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남지역 무형문화재 지정 논매기 상사소리의 수용에 관한 현장론적 연구 = A Field Study on the adopt of the Sangsa - sori which ar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Youngnam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94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cceptance factor of the weeding a rice paddy Sangsa-sori in Youngnam area. There are no native song in Gyungnam Gaehwa village, Wusan-li and Gyungbuk Singwan-li. A way of weeding a rice paddy are equal too. These villages had a decided advantage to examine acceptance factor of the Sangsa-sori. To weed a rice paddy the long side of the rice paddy come into Fundamental requirement of the accept. The third weeding a rice paddy less harder than the first weeding a rice paddy.
      All investigation villagers song a Sangsa-sori in the Second and third weeding a rice paddy. Because the rice is doing well and have much to do villagers leave no room for song. Singers regard a Sangsa(祥事) as an auspicious event. Sangsa(祥事) abstraction combined with Rice grows and the second weeding a rice paddy. Since then arrived at a abstraction of the Sangsa-sori. Sangsa(祥事) abstraction contribute to used on working. During a fundamental requirement villagers song Sangsa-sori often. Singing frequency concern with function expansion.
      Because there is no native song, When finish weeding a rice paddy accepted in the second weeding a rice paddy. A Labor manpower, A way of weeding a rice paddy, Number of singing and Sangsa(祥事) abstraction have an influenced singing in village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cceptance factor of the weeding a rice paddy Sangsa-sori in Youngnam area. There are no native song in Gyungnam Gaehwa village, Wusan-li and Gyungbuk Singwan-li. A way of weeding a rice paddy are equal too. Th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cceptance factor of the weeding a rice paddy Sangsa-sori in Youngnam area. There are no native song in Gyungnam Gaehwa village, Wusan-li and Gyungbuk Singwan-li. A way of weeding a rice paddy are equal too. These villages had a decided advantage to examine acceptance factor of the Sangsa-sori. To weed a rice paddy the long side of the rice paddy come into Fundamental requirement of the accept. The third weeding a rice paddy less harder than the first weeding a rice paddy.
      All investigation villagers song a Sangsa-sori in the Second and third weeding a rice paddy. Because the rice is doing well and have much to do villagers leave no room for song. Singers regard a Sangsa(祥事) as an auspicious event. Sangsa(祥事) abstraction combined with Rice grows and the second weeding a rice paddy. Since then arrived at a abstraction of the Sangsa-sori. Sangsa(祥事) abstraction contribute to used on working. During a fundamental requirement villagers song Sangsa-sori often. Singing frequency concern with function expansion.
      Because there is no native song, When finish weeding a rice paddy accepted in the second weeding a rice paddy. A Labor manpower, A way of weeding a rice paddy, Number of singing and Sangsa(祥事) abstraction have an influenced singing in villa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논매기 상사소리가 영남지역 여러 마을에서 수용, 전승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 요인을 현장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8개 조사마을 중 경남 거창 개화마을과 고성 우산리, 경북 경산 자인면은 노동 방식이 동일하고 자생소리 없다는 점에서 상사소리의 수용 요인을 검토하는데 유리한 조건이다. 논배미의 규모 대비 노동 투입 인원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초벌에 비해 덜 힘든 세벌 논매기 때 모 주변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논의 긴 쪽으로 훔치는 방식이 상사소리 수용의 기본 요건이 되었다.
      8개 조사마을에서는 공통적으로 두벌 이후 손으로 훔치는 일에서 상사소리를 구연하였다. 한창 벼가 커가는 상황에서 해야 하는 일도 많고 힘 역시 더 드는 논매기 때는 외래소리가 들어갈 만한 여지가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가창자들이 상사(祥事) 자체를 상서로운 일, 좋은 일로 인식하고 있고, 어느 정도 모가 크고, 힘도 덜 드는 논 훔치는 상황은 이 소리의 문자적 의미와 결합하여 상사소리의 특유의 관념이 형성되었다. 상사소리는 좋은 소리, 풍년을 부르는 소리라는 관념은 이 소리가 훔치거나 쌈싸는 일에 활용되는데 일조하였다.
      모든 논매기 과정에서 일하는 내내 수시로 상사소리를 부르되 선소리 가창자 수도 많은 경남 거창 개화마을과 고성 우산리, 그리고 부잣집 논의 만물 논매기 때만 소리를 부르되, 전체 가구 대비 선소리 가창자 비율이 낮은 경산 자인의 사례를 통해 구연 빈도와 소리의 기능 확장이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전 들말에서 두벌 훔치기에서 시작된 상사소리가 초벌 매기로 확장된 것 역시 구연 빈도와 관련이 있었다.
      영남지역 논매기 상사소리는 자생소리가 없는 상황에서 손으로 훔치면서 크게 힘들지 않고 논의 긴 쪽으로 일하는 경우와 손으로 훔치면서 크게 힘들지 않은데 자생소리 있기 때문에 쌈싸는 소리로 수용된 경우, 그리고 자생소리가 없어 훔치는 소리로 수용된 경우로 수용되었다. 이후 손으로 훔치면서도 더 꼼꼼하고 품이 많이 드는 일과 호미로 매는 일로 기능이 확장되었다. 이렇게 상사소리가 각 마을에 전승되는데 노동 인력 및 논매기 방식, 구연 횟수, 그리고 상사(祥事) 관념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앞으로 본고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사소리 흐름에 있어 중요한 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본 논문의 결과를 검증하는 동시에 및 새로운 요인은 없었는지 검토할 것이다. 아울러, 경기도에서 출발하여 충남 부여와 논산을 경유, 전북으로 진출한 방아소리의 수용 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우리나라 논매는 소리의 수용 요인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논매기 상사소리가 영남지역 여러 마을에서 수용, 전승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 요인을 현장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8개 조사마을 중 경남 거창 개화마을과 고성 우산리, 경...

      본 논문에서는 논매기 상사소리가 영남지역 여러 마을에서 수용, 전승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 요인을 현장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8개 조사마을 중 경남 거창 개화마을과 고성 우산리, 경북 경산 자인면은 노동 방식이 동일하고 자생소리 없다는 점에서 상사소리의 수용 요인을 검토하는데 유리한 조건이다. 논배미의 규모 대비 노동 투입 인원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초벌에 비해 덜 힘든 세벌 논매기 때 모 주변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논의 긴 쪽으로 훔치는 방식이 상사소리 수용의 기본 요건이 되었다.
      8개 조사마을에서는 공통적으로 두벌 이후 손으로 훔치는 일에서 상사소리를 구연하였다. 한창 벼가 커가는 상황에서 해야 하는 일도 많고 힘 역시 더 드는 논매기 때는 외래소리가 들어갈 만한 여지가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가창자들이 상사(祥事) 자체를 상서로운 일, 좋은 일로 인식하고 있고, 어느 정도 모가 크고, 힘도 덜 드는 논 훔치는 상황은 이 소리의 문자적 의미와 결합하여 상사소리의 특유의 관념이 형성되었다. 상사소리는 좋은 소리, 풍년을 부르는 소리라는 관념은 이 소리가 훔치거나 쌈싸는 일에 활용되는데 일조하였다.
      모든 논매기 과정에서 일하는 내내 수시로 상사소리를 부르되 선소리 가창자 수도 많은 경남 거창 개화마을과 고성 우산리, 그리고 부잣집 논의 만물 논매기 때만 소리를 부르되, 전체 가구 대비 선소리 가창자 비율이 낮은 경산 자인의 사례를 통해 구연 빈도와 소리의 기능 확장이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전 들말에서 두벌 훔치기에서 시작된 상사소리가 초벌 매기로 확장된 것 역시 구연 빈도와 관련이 있었다.
      영남지역 논매기 상사소리는 자생소리가 없는 상황에서 손으로 훔치면서 크게 힘들지 않고 논의 긴 쪽으로 일하는 경우와 손으로 훔치면서 크게 힘들지 않은데 자생소리 있기 때문에 쌈싸는 소리로 수용된 경우, 그리고 자생소리가 없어 훔치는 소리로 수용된 경우로 수용되었다. 이후 손으로 훔치면서도 더 꼼꼼하고 품이 많이 드는 일과 호미로 매는 일로 기능이 확장되었다. 이렇게 상사소리가 각 마을에 전승되는데 노동 인력 및 논매기 방식, 구연 횟수, 그리고 상사(祥事) 관념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앞으로 본고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사소리 흐름에 있어 중요한 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본 논문의 결과를 검증하는 동시에 및 새로운 요인은 없었는지 검토할 것이다. 아울러, 경기도에서 출발하여 충남 부여와 논산을 경유, 전북으로 진출한 방아소리의 수용 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우리나라 논매는 소리의 수용 요인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명희, "홍천 산간 지역의 <논매는소리> 교섭 양상 -홍천군 내면의 <논매는소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41) : 143-163, 2013

      2 류종목, "한국민요대전 경상남도민요 해설집" 삼보문화사 1994

      3 김진순, "한국노동요의 기능과 역할" 한국민요학회 24 : 81-115, 2008

      4 서영숙, "충청북도 농업노동요의 전승양상 분석" 한국민요학회 20 : 145-168, 2007

      5 권오경, "영남민요의 전승과 특질" 우리말글학회 25 : 217-241, 2002

      6 권오경, "영남권 <논매는소리>의 전승양상과 사설구성의 특질" 한국민요학회 12 : 5-39, 2003

      7 권오경, "민요 교섭양상과 문화적 의미 -영.호남 경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민요학회 13 : 5-39, 2003

      8 대전광역시, "들말두레소리 실황 DVD, 대전문화뿌리찾기 4"

      9 국립문화재연구소,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 84-나호 예천 통명농요 DVD"

      10 김헌선, "경상북도 지역의 논농사와 민요" 한국구비문학회 3 : 1995

      1 유명희, "홍천 산간 지역의 <논매는소리> 교섭 양상 -홍천군 내면의 <논매는소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41) : 143-163, 2013

      2 류종목, "한국민요대전 경상남도민요 해설집" 삼보문화사 1994

      3 김진순, "한국노동요의 기능과 역할" 한국민요학회 24 : 81-115, 2008

      4 서영숙, "충청북도 농업노동요의 전승양상 분석" 한국민요학회 20 : 145-168, 2007

      5 권오경, "영남민요의 전승과 특질" 우리말글학회 25 : 217-241, 2002

      6 권오경, "영남권 <논매는소리>의 전승양상과 사설구성의 특질" 한국민요학회 12 : 5-39, 2003

      7 권오경, "민요 교섭양상과 문화적 의미 -영.호남 경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민요학회 13 : 5-39, 2003

      8 대전광역시, "들말두레소리 실황 DVD, 대전문화뿌리찾기 4"

      9 국립문화재연구소,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 84-나호 예천 통명농요 DVD"

      10 김헌선, "경상북도 지역의 논농사와 민요" 한국구비문학회 3 : 1995

      11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 31호 자인 계정 들소리 실황 DVD"

      12 김인숙, "경상도 논농사 소리의 음악적 특징과 분포 모심는 소리와 논매는 소리를 중심으로" 한국민요학회 12 : 41-74, 2003

      13 강등학, "경북지역 <논매는소리>의 기초적 분석과 지역적 판도" 한국민속학회 40 : 217-251, 2004

      14 강등학, "<모심는소리>와 <논매는소리>의 전국적 판도 및 농요의 권역에 관한 연구" 한국민속학회 38 : 15-91,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8 0.86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