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의 시군구에 따른 외로움 차이를 카카오 마음날씨 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강원도내 18개 시군구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총 2,40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31666
2022
Korean
강원도 ; 외로움 ; 지역차 ; Gangwon-do ; Loneliness ; Regional Differences
KCI등재
학술저널
3-22(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의 시군구에 따른 외로움 차이를 카카오 마음날씨 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강원도내 18개 시군구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총 2,40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의 시군구에 따른 외로움 차이를 카카오 마음날씨 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강원도내 18개 시군구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총 2,40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에 따른 외로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지역의 사회경제적 변인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먼저 강원도에서 가장 외로움이 높은 지역은 정선군이었고 삼척시, 영월군 순이었고, 외로움이 가장 낮은 지역은 인제군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성과 연령에 따른 외로움을 분석한 결과, 30대는 전체 평균보다 외로움을 더 높게 보고하였으며 참여자의 성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했을 때 삼척시의 외로움은 전체 평균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변인의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지역내 체육시설 수가 많을수록 외로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은국 ; 전우영 ; 성민선, "타인의 행복 예측에서 나타나는 오류 : 서울과 춘천의 삶의 만족도 비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35-45, 2007
2 김지수, "청년들 가장 외로워, 돈 주고 친구 산다... 외로움 경제 폭발할 것" 조선비즈
3 임근식,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도 시ㆍ군을 중심으로" 10 (10): 47-89, 2012
4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 현황"
5 최민영, "외로운 사람이 더 외로워지는 이유" 경향신문
6 강상원, "영국 정부에는 ‘외로움부’가 있다" 한겨례21
7 한정연, "미국의 사회적 비용 연간 7조 7000억원" 월간중앙
8 최은수 ; 최인철 ; 최종안, "대한민국 행복 지도: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대한민국 지역별" 한국심리학회 38 (38): 647-667, 2019
9 정한울, "네 명 중 한 명은 소리없는 비명…‘외로움’ 누가 관리 안 해주나" 한국일보
10 최종안, "강원도 지역의 행복 진단" 사회과학연구원 58 (58): 101-122, 2019
1 서은국 ; 전우영 ; 성민선, "타인의 행복 예측에서 나타나는 오류 : 서울과 춘천의 삶의 만족도 비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35-45, 2007
2 김지수, "청년들 가장 외로워, 돈 주고 친구 산다... 외로움 경제 폭발할 것" 조선비즈
3 임근식,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도 시ㆍ군을 중심으로" 10 (10): 47-89, 2012
4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 현황"
5 최민영, "외로운 사람이 더 외로워지는 이유" 경향신문
6 강상원, "영국 정부에는 ‘외로움부’가 있다" 한겨례21
7 한정연, "미국의 사회적 비용 연간 7조 7000억원" 월간중앙
8 최은수 ; 최인철 ; 최종안, "대한민국 행복 지도: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대한민국 지역별" 한국심리학회 38 (38): 647-667, 2019
9 정한울, "네 명 중 한 명은 소리없는 비명…‘외로움’ 누가 관리 안 해주나" 한국일보
10 최종안, "강원도 지역의 행복 진단" 사회과학연구원 58 (58): 101-122, 2019
11 Twenge, J. M., "Worldwide increases in adolescent loneliness" 93 : 257-269, 2021
12 Lykes, V. A., "What predicts loneliness? Cultural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societies in Europe" 45 (45): 468-490, 2014
13 Luchetti, M., "The trajectory of loneliness in response to COVID-19" 75 (75): 897-908, 2020
14 Hammond, C., "The surprising truth about loneliness" BBC
15 Surkalim, D. L., "The prevalence of loneliness across 113 countri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376 : 1-17, 2022
16 Delmelle, E. C., "Social satisfaction, commuting and neighborhoods" 30 : 110-116, 2013
17 McAuley, E., "Social relations, physical activity and well-being in older adults" 31 (31): 608-617, 2000
18 Maas, J., "Social contacts as a possible mechanism behind the relation between green space and health" 15 (15): 586-595, 2009
19 Kim Myung Hyun ; 안지현 ; Lee Hye Rin ; Jeong Seo Hyun ; Hwang Soo Jin ; 홍진표, "Social Isolation, Lonelines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ental Health Status in South Korea"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8 (18): 652-660, 2021
20 Shovestul, B., "Risk factors for loneliness: The high relative importance of age versus other factors" 15 (15): 1-18, 2020
21 Bates, D., "Parsimonious mixed models"
22 Elran-Barak, R., "One month into the reinforcement of social distancing due to the COVID-19 outbreak: Subjective health, health behaviors, and loneliness among people with chronic medical conditions" 17 (17): 1-16, 2020
23 Kirby, J. B., "Neighborhood socioeconomic disadvantage and access to health care" 46 (46): 15-31, 2005
24 Vrieze, S. I., "Model selection and psychological theory: A discuss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IC) and the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BIC)" 17 (17): 228-243, 2012
25 Mund, M., "Lonely me, lonely you: Loneliness and the longitudinal course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22 (22): 575-597, 2021
26 Killgore, W. D., "Loneliness: A signature mental health concern in the era of COVID-19" 290 : 1-2, 2020
27 Cacioppo, J. T., "Loneliness within a nomological net: An evolutionary perspective" 40 (40): 1054-1085, 2006
28 Hawkley, L. C., "Loneliness matter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 of consequences and mechanisms" 40 (40): 218-227, 2010
29 Chiao, C., "Loneliness in young adulthood: Its intersecting forms and its associ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amily characteristics in Northern Taiwan" 14 (14): 1-13, 2019
30 Scharf, T., "Loneliness in urban neighbourhoods: An Anglo-Dutch comparison" 5 (5): 103-115, 2008
31 Bruce, L. D., "Loneliness in the United States: A 2018 national panel survey of demographic, structural,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33 (33): 1123-1133, 2019
32 Swader, C. S., "Loneliness in Europe: Personal and societal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their connection to social isolation" 97 (97): 1307-1336, 2019
33 Dahlberg, L., "Lonelin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25 (25): 1161-1164, 2021
34 Barreto, M., "Loneliness around the world: Age, gender, and cultural differences in loneliness" 169 : 1-6, 2021
35 Pels, F., "Loneliness and physical activity: A systematic review" 9 (9): 231-260, 2016
36 Matthews, T., "Loneliness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 multi-informant, nationally representative study of young adults" 30 (30): 765-776, 2019
37 Kim, O. S.,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27 (27): 871-879, 1997
38 Pinquart, M., "Influences on loneliness in older adults: A meta-analysis" 23 (23): 245-266, 2001
39 Carmichael, C. L., "In your 20s it's quantity, in your 30s it's quality: The prognostic value of social activity across 30 years of adulthood" 30 (30): 95-105, 2015
40 Buecker, S., "In a lonely place: Investigating regional differences in loneliness" 12 (12): 147-155, 2021
41 Cacioppo, J. T.,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 The Guilford Press 227-240, 2009
42 Crawford, D., "Do features of public open spaces vary according to neighbourhood socioeconomic status?" 14 (14): 889-893, 2008
43 Hopman-Rock, 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ging well and healthily": A health-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for community-living older adults" 10 (10): 364-381, 2002
44 Luhmann, M., "Age differences in loneliness from late adolescence to oldest old age" 52 (52): 943-959, 2016
45 Jung, Y.,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loneliness during the COVID-19: Analyses on large cross-sectional surveys and emotion diaries"
46 서울특별시청, "1인가구 특별대책추진단(2022. 3. 23.) 1인가구 특별대책 추진단" 서울특별시청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시민과 일반 시민은 사회적경제 인식과 임파워먼트에 차이가 있는가?
소셜 로봇의 젠더 편향성: 4차 산업혁명 시대 사회복지적 함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1990년대 이후 여성의 고학력화와 젠더 평등의 지체 : 1990-201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6-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영문명 :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Social Scienc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1 | 1.31 | 1.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9 | 1.23 | 1.772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