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인권과 주권
- Ⅱ. 북한 인권법에 대한 논쟁
- Ⅲ. 미국의 인권공세에 대한 북한과 중국의 입장
- Ⅳ. 결론: 한국의 정책대안
- 참고문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9866134
2005
Korean
151
KCI등재
학술저널
87-109(23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학철, "힘으로 미국식 ‘민주주의’를 전파하기 위한 침략교리 ‘반테러전’" 2004년12월15일자
2 "중국 미국의 인권실태를 폭로단죄" 2005년3월12일자
3 "조선은 자위적 억제력을 더욱 굳건히 다져가는 것으로 대답할 것이다" 2004년12월28일자
4 이원웅, "북한인권문제의 성격과 인권정책의 방향" 2005
5 권혁철, "북한 인권문제는 ‘판도라 상자’인가" (446) : 2005
6 모세원, "북인권 비판하면 한반도에서 전쟁난다?" 2005
7 김혜성, "반동적 인권공세에는 혁명적 인권공세로 힘에는 힘으로" 2004년12월24일자
8 리현도, "미국의 대조선적대시압살정책은 절대로 실현될 수 없다" 2004년12월15일자
9 Donnelly, "Universal Human Rights in Theory & Practic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9
10 Kim,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in Comparison with Other U" daily (daily): 20042004
1 최학철, "힘으로 미국식 ‘민주주의’를 전파하기 위한 침략교리 ‘반테러전’" 2004년12월15일자
2 "중국 미국의 인권실태를 폭로단죄" 2005년3월12일자
3 "조선은 자위적 억제력을 더욱 굳건히 다져가는 것으로 대답할 것이다" 2004년12월28일자
4 이원웅, "북한인권문제의 성격과 인권정책의 방향" 2005
5 권혁철, "북한 인권문제는 ‘판도라 상자’인가" (446) : 2005
6 모세원, "북인권 비판하면 한반도에서 전쟁난다?" 2005
7 김혜성, "반동적 인권공세에는 혁명적 인권공세로 힘에는 힘으로" 2004년12월24일자
8 리현도, "미국의 대조선적대시압살정책은 절대로 실현될 수 없다" 2004년12월15일자
9 Donnelly, "Universal Human Rights in Theory & Practic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9
10 Kim,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in Comparison with Other U" daily (daily): 20042004
11 Wheeler,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2 Driscoll,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in International Law" 1979
13 and Human Rights, "The Case of Turkey" Martins Press 1991
14 "Speak Out About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052005
15 New Dimensions, "New Dimensions: Foreign Policy and Human Rights" 199609
16 Lee Kap Son, "Mixed Response to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20042004
17 China stops S, "Korean lawmakers from holding press conference" 2004japantoday2005
18 조선일보, "HRW ‘북 인권은 나락 같은 상황’" 조선일보 200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 한국학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03-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7-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외국어명 : Korean Studies Quarterl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82 | 1.267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