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기한, "후반기 동인과 전위의 의미" 한국시학회 20 (20): 63-85, 2007
2 김규동, "현대의 신화" 덕연문고 1958
3 M, Berman, "현대성의 경험" 현대미학사 25-, 2009
4 강정구, "한국전쟁을 포착하는 모더니즘" 시와사람사 63 (63): 137-143, 2011
5 김재홍, "한국전쟁과 현대시의 응전력" 평민사 78-, 1978
6 문덕수, "한국모더니즘시연구" 시문학사 203-248, 1981
7 임헌영, "한 모더니스트의 역사인식, In 우리시대의 시읽기" 공동체 104-112, 1993
8 S, Freud, "프로이트 예술미학분석" 글벗사 179-218, 1995
9 재원편집부, "파울 클레" 재원 2004
10 차하순, "좌담:과학기술문명과 인간정신" 2 : 31-63, 1992
1 송기한, "후반기 동인과 전위의 의미" 한국시학회 20 (20): 63-85, 2007
2 김규동, "현대의 신화" 덕연문고 1958
3 M, Berman, "현대성의 경험" 현대미학사 25-, 2009
4 강정구, "한국전쟁을 포착하는 모더니즘" 시와사람사 63 (63): 137-143, 2011
5 김재홍, "한국전쟁과 현대시의 응전력" 평민사 78-, 1978
6 문덕수, "한국모더니즘시연구" 시문학사 203-248, 1981
7 임헌영, "한 모더니스트의 역사인식, In 우리시대의 시읽기" 공동체 104-112, 1993
8 S, Freud, "프로이트 예술미학분석" 글벗사 179-218, 1995
9 재원편집부, "파울 클레" 재원 2004
10 차하순, "좌담:과학기술문명과 인간정신" 2 : 31-63, 1992
11 문혜원, "전후 주지주의 시론 연구 -김규동, 문덕수, 송욱의 시론을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3 (33): 91-115, 2004
12 김규동, "자서, In 깨끗한 희망" 창작과비평사 1985
13 권용선, "이성은 신화다 계몽의 변증법" 그린비 95-, 2003
14 진휘연, "아방가르드란 무엇인가" 민음사 15-, 2002
15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25-, 2003
16 이종권, "서양 과학 문명의 본질과 인류의 미래" 중앙대중앙철학연구소 11 : 40-62, 1999
17 조달곤, "새롭다는 것의 의미" 동남어문학회 9 : 146-152, 1999
18 김규동, "새로운 시론" 산호장 1959
19 홍기삼, "상황문학론" 동화출판공사 58-, 1974
20 이경수, "불안과 충돌의 시학, In 1950년대의 시인들" 나남 176-, 1994
21 M, Calinescu,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 언어 13-, 1993
22 박몽구, "모더니티와 비판 정신의 지평" 한중인문학회 19 (19): 395-428, 2006
23 T, W, Adorno, "모더니티; 미완성의 기획, In 반미학" 현대미학사 1993
24 이진영, "모더니즘의 현실인식 -50년대 모더니스트의 현실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0) : 358-370, 2005
25 김욱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1992
26 김규동, "나비와 廣場" 산호장 1955
27 김춘수, "김춘수 전집(2)" 문장 435-, 1982
28 김용직, "김기림-모더니즘과 시의 길" 건국대학교출판부 25-, 1997
29 김은영, "김규동의 시세계 연구" 국어국문학회 (156) : 173-206, 2010
30 장사선, "김규동론-모더니즘에서 리얼리즘으로, In 한국현대시연구" 민음사 1989
31 이동순, "김규동(金奎東) 시세계의 변모과정과 회복의 시정신"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29-242, 2011
32 허정아, "기계와 속도를 통해 본 아방가르드 미학" 한국미학회 54 (54): 167-202, 2008
33 P, Anderson, "근대성과 혁명, In 마르크스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이론과 실천 165-166, 1993
34 장병주, "과학과 기술의 문명사" 동명사 2004
35 M, Horkheimer, "계몽의 변증법" 문예출판사 35-, 1995
36 간호배, "『후반기』동인의 시에 나타난 모더니티" 우리문학연구회 15 : 159-182, 2002
37 한강희, "‘분열과 부정’에서 ‘통일 염원’에 이르는 도정 ―김규동론" 현대문학이론학회 28 (28): 297-314, 2006
38 M, Bradbury, "Modernism" Penguin Books 1976
39 오세영, "20세기 한국시 연구" 새문사 285-, 1989
40 이명찬, "1950년대 전후 모더니즘에 대한 역사적 성격에 대한 검토" 개신어문학회 11 : 261-, 1994
41 정구향, "1950년대 모더니즘 시 연구" 건국대 국어국문학연구회 21 : 173-225, 1997
42 윤여탁, "1950년대 모더니스트의 자기 모색" 서울대 국어교육과 25 : 129-, 1997
43 김지연, "1950년대 김규동 시의 시정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08 : 168-, 2000
44 박윤우, "1950년대 김규동 시론에 나타난 현실성 인식" 한국비평문학회 33 (33): 173-186,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