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여성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담겨있는 내용과 본질을 도출하는 것이다. 결혼이민여성들은 사회ㆍ경제ㆍ문화적 차별에 노출되어 살면서 한국사회에의 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36370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5-43(19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여성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담겨있는 내용과 본질을 도출하는 것이다. 결혼이민여성들은 사회ㆍ경제ㆍ문화적 차별에 노출되어 살면서 한국사회에의 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여성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담겨있는 내용과 본질을 도출하는 것이다. 결혼이민여성들은 사회ㆍ경제ㆍ문화적 차별에 노출되어 살면서 한국사회에의 적응이 쉽지 않은 상황으로, 그만큼 사회복지서비스의 중요성은 높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8명의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방법론으로 그들의 서비스 이용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민 여성의 서비스 이용경험의 본질은 결혼이민여성의 위치성에 따른 서비스 이용의 차이, 자조집단의 기능적 유용성, 사회복지사와 결혼이민여성은 제한적 전문성에 기반한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밝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s of using social welfare services by immigrant women on marriage. In fact, those women are facing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discriminations, having difficulty with adjusting to K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s of using social welfare services by immigrant women on marriage. In fact, those women are facing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discriminations, having difficulty with adjusting to Korean society and in this regard, the importance of social welfare services is undeniable for them. In this study, experiences of eight women who had immigrated to Korea on marriage were analyzed by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all of these women are currently using social welfare servi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t tendencies in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according to their position in the family and the community. In addition, self-help group formed by those immigrant woman functioned to restore the aim of life and that they displayed the limited credibility to the professional ability of the social workers working for the welfare servic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회 28 (28): 73-106, 2005
2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3 김연희,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 117-144, 2007
4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5 조용환, "질적 사회복지연구: 현상학적, 임상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2010
6 행안부, "지방자치단체외국인 주민 실태조사"
7 홍기혜,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정치학" 이화여대 2000
8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적응과 폭력사이에서" 결혼이주여성 인권백서 2008
9 통계청, "인구동태통계(혼인·이혼편)"
10 윤형숙,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2004
1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회 28 (28): 73-106, 2005
2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3 김연희,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 117-144, 2007
4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5 조용환, "질적 사회복지연구: 현상학적, 임상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2010
6 행안부, "지방자치단체외국인 주민 실태조사"
7 홍기혜,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정치학" 이화여대 2000
8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적응과 폭력사이에서" 결혼이주여성 인권백서 2008
9 통계청, "인구동태통계(혼인·이혼편)"
10 윤형숙,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2004
11 김현미, "여성의 빈곤화와 이주여성" 이주여성인권센터 2003
12 이오복,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한 정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4 (14): 25-56, 2009
13 설동훈,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출신국가와 거주지역에 따른 상이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09-134, 2008
14 김이선,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06
15 양애경,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역사회 수용성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6 이선주,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사회서비스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08
17 김영혜, "여성결혼이민자 취업지원 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09
18 보건복지부,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 대책" 2006
19 통계청, "사회통계조사"
20 최연선, "사회복지실천 인력의 문화적 유능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242-247, 2008
21 김희경,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유형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 : 121-160, 2010
22 보건복지부, "국제결혼이주 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 복지지원정책방안" 2005
23 김오남, "국제결혼이민자의 이해" 집문당 2008
24 김민정,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 베트남과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59-193, 2006
25 이혜경, "결혼이주자 가족정책 및 서비스 분석모형" 다문화가족센터 2007
26 이용재, "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및 정보의 접근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9 (39): 479-504, 2008
27 윤혜미,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임파워먼트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85-108, 2009
28 여성부,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연구" 2006
29 이 용 균, "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네트워크의 특성: 보은과 양평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0 (10): 35-51, 2007
30 윤형숙,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4
31 Wong, Y. R., "When Asian Immigrant Women Speak: From Mental Health to Strategies of Being" 4 (4): 456-466, 2004
32 Gu, C, "Transnational Struggles at Home: Taiwanese Immigrant Women's Family Relations and Mental Distress.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31, 2007
33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publications 1998
34 Ataca, B., "Psychological, sociocultural,and marital adaption of Turkish immigrant couples in Canada" 37 (37): 13-26, 2002
35 Colaizzi, P., "Psychological research as Phenomenologist view it. in :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 for sychology" Oxford Univ. Press 48-71, 1978
36 Kagotho, N., "Predictors of Pap Test Utilization Among Legal Permanent Resident Women" 8 (8): 193-211, 2010
37 Jesus, M. D., "Mutuality at the center: health promotion with Cape Verdean immigrant women" 14 (14): 45-59, 2009
38 Hyde, C.A., "More Harm than Good? Multicultural Initiatives in Human Service Agencies" 22 (22): 25-43, 2003
39 NaKamatsu, "International Marriage through Introduction Agencies: Social and Realities of Asian Wives of Japanese Men. in : Wife or Worker?. Asian Women and Migration" Rowman & Littlefield Publication 2003
40 Guruge, S., "Implications of English Proficiency on Immigrant Women's Access to &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8 (8): 21-41, 2009
41 Habib, S. Z., "Culture, Multiculturalism and Diversity: A Feminist Antiracist Examination of SouthAsian Immigrant Women's Utilization of Cancer Screening Services" 8 (8): 187-195, 2008
42 Katz,J., "Between monoculturalism and multiculturalism: Traps awatiting the organization" Jossey-Bass 1997
43 김승권,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보건복지가족부·법무부·여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대구ㆍ경북 사회적 기업들의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농인의 수화사용경험과 수화통역서비스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결혼이주여성 남편의 문화적 민감성, 부부의사소통,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2 | 1.32 | 1.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2 | 1.52 | 2.001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