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우택, "황석우연구" 박이정 2008
2 김용직, "현대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3
3 조창환, "한국현대시의 운율론적 연구" 일지사 1986
4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4
5 이승하, "한국현대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6 이숭원, "한국현대시 연구의 맥락" 태학사 2014
7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1" 민음사 2002
8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81
9 조윤제, "한국문학사" 탐구당 1976
10 김용직, "한국근대시사1" 새문사 1983
1 정우택, "황석우연구" 박이정 2008
2 김용직, "현대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3
3 조창환, "한국현대시의 운율론적 연구" 일지사 1986
4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4
5 이승하, "한국현대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6 이숭원, "한국현대시 연구의 맥락" 태학사 2014
7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1" 민음사 2002
8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81
9 조윤제, "한국문학사" 탐구당 1976
10 김용직, "한국근대시사1" 새문사 1983
11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
12 이명찬, "한국 현대시의 운(율)문적 성격에 대한 성찰" 한국문학교육학회 (50) : 33-56, 2016
13 한계전, "한국 현대시론사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8
14 김대행, "한국 시가 구조 연구" 삼영사 1976
15 김대행, "운율" 문학과지성사 1984
16 서영채, "아첨의 영웅주의―최남선과 이광수" 소명출판 2011
17 염상섭, "시조와 민요"
18 오세영, "시론" 서정시학 2013
19 현철, "시란 무엇인가"
20 조동일, "소설문학" 소설문학사 1987
21 정우택, "새 민족문학사 강좌2" 창비 2009
22 이명찬, "산문시론 시고(試考)" 한국시학회 (45) : 217-246, 2016
23 강영미, "배제의 논리로 구축된 ‘시조부흥론’ ―『조선문단』과 『동광』수록 시조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9) : 59-88, 2014
24 이광수, "문학이란 하오"
25 김동환, "문사방문기"
26 주요한, "노래를 지으시려는 이에게"
27 곽명숙, "김억의 ‘조선적 시형’에 대한 고찰" 인문과학연구소 (55) : 263-290, 2008
28 이병기, "가람문선" 신구문화사 1966
29 이상화, "詩의 生活化―觀念表白에서 意識實現으로"
30 황석우, "詩話"
31 김기진, "詩歌의 音樂的方面"
32 김억, "詩形의 音律과 呼吸"
33 김억, "詩壇一年"
34 이광수, "病窓語 25-31"
35 이광수, "民謠小考.1"
36 김억, "格調詩形論小考"
37 황석우, "朝鮮詩壇의 發足點과 自由詩"
38 최남선, "朝鮮國民文學으로의 時調"
39 조윤제, "朝鮮 詩歌의 硏究" 을유문화사 1948
40 이병기, "時調의 發生과 歌曲과의 區分"
41 이병기, "時調의 現在와 將來"
42 안자산, "時調의 淵源"
43 조윤제, "時調의 本領"
44 이병기, "時調와 그 硏究"
45 손진태, "時調와 時調에 表現된 朝鮮사람"
46 이병기, "時調란 무엇인고"
47 이병기, "時調는 革新하자"
48 이병기, "時調鑑賞과 作法"
49 양건식, "時調論―그復興과改良을促함"
50 최남선, "時調胎盤으로서의 朝鮮民性과 民俗"
51 이은상, "時調短型芻議―時調形式論의 一部"
52 이병기, "時調源流論"
53 김동환, "時調排擊小義"
54 이은상, "時調問題小論"
55 이은상, "時調創作問題"
56 조윤제, "時調 字數考"
57 김기진, "文藝時評"
58 이광수, "文學講話.3"
59 이병기, "律格과 時調"
60 김영진, "國民文學의 意義"
61 이광수, "六堂 崔南善論"
62 김억, "作詩法"
63 조운, "丙寅年과 時調"
64 양주동, "丙寅 文壇 槪觀"
65 조연정, "1920년대의 시조부흥론 재고(再考) - ‘조선’ 문학의 표상과 근대 ‘문학’의 실천 사이에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3) : 137-16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