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에드문트 후설, "현상학적 심리학 강의" 민음사 1992
2 슈테판 귄첼, "토폴로지" 에코리브르 2010
3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03
4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길 2007
5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6 발터 벤야민,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외" 길 2008
7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된 공동체" 길 2018
8 조지 레이코프,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9 기형도,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솔 1994
10 이명원, "문학의 탈정치화와 포스트 담론의 파장 - 민주화 이후 한국문학의 전개와 쇠락" 민족문화연구원 (57) : 121-151, 2012
1 에드문트 후설, "현상학적 심리학 강의" 민음사 1992
2 슈테판 귄첼, "토폴로지" 에코리브르 2010
3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03
4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길 2007
5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6 발터 벤야민,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외" 길 2008
7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된 공동체" 길 2018
8 조지 레이코프,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9 기형도,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솔 1994
10 이명원, "문학의 탈정치화와 포스트 담론의 파장 - 민주화 이후 한국문학의 전개와 쇠락" 민족문화연구원 (57) : 121-151, 2012
11 조병춘, "기형도의 詩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5 : 394-409, 2003
12 김행숙, "기형도가 희망을 말하는 방법" 한국문학연구소 (51) : 275-304, 2016
13 기형도, "기형도 전집" 문학과지성사 1999
14 권혁웅, "기형도 시의 주체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4) : 65-88, 2011
15 조동범, "기형도 시에 나타난 근대 도시 공간연구" 인문학연구소 (35) : 87-109, 2018
16 강연호, "기형도 시에 나타난 경계(境界)의 세계 인식" 한국문예창작학회 17 (17): 9-38, 2018
17 안지영, "공감의 윤리와 슬픔의 변증법 -기형도 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4) : 305-336, 2017
18 아도르노,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지성사 2001
19 김광현, "거주하는 장소 – 건축강의 3" 안그라픽스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