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다 내실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을 위하여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협력적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39101
2019
Korean
373
KCI등재
학술저널
223-240(18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다 내실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을 위하여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협력적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학...
본 연구는 보다 내실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을 위하여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협력적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과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방해요소를 지도자, 시설, 프로그램 측면에서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지도자 측면 에서는 담당교사의 과중한 업무 부담과 교수전문성 부족의 문제를 협력적 로컬거버 넌스 구축을 통해 지역사회 전문 인력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시설 측면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과 지역사회와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지역공공시설 및 스포츠클럽 시설을 공유함으로써 부족한 공간 문제를 해소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측면에서도 지역사회와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학교스포츠클럽이 추구하는 체육의 교육적 가치가 내재된 다양한 신체활동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개발 및 확산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지역사회 연계체계 구축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요구되어지는 학술적, 정책적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justification on developing collaborative local governance to fruitfully manage school sport club.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firstly drew major hindrances in managing school sport club based on three dimensions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justification on developing collaborative local governance to fruitfully manage school sport club.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firstly drew major hindrances in managing school sport club based on three dimensions -human resource, facilities, and programs- by closely analyzing precedent studies, which are focused on current status of school sport club and then discussed the justification on why school sport clubs need to connect with local communities to ensure internal stability of school sport club based on three infrastructures of school sport club; 1) reducing teachers’ work load and improving professionality; 2) establishing alternatives for facilities; 3) developing and spreading various physical activity programs, which should include the PE values. Lastly, this study concluded with suggestions for practical effectiveness of local connections that are required to promote the school sport club syste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호, "협력적 로컬거버넌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서남권 광역화장시설을 대상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31 (31): 23-43, 2017
2 서휘석,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과정에 관한 연구 - 완주군 로컬푸드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45-66, 2015
3 강용기, "현대지방자치론" 대영문화사 2008
4 권민정,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 포럼"
5 김민철, "한국체육정책추진체계의 합리성에 관한 지방체육참여주체의 주관적 인식"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47-58, 2011
6 주재복, "한국로컬거버넌스와 지방자치-협력적 로컬 거버넌스의 대두 3: 안양천 수질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2004
7 전원재, "한국 스포츠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로컬 거버넌스 구축 방안"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0 (30): 149-173, 2017
8 안현균, "학교체육활동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방안 모색: 학교스포츠클럽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 10 (10): 13-29, 2012
9 김기천,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에 따른 초등학생 사회성 발달과 학교생활만족도" 26 : 81-102, 2014
10 김기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 김정호, "협력적 로컬거버넌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서남권 광역화장시설을 대상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31 (31): 23-43, 2017
2 서휘석,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과정에 관한 연구 - 완주군 로컬푸드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45-66, 2015
3 강용기, "현대지방자치론" 대영문화사 2008
4 권민정,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 포럼"
5 김민철, "한국체육정책추진체계의 합리성에 관한 지방체육참여주체의 주관적 인식"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47-58, 2011
6 주재복, "한국로컬거버넌스와 지방자치-협력적 로컬 거버넌스의 대두 3: 안양천 수질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2004
7 전원재, "한국 스포츠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로컬 거버넌스 구축 방안"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0 (30): 149-173, 2017
8 안현균, "학교체육활동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방안 모색: 학교스포츠클럽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 10 (10): 13-29, 2012
9 김기천,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에 따른 초등학생 사회성 발달과 학교생활만족도" 26 : 81-102, 2014
10 김기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1 서지영, "학교스포츠클럽 교육성과 확대를 위한 정책연구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12 박재정, "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17-140, 2016
13 홍명기, "초등교사의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경험과 내실화 방안"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163-176, 2018
14 이범제, "체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15 김기철, "창의적 체험활동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체육학회 52 (52): 61-74, 2013
16 이현수,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장애인 체육 및 스포츠 거버넌스 발전방안" 12 : 286-, 2010
17 엄태석, "지역발전과 로컬 거버넌스-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5 (15): 97-116, 2005
18 이미홍, "지역개발사업에 있어 거버넌스 구축방안 연구" 4 : 97-116, 2007
19 류동수, "지역 스포츠이벤트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거버넌스 모형 구축" 한국체육정책학회 12 (12): 27-44, 2014
20 주병하,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실태 및 지도주체별 인식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4 (24): 61-76, 2017
21 현근, "중앙정부의 지역개발정책에서 기인된 협력적 로컬 거버넌스의 형성사례 비교분석: 광명시 광명역활성화운동 사례와 충주시 공공기관 유치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8 (18): 293-325, 2008
22 김선희, "주5일 수업제 도입에 따른 학생체육 호라동 활성화 방안" 21-40, 2012
23 주성택, "일본의 학교·지역스포츠간 연계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 13 (13): 93-105, 2015
24 최철호, "일본 스포츠정책에 관한 고찰"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3 (13): 251-274, 2010
25 김석기, "스포츠 (성)폭력 근절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15 (15): 37-49, 2017
26 남상우, "성공적인 스포츠클럽 운영모델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7
27 허창혁, "서울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 (20): 51-70, 2013
28 박상필, "로컬거버넌스의 성공모델" 대영문화사 2018
29 박진경, "동계스포츠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스포츠거버넌스 구축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55-73, 2011
30 이용식, "독일, 일본, 한국의 스포츠클럽 운영체계 비교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17 (17): 79-91, 2006
31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도시행정론" 박영사 2016
32 김석준, "뉴거버넌스 연구" 대영문화사 2000
33 권민정,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육적 역할 및 향후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45-65, 2012
34 Pierre, J., "Models of Urban Governance : The Institutional Dimensions of Urban Politics" 34 : 372-396, 1999
35 Warren, R., "Local Autonomy and Local Governance: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Proceeding paper" 2002
36 Gash, A., "Handbook on Theories of Governance" Edward Elgar Publishing 454-467, 2016
자동내용분석법(Automatic Content Analysis)을 통한 과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8년부터 2015년까지 8년간의 JRST, IJSE 연구논문 분석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과 관련 교과서 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미래문제해결(Future Problem Solving) 5단계 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에서 중학교 영재들의 과학지식 변화 분석
능동적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초등 프로젝트기반학습의 효과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