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공무원들이 학술연구와 용역연구의 활용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와 학술연구와 용역연구 각각에 대해서 행정학 연구결과의 활용에 대한 연구자들과 공무원들의 인식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공무원들이 학술연구와 용역연구의 활용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와 학술연구와 용역연구 각각에 대해서 행정학 연구결과의 활용에 대한 연구자들과 공무원들의 인식이...
이 연구는 공무원들이 학술연구와 용역연구의 활용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와 학술연구와 용역연구 각각에 대해서 행정학 연구결과의 활용에 대한 연구자들과 공무원들의 인식이 어떻게 다른가에 관하여 실증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행정학 연구자들과 행정가들은 다양한 인적 교류를 통해서 정책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연구결과는 행정 현실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연구자가 스스로의 흥미에 이끌려 수행하는 학술연구보다는 정부가 특정한 정책적 필요에 의해서 발주하는 용역연구가 더 많이 활용되고 효과도 더 있었다. 용역연구에 대한 용역관리 담당 공무원의 평가는 해당 용역 연구책임자의 평가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용역연구가 단기적 방향전환보다는 기존 정책의 내용수정/보강/강화/구체화에 그치거나 장기적 방향전환에 활용되기 때문인 것과 용역의 발주 동기 자체가 정책결정에 도움을 얻고자 하는데 주안점이 주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행정학 연구결과 활용의 제고방안으로서 학술대회에 공무원 참여 촉진, 공무원들과 함께 학회 혹은 연구회 구성, 학술연구 및 용역연구의 질적 제고 등이 제안되었다.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리더 감성지능의 매개효과: LISREL과 매개회귀분석을 적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