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이버 공간에서 친사회적 행동이 갖는 도덕교육적 함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20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이버 공간을 사람들이 사회 통합을 위하여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일종의 사회적 공간이라고 바라본다면, 사이버 공간은 타인들이 매개되어 청소년들의 행동이 학습되는 사회적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청소년들은 사이버 공간 속에서 긍정적이고 친사회적인 행위의 학습을 통하여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사이버 공간 내부의 행위자들은 적극적이고 양방향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사이버 공간이 확장된 현재 및 미래의 교육에서는 직접적 형태로 내용을 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 형태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사회화 과정을 포함하는 모든 학습 또한 더욱 중요하게 취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곧 인간의 행위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상황과 맥락의 중요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사이버 공간에서 청소년들의 도덕적 이탈을 저지하고 친사회적 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도덕교육의 방안을 사회학습 이론의 관점에서 논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사이버 공간을 사람들이 사회 통합을 위하여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일종의 사회적 공간이라고 바라본다면, 사이버 공간은 타인들이 매개되어 청소년들의 행동이 학습되는 사회적 상황으로 ...

      사이버 공간을 사람들이 사회 통합을 위하여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일종의 사회적 공간이라고 바라본다면, 사이버 공간은 타인들이 매개되어 청소년들의 행동이 학습되는 사회적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청소년들은 사이버 공간 속에서 긍정적이고 친사회적인 행위의 학습을 통하여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사이버 공간 내부의 행위자들은 적극적이고 양방향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사이버 공간이 확장된 현재 및 미래의 교육에서는 직접적 형태로 내용을 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 형태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사회화 과정을 포함하는 모든 학습 또한 더욱 중요하게 취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곧 인간의 행위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상황과 맥락의 중요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사이버 공간에서 청소년들의 도덕적 이탈을 저지하고 친사회적 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도덕교육의 방안을 사회학습 이론의 관점에서 논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ider that the Cyber Space as the social space which mediates social interaction of human being for the social integration, the Cyber Space could be understood as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youth learn their moral behavior with mediate other social agents. For this, the youth could foster their morality through learning the positive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Cyber Space. The agents in the Cyber Space could construct their culture with active and two-way directional communication. Prospecting current and future education, not only direct transmission of contents but also indirect and potent leaning process could also be regarded important, including various forms of socialization. This also means that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ext grows which influences human action. This article seeks a practical plan of moral education for deterring the youth from morally deviant behavior and promoting prosocial behavior, in view of social learning theory.
      번역하기

      Consider that the Cyber Space as the social space which mediates social interaction of human being for the social integration, the Cyber Space could be understood as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youth learn their moral behavior with mediate other s...

      Consider that the Cyber Space as the social space which mediates social interaction of human being for the social integration, the Cyber Space could be understood as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youth learn their moral behavior with mediate other social agents. For this, the youth could foster their morality through learning the positive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Cyber Space. The agents in the Cyber Space could construct their culture with active and two-way directional communication. Prospecting current and future education, not only direct transmission of contents but also indirect and potent leaning process could also be regarded important, including various forms of socialization. This also means that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ext grows which influences human action. This article seeks a practical plan of moral education for deterring the youth from morally deviant behavior and promoting prosocial behavior, in view of social learning theo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수, "한국 청소년 정보윤리교육 과제 연구" 서울대학교 2002

      2 박효종, "정치문화의 새로운 지평: 전자민주주의" 서울: 도서출판 이한. 2005

      3 차동춘, "정보화사회의 교육 패러다임" 서울: 도서출판 이한. 2005

      4 Severson, Richard J, "정보윤리학의 기본원리."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0

      5 Webster, Frank, "정보사회이론" 서울: 나남출판 1997

      6 박효종, "정보사회론" 서울: 나남출판. 2000

      7 Wallace, Patricia M, "인터넷 심리학." 서울: 에코리브르 2001

      8 Spinello, Richard, "사이버 윤리" 서울 : 인간사랑. 2001

      9 황상민, "사이버 공간에 또다른 내가 있다" 2000

      10 Gates, William Henry III, "미래로 가는 길." 서울: 도서출판 삼성 1997

      1 김현수, "한국 청소년 정보윤리교육 과제 연구" 서울대학교 2002

      2 박효종, "정치문화의 새로운 지평: 전자민주주의" 서울: 도서출판 이한. 2005

      3 차동춘, "정보화사회의 교육 패러다임" 서울: 도서출판 이한. 2005

      4 Severson, Richard J, "정보윤리학의 기본원리."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0

      5 Webster, Frank, "정보사회이론" 서울: 나남출판 1997

      6 박효종, "정보사회론" 서울: 나남출판. 2000

      7 Wallace, Patricia M, "인터넷 심리학." 서울: 에코리브르 2001

      8 Spinello, Richard, "사이버 윤리" 서울 : 인간사랑. 2001

      9 황상민, "사이버 공간에 또다른 내가 있다" 2000

      10 Gates, William Henry III, "미래로 가는 길." 서울: 도서출판 삼성 1997

      11 김성동, "문화: 열두 이야기"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3

      12 Lapsley, Daniel K, "도덕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000

      13 Rich, John Martin, "도덕발달이론." 서울: 백의 1999

      14 추병완, "도덕교육의 이해" 서울: 백의. 1999

      15 Casey, William M., "The social learning theory : Handbook of Moral Development." Birmingham: Religious Education Press. 1968

      16 Winch, Christopher, "The Philosophy of Human Learning" NY: Routledge. 1998

      17 Eisenberg, Nancy,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NY: Academic Press Inc. 1982

      18 Bandura, Albert, "Social Learning Theory" NY: Prentice-Hall 1997

      19 Brief, Arthur P,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