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공원녹지의 최근 10년전 내외 통계현황 자료의 변천과정을 정리하면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원녹지 정책지표 현황의 변화에서는 전체적으로 점진적인 증가함을 볼 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21600
2010
Korean
526
KCI등재
학술저널
7-16(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공원녹지의 최근 10년전 내외 통계현황 자료의 변천과정을 정리하면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원녹지 정책지표 현황의 변화에서는 전체적으로 점진적인 증가함을 볼 수 ...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공원녹지의 최근 10년전 내외 통계현황 자료의 변천과정을 정리하면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원녹지 정책지표 현황의 변화에서는 전체적으로 점진적인 증가함을 볼 수 있고, 기간별 주요 공원녹지 정책들이 특성있게 사업들을 전개하여 주도적으로 추진하여 가시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시대별 주요정책들간의 유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결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주요 조직부서 및 구성원 현황에서 연평균 변천률은 총 정규직 구성원의 시청은 줄고, 사업소는 증가를 나타났으며, 조직부서는 모두 증가를 보이는데, 업무처리 현대화로 인원수는 줄고, 업무 내용의 전문화, 구체화로 부서 숫자가 증가로 판단된다. 공원현황의 연평균 변천률, 공원률, 시설률, 공원계획 및 조성은 증가 하지만, 미조성면적 사유지 면적은 감소되고 있어 공원녹지 확충의 물리적인 변천은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고, 각각 점진적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로수의 점차적으로 도시 환경에 잘 적응하는 다양한 수종으로 교체되고 있어 다양한 수종으로 교체되고 있으며, 지정보호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적극적으로 노거수, 보호수, 회귀수등 보호가치가 있는 수종을 보호에 나서야 할 것으로 된다. 조경관련 조례는 총 4건으로 개정 회수는 서울특별시도시공원조례는 9회, 서울특별시 가로수조성 및 관리조례는 1회, 서울특별시 도시녹화 등에 관한 조례와 서울특별시 보호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조례는 최근 제정되어 최근 가로경관과 문화자원으로서 보호수의 중요성을 반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소관별 예산총괄 현황에서는 보면 매년 총 예산은 사회여건에 따라 증가추세에 있으나, 공원녹지에 대한 예산이 고루지 못하고 점차 감소추세인데, 쾌적한 환경과 기후온난화 대응책으로도 적극 장기적인 예산 수요가 절실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various changes in statistical status data for the latest 10 years about park green belt of Seoul City are summarized as follows. With regard to change in park green belt policy data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re was gradual increase ...
In this study various changes in statistical status data for the latest 10 years about park green belt of Seoul City are summarized as follows.
With regard to change in park green belt policy data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re was gradual increase in general. On the basis of each period major policy on park green belt was implemented with its unique features thus visible effect could be achieved. Nevertheless between major policies on the basis of period there was no organic and persistent linkage which was regretable.
In terms of departments in organization and members of such organization and in the aspect of annual average rate of change it was shown in city hall rate of regular staffs in such departments was declined whereas such numbers in project parts were increased. Department related to organization showed overall increase. But due to modernization of business handling number of personnel was decreased however as contents of works became more professional and specific number of departments were increased. In terms of annual average rate of change for the parks there was increase in the aspect ratio of parks, facilities and park plans and park creation. But privately owned area where parks are not created is decreasing thus showing positive effect in physical change by expansion of park green belt. It showed gradual increase respectively. Road-side trees are gradually being replaced with kind of trees which adapt itself well to urban environment thus kinds of trees became more diverse. Number of trees for designated as protected trees are increasing. But it seemed there is need for more protected trees worthy of protection such as old and big trees, protected trees and rare trees etc. There were totally 4 rules related to landscaping. There were 9 times of revisions with Seoul City Urban Parks Rules and 1 time of revision with Seoul City Roadside Trees Cultivation and Management Rule. Recently there was enactment of Rule on Urban Afforestation of Seoul City and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Protected Trees thus it reflects importance of protected trees for landscape of roadside and as cultural assets. In terms of overall status of budget annually such budget is increasing thus showing impact of social milieu upon it but budget on park greenbelt is not even and its trend is declining downward. Thus long-term securing of more budget for pleasant environment and as countermeasure against global warming is essential.
목차 (Table of Contents)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 탐방 만족도 및 지역경제 파급효과
울릉도 해송림 지역의 생태관광 자원화를 위한 군집구조 분석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국립공원 이용권 분석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