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은혜, "행동연쇄 방해전략이 비구어 자폐 청소년의 보완?대체 의사소통(AAC)체계 사용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263-286, 2003
2 임장현, "참여모델을 적용한 태블릿 PC기반의 AAC중재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85-106, 2011
3 박은혜, "중도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 개발 및 교사 지원에 관한 연구 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97-115, 2005
4 정해동,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지도"
5 방명애, "웹의사소통판을 이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장애아의 기능적 어휘습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245-262, 2002
6 최양규, "애니메이션 효과가 정서 그림 상징의 식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163-178, 2010
7 박나리, "시간 지연 및 요구-모델 방법을 이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 소통 행동과 통문자 습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37-158, 2007
8 김경양,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중도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습득에 미치는 효과" 6 (6): 331-354, 2001
9 김영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AAC) 적용을 위한 언어치료사와 특수교사의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234-254, 2006
10 김영태,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언어치료사들의 인식 및 사용실태 조사연구" 6 (6): 27-39, 2007
1 박은혜, "행동연쇄 방해전략이 비구어 자폐 청소년의 보완?대체 의사소통(AAC)체계 사용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263-286, 2003
2 임장현, "참여모델을 적용한 태블릿 PC기반의 AAC중재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85-106, 2011
3 박은혜, "중도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 개발 및 교사 지원에 관한 연구 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97-115, 2005
4 정해동,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지도"
5 방명애, "웹의사소통판을 이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장애아의 기능적 어휘습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245-262, 2002
6 최양규, "애니메이션 효과가 정서 그림 상징의 식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163-178, 2010
7 박나리, "시간 지연 및 요구-모델 방법을 이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 소통 행동과 통문자 습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37-158, 2007
8 김경양,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중도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습득에 미치는 효과" 6 (6): 331-354, 2001
9 김영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AAC) 적용을 위한 언어치료사와 특수교사의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234-254, 2006
10 김영태,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언어치료사들의 인식 및 사용실태 조사연구" 6 (6): 27-39, 2007
11 박은혜, "보완대체 의사소통 진단 프로토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5
12 전병운,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적용이 비구어 정신지체 아동의 발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2 (12): 46-62, 2008
13 조은주, "그림의 위치와 색상을 조정한 그림의사소통판의 사용이 중증 뇌성마비아의 언어표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14 Cohen, E. T., "Use of picture dictionaries to promote written communication by students with hearing and cognitive impairments" 17 (17): 245-254, 2001
15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Repor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23 : 577-581, 1991
16 Hetzroni, O. E., "Preschoolers with communication impairments play shrinking Kim : An interactive computer storytelling intervention for teaching Blissymbols" 16 (16): 260-269, 2000
17 Vandervelden, M. C., "Phonological processing and literacy in AAC users and students with motor speech impairments" 15 (15): 191-211, 1999
18 Bourgeois, M. S., "Memory aids as 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trategy for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17 (17): 196-209, 2001
19 Dyches, T. T., "Generalization of skills using pictographic and voice output communication devices" 18 (18): 124-131, 2002
20 Shadish, W. R.,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for general causal inference" Houghton Mifflin 2002
21 Ferm, U.,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inspeak application using blissymbols" 17 (17): 233-244, 2001
22 Lloyd, L. L.,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 A handbook of principles and practices" Allyn and Bacon 1997
23 Hurtig 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 Acute and Critical Care settings" Plural Publishing Co., Inc 2009
24 Beukelman D. 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Inc 2005
25 Johnston, L., "Assistive Technology Access For All Students" Pearson Education Inc 2007
26 노동우, "AAC(보완대체의사소통)의 중증 정신지체 아동적용에 대한 태도 연구-특수교육·재활관련 전공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9 (9): 209-226, 2002
27 Sutherland, D. E., "AAC use and service provisiobn : A survey of New Zealand speech-language therapists" 21 (21): 295-307,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