of seedscience and Technology. Burgess Publishing Company" 111-,

      10 "Eupatorium rugosum(Asteraceae)flowering as an indicator of edge effect fromclearcutting in mixed-mesophytic forest. Forest Ecol. Manag.155" 155 : 55-68, 2002.

      1 "한창변. 1987. 서울 남산의 식생. 중앙대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1" 31-42,

      2 "전의식. 1980. 한반도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23" 69-83,

      3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 1-31,

      4 "의 식생과 토양요인에 관하여. 자연보존 60" 13-18, 1987.남산공원

      5 "식물환경연구소" 농촌진흥청 .1971.개략토양도.서울.

      6 "서양등골나물의 생태적 특성 및 환경위해성 평가.." 건국대학교 142 p.-, 2003.

      7 "서양등골나물(Ageratina altissima)(L.R. King & H. Robinson) 개체군의 생육특성 및 유전적 구조." 73 p.-, 2002.

      8 "남산공원관리사무소. 1993. 남산 제 모습 가꾸기 자연보전사업보고서. 서울특별시" 67-,

      9 "L.O. and M.B. McDonald. 1985. Principles of seedscience and Technology. Burgess Publishing Company" 111-,

      10 "Eupatorium rugosum(Asteraceae)flowering as an indicator of edge effect fromclearcutting in mixed-mesophytic forest. Forest Ecol. Manag.155" 155 : 55-68, 2002.

      11 "Distribution pattern ofwhite snakeroot as an invasive alien plant and restorationstrategy to inhibit its expansion in Seoripool Park" 7 : 197--205, .2003.

      12 "Characteristicsand distribution pattern of Eupatorium rugosum at Mt.Namsan in Seoul." 20 : 285-291, 1997.

      13 "1989. 서울시의 식생과 귀화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14 "1987. 남산의 식물상. 자연보존 59" 36-48,

      15 ".남산자연공원의 식물군락분류와 토양환경." 21 : 633-648, 1998

      16 ".The effect of a disturbance corridor on an ecological reserve." Zinc 3 : 304-310, 1995

      17 ". 귀화생물에 의한생태적 영향 조사 ." 230-, 1996.

      18 ". 귀화생물에 의한 생태적 영향 조사 ." 215-, 1995.

      19 ". 2000. Role of light availability anddispersal in exotic plant invasion along roads and streams inthe H.J. Andrews Experimental Forest" 14 : 64-75,

      20 ". . 서울 남산공원의 식물상과 그 분포." 21 : 603-631, 1998

      21 ". 서울시 생물종 분포변화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12-,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1-01 평가 SCOPUS 등재 (등재유지) KCI등재
      2013-04-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태학회지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외국어명 :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3-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8 0.08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7 0.29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