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이 어느 순간부터 한국 및 국제사회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한 나라의 청년은 국가의 미래이므로 청년실업해결은 국가차원에서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청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52959
2017
-
324
KCI등재
학술저널
365-389(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청년실업이 어느 순간부터 한국 및 국제사회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한 나라의 청년은 국가의 미래이므로 청년실업해결은 국가차원에서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청년...
청년실업이 어느 순간부터 한국 및 국제사회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한 나라의 청년은 국가의 미래이므로 청년실업해결은 국가차원에서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청년들의 도전과 창업활동은 국가의 미래이며 희망이지만, 청년창업의 성공가능성에 차원에서는 양날의 검처럼 성공과 실패가 분명하게 나누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육성한 청년창업자에 대하여 지역 이해관계자들이 느끼는 반응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를 교직원, 학생, 지역상인 등 3개의 그룹으로 설정하였다. 지역 이해관계자들의 청년창업에 대한 반응은 청년창업에 대한 소비자태도와 창업자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년창업에 대한 소비자태도는 3개 그룹 모두 높게 나타났다. 청년창업자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서는 교직원 그룹과 지역상인 그룹이 학생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교직원 그룹, 지역상인 그룹, 학생그룹 순서로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young people’s unemployment is the serious pending problem for nation and society to solve in the world, and young adult start-up to create young people’s workplace became the hot issue. Although the young people’s challenge and intention to...
The young people’s unemployment is the serious pending problem for nation and society to solve in the world, and young adult start-up to create young people’s workplace became the hot issue. Although the young people’s challenge and intention to start up is the future and hope for the nation, there are both sides between the keen sword about the feasibility of young start-ups’ succes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young start-ups which university
educated on the stakeholder’s attitudes. And this research analysed the stakeholder’s responses through the final products which the young start-ups created. In this research 3 kinds of stakeholder’s group were selected, that is to say, ‘Faculty group’, ‘Students group’, ‘Regional merchant group’. Dependent variables were attitude toward consumer, purchase intention. As a research result, regarding attitude toward consumer recorded high scores in all subject groups. In terms of purchase intention, Faculty group and Regional merchant group were higher than Students group. In comparison of all groups, the ranking showed that Faculty group, Regional merchant group, Students group.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부용, "환경변화에 따른 계층별 일자리창출 방안" 1-97, 2012
2 손석춘, "한국의 미디어 집중과 여론 다양성의 위기" 한국언론정보학회 56 (56): 7-25, 2011
3 박진용, "패션의 거리에서 청년 창업거리로.. 이화 스타트업 52번가 프로젝트 실시"
4 위키피디아, "통계로 보는 청년실업"
5 정석화, "청년창업지원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지역 청년 일자리 성과창출 사례" 한국중소기업학회 38 (38): 213-232, 2016
6 유봉호, "청년창업자의 심리특성과 내재적 동기가 창업성공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6 (26): 2669-2690, 2013
7 유봉호, "청년창업자의 셀프리더십이 창업성공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8 (28): 1087-1103, 2015
8 송은실, "청년창업가의 창업특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 경상북도 청년CEO 육성사업을 사례로 -"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77-193, 2012
9 박성준, "청년실업의 현황과 원인분석" 한국경제연구원 1-43, 2005
10 금재호, "청년실업의 현황과 원인 및 대책" 9 (9): 27-54, 2007
1 송부용, "환경변화에 따른 계층별 일자리창출 방안" 1-97, 2012
2 손석춘, "한국의 미디어 집중과 여론 다양성의 위기" 한국언론정보학회 56 (56): 7-25, 2011
3 박진용, "패션의 거리에서 청년 창업거리로.. 이화 스타트업 52번가 프로젝트 실시"
4 위키피디아, "통계로 보는 청년실업"
5 정석화, "청년창업지원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지역 청년 일자리 성과창출 사례" 한국중소기업학회 38 (38): 213-232, 2016
6 유봉호, "청년창업자의 심리특성과 내재적 동기가 창업성공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6 (26): 2669-2690, 2013
7 유봉호, "청년창업자의 셀프리더십이 창업성공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8 (28): 1087-1103, 2015
8 송은실, "청년창업가의 창업특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 경상북도 청년CEO 육성사업을 사례로 -"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77-193, 2012
9 박성준, "청년실업의 현황과 원인분석" 한국경제연구원 1-43, 2005
10 금재호, "청년실업의 현황과 원인 및 대책" 9 (9): 27-54, 2007
11 남재량, "청년실업의 동태적 특성과 정책 시사점" 16 : 22-33, 2006
12 진용주, "청년실업에 대한 창의적 대안, 학교기업에 대한 수용자 반응 사회과학분야 광고홍보전문 학교기업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PR학회 18 (18): 85-118, 2014
13 서울경제, "청년실업 해결 위한 사회적 논의 시작해야"
14 서울신문, "청년들의 비명… 실업률 8.2% 13년 만에 최고치"
15 차민석, "청년기업가를 위한 창업지원체계 설계와정책방안 수립" 한국중소기업학회 15 (15): 93-125, 2012
16 곽동철, "창업기업 생존율 영향 요인 고찰:청년창업을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38 (38): 77-94, 2016
17 이현주, "지역사회서비스 창업에 있어 관계마케팅에 관한 연구: 관계신뢰와 관계만족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창업학회 11 (11): 1-22, 2016
18 박희봉,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거버넌스 능력" 34 (34): 175-196, 2001
19 헤럴드경제, "젊은 창업 꿈 쏘아 올린 ‘이화 스타트업 52번가’"
20 김동은, "이화여대 스타트업 52번가 취재기"
21 한국경제, "이화 스타트업 52번가"
22 이신모, "우리나라대학의 창업교육의 실태와 과제" 한국창업학회 1 (1): 124-152, 2006
23 진주형, "역할모델 노출이 청년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36 (36): 101-123, 2014
24 유봉호, "성취욕구와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동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51-60, 2015
25 김종진, "산화협력: 대학의 새로운 역할" 한국산학기술학회 6 (6): 461-467, 2005
26 채구묵, "복지국가 유형과 소득불평등 및 빈곤율과의 관계"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7) : 325-365, 2012
27 신희천, "대학졸업 청년실업과 정신건강의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한국사회조사연구소 9 (9): 43-75, 2008
28 김종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창업동기 및 창업계획시기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9 (9): 79-87, 2014
29 하규수, "대학생의 창업교육 요구도와 창업의지" 311-337, 2009
30 이원준, "대학생의 창업 실행성과 창업 의지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978-982, 2016
31 조준희,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교육과 창업참여의 조절효과 -"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8 (18): 53-75, 2015
32 남진열, "대학생의 개인적 직업 관련요인들과 취업준비실태의 관계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353-375, 2010
33 김세령, "대학생 아르바이트생의 노동인권에 관한 실증분석" 3 : 71-78, 2013
34 이데일리, "대학가 상권의 두 얼굴, 뒷골목 부활 꿈꾸는 이대 vs 높은 임대료 몸살 앓는홍대"
35 김용성, "고학력 청년층의 미취업 원인과 정책적 대응방안: 일자리 탐색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34 (34): 67-95, 2012
36 김영천, "경영시뮬레이션게임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의 창업교육 사례 연구" 한국창업학회 12 (12): 358-381, 2017
37 양영석, "‘질 좋은 청년창업’ 창출을 위한 정부의 청년창업육성정책 패러다임 이행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167-179, 2012
38 임상연, "‘국토연구원-일본 국토기술정책종합연구소 제 3 차 공동세미나’ 한· 일 양국의 도시재생 및 도시계획에 관한 최근 전략과 과제" 122-130, 2014
39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1215002007&wlog_tag3=daum#csidx769d39ef6d889d8a3d84ae227d48f6b"
40 "http://www.sedaily.com/NewsView/1KXMJA1I8Q"
41 "http://www.sedaily.com/NewsView/1KTPI54SPC"
42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30610151"
43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D11&newsid=01239846612684672&DCD=A00401&OutLnkChk=Y"
44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60609000711"
45 "http://ko.wikipedia.org/wiki/%EC%B2%AD%EB%85%84_%EC%8B%A4%EC%97%85"
46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o5100&logNo=220616774446"
47 Dardis, Rachel, "Risk‐benefit analysis of cigarette smoking: public policy implications" 29 (29): 351-367, 1995
48 Formbrun, C. J., "Fame and Fortune: How Successful Companies Build Winning Reputations" Financial Times Prentice-Hall 2004
49 Zacks, J. M., "Event structure in perception and conception" 127 (127): 3-, 2001
50 Van Marrewijk, M., "Concepts and definitions of CSR and corporate sustainability: Between agency and communion" 44 (44): 95-105, 2003
51 Bearden, W. O., "An investigation of influences on consumer complaint reports" 11 (11): 490-495, 1984
52 Chaloupka, F. J., "Alcohol control policies and motor vehicle fatalitie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91
한국 중소기업의 국제 기업가적 지향성이 해외직접투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EO의 기회에 대한 기민성이 제품 혁신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혁신기술의 사업화 주체간의 기술과 제품에 대한 이해의 갭 : 기술개발자와 시장수요자를 중심으로
ICT 중소기업의 창의적 융합인재와 노사 파트너십이 조직몰입과 비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55 | 0.734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