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선 건국과 이성계 설화의 정치적 함의 = Foundation of Choseon and Political Significance of Tales about Yi Seong-gy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9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정치사에 대한 연구를 보다 면밀히 진행하기 위해서는 조선의 전통사상과 그 문화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할 것이다. 전통의 힘이 강력하게 작용했던 왕조시대의 정치를 분석하는 작업은 특히 그러할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을 유념하면서 본 연구는 조선의 건국과 그 건국주인 이성계에 관한 설화를 현대정치학의 상징조작이라는 개념과 유기적으로 관련시켜 분석해봄으로써 건국기에 있어서 조선의 정치사와 조선인의 정치의식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무엇보다 먼저 조선의 건국과 이성계 설화에 관한 문헌 기록, 특히 『조선왕조실록』의 각종 기록은 무엇보다 먼저 이성계에 의한 새로운 왕조개창의 천명성을 강조하였고, 또 그렇게 함으로써 이성계와 그 추종세력에 의한 정치적 지배를 정당화하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곧 조선 왕실의 개창은 천명에 의한 것이었음을 강조하였는데, 일반 백성들의 복종과 지지 속에서 새로운 왕실이 성립하고, 존재하기 위해서는 천(天)과의 연계성을 확보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이성계에 관한 설화에는 새로운 군주의 탄생과 등극을 예고해 주는 신이한 징조와 꿈들이 문헌 속에서 계속해서 나타났던 것이다. 문맥적 상황으로 볼 때, 하늘(天), 용, 꿈, 상서(祥瑞), 신이(神異) 등을 바탕으로 하는 이성계 설화 설화의 현세지향은 건국의 신성화와 왕통의 정통성을 목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군주 꿈’ 설화는 단순히 권력의 정당화 과정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천명의 대행자로서 군주를 신성화시킴으로써 국가통합의 상징으로 만들고자 했다.
      다른 한 편 일반민중들 사이에 구비전승된 이성계 설화에는 그에 대한 비판적 내용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명태조 주원장에 비해 용렬한 인간으로 묘사되는 이성계의 모습, 최대의 정적이었던 최영 장군이 일반백성들 사이에 무속신앙화되었던 점, 그리고 민중영웅인 우뚜리의 등장과 제거 등에 관한 설화의 성립 등에서 이성계에 대한 반대자와 비판자들의 정치심리가 뚜렷이 나타나 있었다.
      이와 같이 조선의 건국과정에서 이성계 설화가 담고 있는 정치적 의미를 분석하는 작업은 당대의 정치사와 당대인들의 정치의식을 이해하는데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조선정치사에 대한 연구를 보다 면밀히 진행하기 위해서는 조선의 전통사상과 그 문화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할 것이다. 전통의 힘이 강력하게 작용했던 왕조시대의 정치...

      조선정치사에 대한 연구를 보다 면밀히 진행하기 위해서는 조선의 전통사상과 그 문화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할 것이다. 전통의 힘이 강력하게 작용했던 왕조시대의 정치를 분석하는 작업은 특히 그러할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을 유념하면서 본 연구는 조선의 건국과 그 건국주인 이성계에 관한 설화를 현대정치학의 상징조작이라는 개념과 유기적으로 관련시켜 분석해봄으로써 건국기에 있어서 조선의 정치사와 조선인의 정치의식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무엇보다 먼저 조선의 건국과 이성계 설화에 관한 문헌 기록, 특히 『조선왕조실록』의 각종 기록은 무엇보다 먼저 이성계에 의한 새로운 왕조개창의 천명성을 강조하였고, 또 그렇게 함으로써 이성계와 그 추종세력에 의한 정치적 지배를 정당화하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곧 조선 왕실의 개창은 천명에 의한 것이었음을 강조하였는데, 일반 백성들의 복종과 지지 속에서 새로운 왕실이 성립하고, 존재하기 위해서는 천(天)과의 연계성을 확보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이성계에 관한 설화에는 새로운 군주의 탄생과 등극을 예고해 주는 신이한 징조와 꿈들이 문헌 속에서 계속해서 나타났던 것이다. 문맥적 상황으로 볼 때, 하늘(天), 용, 꿈, 상서(祥瑞), 신이(神異) 등을 바탕으로 하는 이성계 설화 설화의 현세지향은 건국의 신성화와 왕통의 정통성을 목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군주 꿈’ 설화는 단순히 권력의 정당화 과정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천명의 대행자로서 군주를 신성화시킴으로써 국가통합의 상징으로 만들고자 했다.
      다른 한 편 일반민중들 사이에 구비전승된 이성계 설화에는 그에 대한 비판적 내용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명태조 주원장에 비해 용렬한 인간으로 묘사되는 이성계의 모습, 최대의 정적이었던 최영 장군이 일반백성들 사이에 무속신앙화되었던 점, 그리고 민중영웅인 우뚜리의 등장과 제거 등에 관한 설화의 성립 등에서 이성계에 대한 반대자와 비판자들의 정치심리가 뚜렷이 나타나 있었다.
      이와 같이 조선의 건국과정에서 이성계 설화가 담고 있는 정치적 의미를 분석하는 작업은 당대의 정치사와 당대인들의 정치의식을 이해하는데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ales in political process of Choseon Dynasty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The founder of Choseon Dynasty, Yi Seong-gye was supreme power men. And the Korean tale of ancient times in general described lives of kings : their birth, growth, marriage, and death. In other words, it was a bi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mysterious experiences of kings. Especially part in which they get divinity from their birth was common to all. Such a way of description resulted from the idea that the founder of nation should look divine. So Heaven planned to place a person as a founder of nation. Yi Seong-gye was selected by Heaven, too. Korean people believed Yi was the existence of divine nature. And it offered political legitimacy to Yi. In this sense we can guess that Korean tale of political ma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political process.
      번역하기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ales in political process of Choseon Dynasty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The founder of Choseon Dynasty, Yi Seong-gye was supreme power men. And the Korean tale of ancient times in general described li...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ales in political process of Choseon Dynasty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The founder of Choseon Dynasty, Yi Seong-gye was supreme power men. And the Korean tale of ancient times in general described lives of kings : their birth, growth, marriage, and death. In other words, it was a bi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mysterious experiences of kings. Especially part in which they get divinity from their birth was common to all. Such a way of description resulted from the idea that the founder of nation should look divine. So Heaven planned to place a person as a founder of nation. Yi Seong-gye was selected by Heaven, too. Korean people believed Yi was the existence of divine nature. And it offered political legitimacy to Yi. In this sense we can guess that Korean tale of political ma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political proc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건국설화와 신왕조 개창의 정당성
      • Ⅲ. 이성계 설화의 내용과 그 구조
      • Ⅳ. 이성계 설화의 정치적 함의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건국설화와 신왕조 개창의 정당성
      • Ⅲ. 이성계 설화의 내용과 그 구조
      • Ⅳ. 이성계 설화의 정치적 함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경수, "한국의 신화연구" 교문사 1993

      2 김태곤, "한국의 신화" 시인사

      3 김화경, "한국의 설화" 지식산업사 2002

      4 이창식, "한국신화와 스토리텔링" 북스힐 2008

      5 유경환, "한국신화에 나타난‘하늘’에 대한 상징적 의미와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267-286, 1998

      6 한국생활사박물관 편찬위원회, "한국생활사박물관9-조선생활관1" 사계절 2004

      7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한국민속의 세계7"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2001

      8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2" 동아출판사 1995

      9 "한국구비문학대계"

      10 이동철, "한국 용설화의 역사적 전개" 민속원 2005

      1 나경수, "한국의 신화연구" 교문사 1993

      2 김태곤, "한국의 신화" 시인사

      3 김화경, "한국의 설화" 지식산업사 2002

      4 이창식, "한국신화와 스토리텔링" 북스힐 2008

      5 유경환, "한국신화에 나타난‘하늘’에 대한 상징적 의미와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267-286, 1998

      6 한국생활사박물관 편찬위원회, "한국생활사박물관9-조선생활관1" 사계절 2004

      7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한국민속의 세계7"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2001

      8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2" 동아출판사 1995

      9 "한국구비문학대계"

      10 이동철, "한국 용설화의 역사적 전개" 민속원 2005

      11 장봉조, "청루에서 난 비명소리" 료녕민족출판사 2005

      12 장젠중, "중국을 말한다6-동한" 신원문화사 2008

      13 김동훈, "중국 조선족 구전설화연구" 한국문화사 1999

      14 임철호, "조선족설화의 변이와 중국의 성격 고찰 - 韓·中 對決 이야기를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13) : 473-511, 2008

      15 "조선왕조실록"

      16 오종록, "조선시대의 왕" 역사문제연구소. (54) : 283-301, 2001

      17 유종선, "조선 후기 天논쟁의 정치사상" 31 (31): 5-24, 1997

      18 임태승, "제의 : 상징의 향연" 성대유교문화연구소 199-218, 2002

      19 이극찬, "정치학" 법문사 2004

      20 조성윤, "정치와 종교-조선시대의 유교의례" 문학과 지성사 53 : 11-37, 1998

      21 이태문, "이성계 전설의 인문인식과 그 특징" 한국구비문학회 4 : 2004

      22 김종대, "우리문화의 상징세계" 다른세계 2001

      23 "용비어천가"

      24 김춘식, "왕권신수설과 천명사상의 비교연구" 30 (30): 27-46, 1996

      25 "연려실기술"

      26 Cambell, Joseph, "신화의 힘" 고려원 1992

      27 이어령, "신화 속의 한국정신" 문학사상사 2003

      28 Cooper, J. C,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 1994

      29 오세정, "설화와 상상력" 제이앤씨 2004

      30 임철호, "설화와 민중의 역사의식-임진왜란 설화를 중심으로" 집문당 1989

      31 홍태한, "설화와 민간신앙에서의 실존인물의 신격화 과정-남이 장군과 임경업 장군의 경우, in 설화" 민속원 2008

      32 이홍우, "설화 속 동물 인간을 말하다-이야기 동물원" 책과함께 2008

      33 유영옥, "상징정책론" 홍익재 1991

      34 유영옥, "상징과 기호의 정치행정론" 학문사 1997

      35 "삼국유사"

      36 김기홍, "삼국시대의 왕" 역사문제연구소 (54) : 244-259, 2001

      37 "삼국사절요"

      38 "삼국사기"

      39 김화경, "북한 설화의 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8

      40 임재해, "민족신화와 건국영웅들" 민속원 2006

      41 임재해, "민족설화의 논리와 의식" 지식산업사 1992

      42 비교민속학회, "민속과 정치" 민속원 2004

      43 장문석, "만들어진 전통" 휴머니스트 2004

      44 한정춘, "두만강 압록강 류역 지명전설" 연변인민출판사 2006

      45 강재철, "동양의 설화채록제도와 정치적 목적" 비교민속학회 (26) : 37-66, 2004

      46 유영옥, "남북한 보훈정책의 상징성 비교" 대한정치학회 13 (13): 145-172, 2005

      47 김일렬, "난제해결형 한ㆍ중대결담의 성격" 한국어문학회 (74) : 197-218, 2001

      48 유문영, "꿈의 철학-꿈의 미신, 꿈의 탐색" 동문선 1993

      49 한채영, "꿈과 민간사고-해몽의 방법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4) : 113-137, 1994

      50 "국조인물고"

      51 박병대, "구수한 조선민담" 료녕민족출판사 2006

      52 "고려사"

      53 장현근, "고대 중국신화의 변천과 정치화" 한국정치사상학회 10 (10): 115-136, 2004

      54 박기용, "‘귀양 간 지리산’ 설화의 전승 배경과 변이 양상" 우리말글학회 36 : 147-18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KCI등재후보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정치사상사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9-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1 1.83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