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 S. 엘리엇과 정신분석: 문화, 종교, 문명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 T. S. Eliot and Psychoanalysis: A Study on the Perspectives toward Culture, Religion, and Civiliz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T. S. 엘리엇은 20세기 시인 중에서도 여타의 시인과 확연하게 구별되는 사상적 체계를 가지고 있었던 시인이었다. 엘리엇의 시학과 사상에 대해서 행해진 기존의 연구는 철학적, 문화적, 종교적, 인류학적, 그리고 심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것들이 상당하다. 엘리엇은 당시의 심리학, 철학, 인류학, 그리고 신비주의와 같은 종교적 사상의 방대한 학문적 배경을 토대로 “자신의 종교적인 신념과 문학적 지표”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엘리엇과 활동연대가 상당부분 중첩되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와의 연관성은, 이 두 사람의 시기적 문화적 중첩성을 고려해 볼 때, 직간접적인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세기 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사회, 문화, 예술 다방면에 걸쳐서 영향력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엘리엇의 사상 및 그의 작품 세계를 조명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엘리엇이 문화와, 문명, 그리고 종교에 대해서 매우 깊고 진지한 성찰을 행했던 것처럼, 프로이트 역시 다양한 저술을 통해 인류의 역사와 문명, 종교와 문화에 대한 많은 저작을 남겼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엘리엇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인류의 문화, 문명, 종교라고 하는 아주 근원적인 요소에 대해서 각기 어떤 변별적 차이점을 지향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T. S. 엘리엇은 20세기 시인 중에서도 여타의 시인과 확연하게 구별되는 사상적 체계를 가지고 있었던 시인이었다. 엘리엇의 시학과 사상에 대해서 행해진 기존의 연구는 철학적, 문화적, 종...

      T. S. 엘리엇은 20세기 시인 중에서도 여타의 시인과 확연하게 구별되는 사상적 체계를 가지고 있었던 시인이었다. 엘리엇의 시학과 사상에 대해서 행해진 기존의 연구는 철학적, 문화적, 종교적, 인류학적, 그리고 심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것들이 상당하다. 엘리엇은 당시의 심리학, 철학, 인류학, 그리고 신비주의와 같은 종교적 사상의 방대한 학문적 배경을 토대로 “자신의 종교적인 신념과 문학적 지표”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엘리엇과 활동연대가 상당부분 중첩되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와의 연관성은, 이 두 사람의 시기적 문화적 중첩성을 고려해 볼 때, 직간접적인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세기 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사회, 문화, 예술 다방면에 걸쳐서 영향력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엘리엇의 사상 및 그의 작품 세계를 조명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엘리엇이 문화와, 문명, 그리고 종교에 대해서 매우 깊고 진지한 성찰을 행했던 것처럼, 프로이트 역시 다양한 저술을 통해 인류의 역사와 문명, 종교와 문화에 대한 많은 저작을 남겼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엘리엇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인류의 문화, 문명, 종교라고 하는 아주 근원적인 요소에 대해서 각기 어떤 변별적 차이점을 지향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병현, "프로이트의 환상의 미래에 대한 엘리엇의 논평 고찰: 종교는 오이디푸스적 환상인가? 사회적 실체인가?"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 (20): 61-77, 2015

      2 밀네르, 막스, "프로이트와 문학의 이해" 문학과 지성 1999

      3 이정호, "프로이트, 라캉, 그리고 T. S. 엘리엇 읽기" 8 : 143-185, 2000

      4 스팩터, 잭 J., "프로이트 예술미학" 풀빛 1981

      5 애크로이드, 피터, "토마스 스턴즈 엘리엇: 영혼의 순례자" 책세상 1999

      6 프로이트, 지그문트, "쾌락원칙을 넘어서" 열린책들 1997

      7 제이콥스, 마이클,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창시자" 학지사 2007

      8 김구슬, "엘리엇의 철학과 초기시" 한국T.S.엘리엇학회 17 (17): 37-65, 2007

      9 양병현, "엘리엇과 동양사상" 동인 2000

      10 엘리엇, T. S., "엘리엇 전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1 양병현, "프로이트의 환상의 미래에 대한 엘리엇의 논평 고찰: 종교는 오이디푸스적 환상인가? 사회적 실체인가?"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 (20): 61-77, 2015

      2 밀네르, 막스, "프로이트와 문학의 이해" 문학과 지성 1999

      3 이정호, "프로이트, 라캉, 그리고 T. S. 엘리엇 읽기" 8 : 143-185, 2000

      4 스팩터, 잭 J., "프로이트 예술미학" 풀빛 1981

      5 애크로이드, 피터, "토마스 스턴즈 엘리엇: 영혼의 순례자" 책세상 1999

      6 프로이트, 지그문트, "쾌락원칙을 넘어서" 열린책들 1997

      7 제이콥스, 마이클,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창시자" 학지사 2007

      8 김구슬, "엘리엇의 철학과 초기시" 한국T.S.엘리엇학회 17 (17): 37-65, 2007

      9 양병현, "엘리엇과 동양사상" 동인 2000

      10 엘리엇, T. S., "엘리엇 전집"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11 마르쿠제, 허버트, "에로스와 문명: 프로이트 이론의 철학적 연구" 나남 2004

      12 이준학, "문학과 종교 그리고 문화의 관계에 대한 학제적 연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1 (11): 123-152, 2006

      13 프로이트, 지그문트, "문명속의 불만" 열린책들 1997

      14 프로이트, 지그문트, "꿈의 해석" 열린책들 2003

      15 Crawford, Robert, "Young Eliot from St. Louis to The Waste Land" Farrar 2015

      16 Freud, Sigmund, "Totem and Taboo and Other Works" Hogarth 1959

      17 Eliot, T. S., "The Waste Land: A Facsimile and Transcript of the Original Drafts" Harcourt 1971

      18 Crawford, Robert, "The Savage and the City in the work of T. S. Eliot" Clarendon 1987

      19 Skaff, William, "The Philosophy of T. S. Eliot: From Skepticism to a Surrealist Poetics" U of Pennsylvania P 1986

      20 Eliot, T. S., "The Letters of T. S. Eliot. Vol. 1" Harcourt 1988

      21 Freud, Sigmund, "The Future of an Illusion; Civilization and its Discontents and Other Works" Hogarth 1961

      22 Freud, Sigmund, "The Ego and the ID and Other Works" Hogarth 1961

      23 Eliot, T. S., "The Complete Poems and Plays" Faber 1969

      24 Matthiessen, F. O., "The Achievement of T. S. Eliot: An Essay on the Nature of Poetry" Oxford UP 1958

      25 박현수, "T. S. 엘리엇의 초기시에 나타난 역설과 과장" 7 : 105-132, 1999

      26 김희성, "T. S. 엘리엇의 문화공동체 시학" 이화여자대학교 2002

      27 정정호, "T. S. 엘리엇과 초기비평: 엘리엇 초기비평 다시 읽기" 8 : 211-228, 2000

      28 양병현, "T. S. 엘리엇: 동방의 ‘낯선’ 신" 한국T.S.엘리엇학회 17 (17): 123-153, 2007

      29 Eliot, T. S., "T. S. Eliot’s Reviews in The Criterion" Dong-In 1998

      30 Margolis, John D., "T. S. Eliot’s Intellectual Development" U of Chicago P 1972

      31 Noh, Jeo-Yong, "T. S. Eliot and The Criterion" Dong-In 1999

      32 Eliot, T. S., "Selected Prose of T. S. Eliot" Harcourt 1975

      33 Eliot, T. S., "Selected Essays" Harcourt 1960

      34 Atkins, G. Douglas, "Reading T. S. Eliot: Four Quartets and the Journey toward Understanding" Palgrave Macmillan 2012

      35 Quinodoz, Jean-Michel, "Reading Freud: A Chronological Exploration of Freud’s Writings" Routledge 2004

      36 North, Mochael, "Reading 1922: A Return to the Scene of the Modern" Oxford UP 1999

      37 Howarth, Herbert, "Notes on Some Figures Behind T. S. Eliot" Chatto 1965

      38 Freud, Sigmund, "Moses and Monotheism; An Outline of Psycho-Analysis and Other Works" Hogarth 1964

      39 Berman, Marshall, "Modernity and Identity" Blackwell 1992

      40 Eliot, T. S.,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Philosophy of F. H. Bradley" Farrar 1964

      41 Freud, Sigmund,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Group Psychology and Other Works" Hogarth 1955

      42 Freud, Sigmund, "An Autobiographical Study; Inhibitions, Symptoms and Anxiety; The Question of Lay Analysis and Other Works" Hogarth 1959

      43 Eliot, T. S., "After Strange Gods" Faber 1934

      44 Williamson, George, "A Reader’s Guide to T. S. Eliot" Syracuse UP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1 0.36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