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재단설립자의 의사 = Stifterwill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Zu den überkommenen Grundsätzen des korenischen Stiftungsrechts gehört das Prinzip der „Maßgeblichkeit des Stifterwillens“. Da Stiftungen – anders als Körperschaften – kein personales Substrat haben, ist ihren Organen eine autonome Willen...

      Zu den überkommenen Grundsätzen des korenischen Stiftungsrechts gehört das Prinzip der „Maßgeblichkeit des Stifterwillens“. Da Stiftungen – anders als Körperschaften – kein personales Substrat haben, ist ihren Organen eine autonome Willensbildung verwehrt. Deren Tätigkeit besteht vielmehr in der Ausführung des Stifterwillens nach Maßgabe der vom Stifter bzw. subsidiärem oder zwingendem staatlichen Recht gesetzten Regelungen. Beurteilungsspielräume oder die Ausübung eines pflichtgemäßen Ermessens bei Organentscheidungen sind dadurch zwar nicht ausgeschlossen. Der Vorbehalt des Stiftungsgeschäfts verbietet jedoch, dass sich die Organe einer Stiftung im Rahmen ihrer Tätigkeit über den Willen des Stifters hinwegsetzen. Die inhaltliche Bestimmung des Stifterwillens gehört zu den Ewigkeitsproblemen der stiftungsrechtlichen Debatte. Über die inhaltliche Verankerung des „objektiven“ Stifterwillens sowie seine zeitliche Reichweite herrscht jedoch bis heute keine abschließende Klarheit. Diese Aufgabe ist anspruchsvoll, weil sich Umstände und Umwelteinflüsse weiterentwickeln und häufig nicht auf den ersten Blick ersichtlich ist, welche Position der Stifterwille in einem Konglomerat von Aussenumständen und Interessen einzunehmen vermag. Im Ergebnis geht es hierbei um die sachgerechte Auslegung des Stifterwillens. Sowohl der „zum Ausdruck gekommene“ als auch der „mutmaßliche“ Wille des Stifters sind jedoch Leerformeln, solange sie nicht konkrete Bezugspunkte zu einem normativen Kontext erhalten und das Verfahren ihrer Bestimmung dadurch nachvollziehbar wird.26 Zur Offenlegung dieses Verfahrens soll im Folgenden zunächst auf die Rolle des Stifterwillens im Rahmen der Anerkennung einer Stiftung als rechtsfähig eingegangen werden (II.), alsdann auf die Auslegung des Stiftungsgeschäfts vor und nach der Anerkennung (III.), im Anschluss auf die Vielfalt der in der Rechtsprechung und in der Literatur gebräuchlichen Attribute des Stifterwillens (IV.), danach auf die inhaltliche Feststellung der beiden von § 83 Abs. 2 BGB-neu genannten Ausdrucksformen des Stifterwillens (V.), sodann auf deren Rechtsfolgen für die Stiftungsorgane (VI.) An dieser Stelle soll festgehalten werden, dass es der ursprüngliche Stifterwille ist, der die Richtschnur für die Stiftung bildet. Von besonderer Bedeutung ist daher, diesen Stifterwillen vor unberechtigten nachträglichen Modifikationen durch die Stiftungsbeteiligten, aber auch durch den Stifter selbst zu schützen, wenn letzterer unter Missachtung stiftungsrechtlicher Prinzipien auf die Geschicke der Stiftung Einfluss nehmen möch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재단 설립자의 의사가 가지는 특수성은 재단을 다른 모든 법적 형식(Rechtsform)의 조직과 구별하는 우리 재단법의 뚜렷한 특징이다. 그러나 다툼이 발생한 구체적인 국면에서 설립자의 의사가...

      재단 설립자의 의사가 가지는 특수성은 재단을 다른 모든 법적 형식(Rechtsform)의 조직과 구별하는 우리 재단법의 뚜렷한 특징이다. 그러나 다툼이 발생한 구체적인 국면에서 설립자의 의사가 무엇인지의 문제는 재단법이 풀어야 할 근본적인 숙제의 하나이다. 설립자의 의사는 재단설립 시에 표명된 명시적 의사와 추정적 의사로 나누어 고찰할 필요가 있다. 설립자의 ‘재단설립 시의 명시적 의사’가 일차적으로 중요하고, 그의 ‘추정적 의사’는 보조성을 가진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법리가 유의미해지려면 설립자의 ‘명시적’ 의사와 ‘추정적’ 의사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설립자 의사의 확인 방법이 문제가 되는데, 이를 위해 우선 재단의 법인격 취득 과정에서의 설립자 의사의 역할을 살펴보았다(Ⅱ). 다음으로 법인격 취득 전후의 재단설립행위에 대하여 해석하였으며(Ⅲ), 이와 연계하여 지금까지 판례 및 문헌에서 사용된 설립자 의사의 다양한 속성을 고찰하였다(Ⅳ). 이어서 ‘명시적’ 의사와 ‘추정적’ 의사의 두 가지 형태의 표현 내용을 확인하였다(V). 마지막으로 재단 기관에 대한 법적 효과(Ⅵ)를 살펴보았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단과 재단을 구분할 때 중요한 점은 원시정관 등 당해 조직의 지배구조를 설립자, 기관, 구성원 기타 제3자가 후발적으로 그것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그것이 가능하면 사단이고, 불가능하면 재단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우리 재단법의 최고 원칙은 ‘설립 당시 설립자 의사’의 결정성이다. 이를 통해 재단은 제3자와 주무관청뿐만 아니라 설립자의 자의로부터 보호된다.
      (2) 재단설립 당시 설립자의 개인적⋅주관적 의사와 재단설립행위나 정관에 표명된 객관적 의사는 달리 취급되어야 한다. 재단설립 후에는 재단설립행위나 정관에 표명된 의사 또는 추정적 의사에 결정적 의미가 부여된다. 재단설립 후 설립자 의사와 관련하여 “재단설립 시에 표명된 의사(명시적 의사)”가 일차적으로 중요하며, “설립자의 추정적 의사”는 명시적 의사에 흠결이 있는 경우에 보조적으로만 고려될 수 있다. 설립자의 추정적 의사는 설립자의 명시적 의사를 토대로 그것의 흠결을 메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추상적 의사를 탐지함에 있어서는 재단설립행위로 ‘표명된’ 설립자의 의사를 출발점으로 해야 한다.
      (3) 정관의 형태로 재단설립 시 표명된 의사는 설립자 의사의 일차적인 인식원이다. 그 밖에 정관은 아니지만 재단설립 허가 절차와 관련하여 작성된 서류(예컨대 허가 과정에서 설립자와 주무관청 사이에 오고 간 문서)도 설립자의 의사 탐지에 고려될 수 있다.
      (4) 설립자의 생전처분에 의한 재단설립행위는 상대방 없는 단독행위이다. 재단설립행위는 재단의 법인격이 인정되기 전까지는 순전히 주관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설립 허가와 함께 재단설립행위는 규범적 성격을 갖게 되고, 거기에는 객관적 해석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5) 설립자의 ‘명시적’ 의사는 일반적으로 설립자의 ‘본래적’, ‘실제적’, ‘역사적’ 의사라고도 할 수 있다. 그것은 재단의 설립 허가가 내려지는 시점에 객관화된다.
      (6) 설립자의 명시적 의사의 우선 및 보조적인 설립자의 추정적 의사의 존중 요청은 재단 기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설립자의 의사는 재단의 정관으로 설립자가 재단에 부여한 재량...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송호영, "주석민법[총칙(1)](제4판), 총설" 한국사법행정학회 2010

      2 국회사무처, "제26회 국회정기회의속기록 제62호(부록)"

      3 김진우, "재단법인의 조직: 대륙 유럽법계에서의 논의와 한국법에의 시사점을 덧붙여" 법학연구소 48 (48): 53-92, 2013

      4 김진우, "재단법인의 정관변경 - 독일법과 우리 법의 비교를 통한 고찰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9 (19): 167-199, 2011

      5 김진우, "재단법인의 목적변경- 대륙유럽법(특히 독일법)과 우리 법의 비교를 통한 고찰 -" 한국비교사법학회 17 (17): 77-110, 2010

      6 김진우, "재단법인에 대한 설립자의 관여 가능성 -정관작성의 자유와 한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3 (13): 323-351, 2012

      7 고상현, "재단법인설립행위의 개념, 구조, 법적 성질" 한국민사법학회 50 : 277-308, 2010

      8 제철웅, "재단법인법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민사법학회 (31) : 47-92, 2006

      9 김진우, "재단법인 이사의 내부책임" 한국민사법학회 51 : 3-45, 2010

      10 김진우, "재단법인 수익자의 법적 지위" 법조협회 63 (63): 79-120, 2014

      1 송호영, "주석민법[총칙(1)](제4판), 총설" 한국사법행정학회 2010

      2 국회사무처, "제26회 국회정기회의속기록 제62호(부록)"

      3 김진우, "재단법인의 조직: 대륙 유럽법계에서의 논의와 한국법에의 시사점을 덧붙여" 법학연구소 48 (48): 53-92, 2013

      4 김진우, "재단법인의 정관변경 - 독일법과 우리 법의 비교를 통한 고찰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9 (19): 167-199, 2011

      5 김진우, "재단법인의 목적변경- 대륙유럽법(특히 독일법)과 우리 법의 비교를 통한 고찰 -" 한국비교사법학회 17 (17): 77-110, 2010

      6 김진우, "재단법인에 대한 설립자의 관여 가능성 -정관작성의 자유와 한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3 (13): 323-351, 2012

      7 고상현, "재단법인설립행위의 개념, 구조, 법적 성질" 한국민사법학회 50 : 277-308, 2010

      8 제철웅, "재단법인법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민사법학회 (31) : 47-92, 2006

      9 김진우, "재단법인 이사의 내부책임" 한국민사법학회 51 : 3-45, 2010

      10 김진우, "재단법인 수익자의 법적 지위" 법조협회 63 (63): 79-120, 2014

      11 김진우, "임의규정과 보충적 해석-계약의 공백보충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7 (17): 271-298, 2016

      12 김진우, "약관의 해석에 관한 일고찰 - 객관적 해석과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의 유럽법과의 비교를 통한 검토 -" 한국재산법학회 28 (28): 179-206, 2011

      13 김정연, "비영리법인 이사의 이익충돌과 충실의무" 한국상사법학회 38 (38): 1-48, 2019

      14 권철, "비영리단체 법제에 관한 재검토 小考 - 우리 법제의 과거 · 현재 · 미래 -" 법학연구원 32 (32): 1-50, 2020

      15 이은영, "민법총칙" 박영사 2009

      16 이영준, "민법총칙" 박영사 2007

      17 송덕수, "민법총칙" 박영사 2021

      18 김증한, "민법총칙" 박영사 1995

      19 김대정, "민법총칙" 도서출판 fides 2012

      20 곽윤직, "민법총칙" 박영사 2013

      21 고상룡, "민법총칙" 법문사 2004

      22 강태성, "민법총칙" 대명 2019

      23 홍일표, "민법주해 제1권 제32조, 제43조" 박영사 1992

      24 민사법연구회, "민법안의견서" 일조각 1957

      25 김제완, "단체법리의 재조명 : 종중재산의 법적 성격" 대한변호사협회 (355) : 134-159, 2006

      26 김기진, "공익재단법인의 설립자와 공익재단법인과의 관계" 법학연구원 (51) : 347-372, 2008

      27 김진우, "공익신탁법리와 법정책적 제언: 공익재단법인제도와의 비교를 통하여" 8 (8): 2001

      28 김진우, "공익법인의 지배구조 - 재단에서 자주적 의사형성이 가능한지 여부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23 (23): 1227-1266, 2016

      29 송호영, "法政策學的 觀點에서 본 民法上 法人關聯規定 改正案" 한국법정책학회 12 (12): 359-396, 2012

      30 四宮和夫, "民法総則" 弘文堂 2005

      31 我妻栄, "新訂 民法総則" 岩波書店 1965

      32 "Weitemeyer in MüKoBGB" BGB 81-, 2021

      33 Schwalm, "Stiftungsrechtsreform ante portas? ― Kernbotschaften für die Stiftungspraxis" 68-, 2021

      34 von Campenhausen, "Stiftungsrechts-Handbuch" 6-, 2014

      35 Schauhoff, "Stiftungsrecht nach der Reform" 2022

      36 Suerbaum in Stumpf, "Stiftungsrecht" Teil C 2018

      37 Stumpf in Richter, "Stiftungsrecht" 4-, 2019

      38 Schlüter, "Stiftungsrecht" 2016

      39 Hüttemann, "Staudinger" BGB 81-, 2017

      40 "Schwake in MHdb. GesR Ⅴ" 79-, 2021

      41 Jakob, "Schutz der Stiftung" 2006

      42 Beyer, "Satzungsänderungen und Stifterwille ― Eine Analyse des neuen Stiftungsrechts" 161-, 2021

      43 A. Werner, "Satzungsänderungen durch Stiftungsorgane gemäß den Voraussetzungen der Landesstiftungsgesetze" 189-, 2012

      44 Hüttemann, "Rawert in Staudinger" BGB 85-, 2017

      45 "Münchener Handbuch zum Gesellschaftsrecht" 107-, 2016

      46 Jakob, "Modernes Stiftungsrecht für Deutschland in Europa ― was sollte geregelt werden?" 7-, 2016

      47 "Mecking in MHdb. GesR Ⅴ" 85-, 2021

      48 Hüttemann, "Landesstiftungsrecht" 5-, 2011

      49 Schauhoff, "Handbuch der Gemeinnützigkeit" 2010

      50 Burgard, "Gestaltungsfreiheit im Stiftungsrecht" 2006

      51 "Gesetz zur Vereinheitlichung des Stiftungsrechts v. 16.07.2021" BGBl 2947-, 2021

      52 Mugdan, "Die gesammelten Materialien zum BGB für das Deutsche Reich, Band 1" 1899

      53 O. Werner, "Die Stiftung ― Recht, Steuern, Wirtschaft" 2008

      54 Muscheler, "Der Widerruf des Stiftungsgeschäfts" 172-, 2017

      55 Schick, "Das Argument des „mutmaßlichen Stifterwillens“" 2021

      56 "Bericht der Bund-Länder-Arbeitsgruppe „Stiftungsrecht“ an die Ständige Konferenz der Innenminister und -senatoren der Länder"

      57 "Backert in BeckOK BGB, 62" BGB 81-, 2022

      58 "Backert in BeckOK BGB, 62" BGB 80-, 2022

      59 "BT-Drs. 19/31118"

      60 "BT-Drs. 19/28173"

      61 Hüttemann/Rawert, "Ausdrücklicher und mutmaßlicher Stifterwille" 222 : 301-,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