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세계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수천 개에 이른다. 전 세계 사람들의 대한민국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어에 대한 전 세계 외국어 학습자들의 반응이 재조명되고 있다. 한국과 지리적ㆍ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73076
2012
English
KCI등재
학술저널
79-107(29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세계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수천 개에 이른다. 전 세계 사람들의 대한민국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어에 대한 전 세계 외국어 학습자들의 반응이 재조명되고 있다. 한국과 지리적ㆍ문...
현재 세계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수천 개에 이른다. 전 세계 사람들의 대한민국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어에 대한 전 세계 외국어 학습자들의 반응이 재조명되고 있다. 한국과 지리적ㆍ문화적으로 먼, 또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과 비슷하게 역사 속 과거의 아픔으로 인하여 이웃 나라에서 끝없는 간섭과 침략과 지배를 당한 폴란드에서 한국어는 아직 중국어와 일본어만큼 인기가 없다. 하지만 요즘 한국어뿐만 아니라 한국학을 배우려는 젊은이들의 수효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폴란드의 한국어 교육 역사는 1940년대 후반부터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시작하였다. 1953년부터 1983년까지 공사주의 폴란드에서 한국학 과정은 개설되지 않았고, 중국학 또는 일본학 전공 학생들만이 제 2, 혹은 제 3의 동아시아언어로 한국어를 선택할 수 있었다. 1970년대와 80년대에 폴란드의 한국학 학자들은 유럽 내 한국학 학자들이 설립한 유럽 한국 학회 (AKSE)를 통해 간접적으로는 남한과도 교류를 하게 되었다.
1983년 새롭게 개편된 일본ㆍ한국학과 내에 한국학 전공과정이 공식적으로 개설되었으며, 20년이 지난 2003년에 두 번째로 폴란드의 포즈난에 위치한 아담 미츠키에비치 대학교에 한국학과가 설립되었다. 그리고 1997년부터 바르샤바의 세종고등학교에서도 한국어를 배울 수 있다.
현재 바르샤바 대학교와 아담 미츠키에비치 대학교의 한국학 과정에는 3년제 학사학위과정과 2년제 석사학위과정, 박사학위과정이 있다. 이 세 과정에서 학생들은 한국과 관련된 다양한 과목을 들을 수 있지만 폴란드어로 씌어진 교재와 강사의 부족 및 경제적인 어려움 등으로 두 학교 모두 문제를 겪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국제교류재단과 한국 학술 진흥재단과 한국예술문화재단의 지속적인 지원은 폴란드 전체의 한국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폴란드에서의 한국 문학에 대한 상황을 살펴보자면, 폴란드 사람들에게 한국 문학은 매우 낯설고 전혀 접할 기회가 없었다. 그러나 2007년에 설립되어 직접 한국어를 폴란드어로 번역하는 ‘동양의 꽃(Kwiaty Orientu)’이라는 뜻의 출판사의 한국 문학 작품의 폴란드어 번역 및 출간을 통해 양국 간의 문화 장벽을 허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앞으로 한국문학을 전공하고, 폴란드 학생들에게 한국문학을 가르칠 수 있는 폴란드 학자들이 많이 필요한 것이다.
최근 폴란드 사람들의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내년에 바르샤바대학교의 한국학과는 창립 30주년 기념일, 그리고 아담 미츠키에비치 대학교의 한국학과는 창립 10주년 기념일을 맞이한다. 이 중요한 시기는 필연적으로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학 교육뿐만 아니라 폴란드에서 한국학과의 미래에 대한 자극 토론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Lee, Min-hee, "폴란드에서의 한국(문)학 연구 및 교육 현황 - 바르샤바대 한국어문학과를 중심으로" 20 : 157-220, 2004
2 박수영, "동유럽 지역의 한국학의 현황과 과제" 역사문화연구소 25 (25): 399-422, 2006
3 "http://www.koreatimes.co.kr/www/news/nation/2008/11/117_32753.html"
4 "http://www.ij.amu.edu.pl/?sp=sub/struktura&side=0"
5 "http://www.gs24.pl/apps/pbcs.dll/article?AID=/20100311/KRAJ/23575044"
6 "http://www.eid.edu.pl/archiwum/2000,98/grudzien,164/w_szkole_im_krola_sedzonga,1071.html"
7 "http://rekrutacja.uw.edu.pl/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52&Itemid=93"
8 "http://nasz-uam.pl/Strona/Rekrutacja/RankingKierunkow/2007/Globalnie"
9 "http://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9/11/2009091100859.html"
10 "http://edukacja.gazeta.pl/angielski/1,125340,10024822,Good_morning_bonjour__buenos_dias__zdrastwuj_.html"
1 Lee, Min-hee, "폴란드에서의 한국(문)학 연구 및 교육 현황 - 바르샤바대 한국어문학과를 중심으로" 20 : 157-220, 2004
2 박수영, "동유럽 지역의 한국학의 현황과 과제" 역사문화연구소 25 (25): 399-422, 2006
3 "http://www.koreatimes.co.kr/www/news/nation/2008/11/117_32753.html"
4 "http://www.ij.amu.edu.pl/?sp=sub/struktura&side=0"
5 "http://www.gs24.pl/apps/pbcs.dll/article?AID=/20100311/KRAJ/23575044"
6 "http://www.eid.edu.pl/archiwum/2000,98/grudzien,164/w_szkole_im_krola_sedzonga,1071.html"
7 "http://rekrutacja.uw.edu.pl/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52&Itemid=93"
8 "http://nasz-uam.pl/Strona/Rekrutacja/RankingKierunkow/2007/Globalnie"
9 "http://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9/11/2009091100859.html"
10 "http://edukacja.gazeta.pl/angielski/1,125340,10024822,Good_morning_bonjour__buenos_dias__zdrastwuj_.html"
11 Kim Jun-taek, "Z krańców Azji, Wydawnictwo Wiedza Powszechna" Warszawa 1960
12 Sieroszewski, W, "Wrażenia z podróży do Korei" 1 : 36-, 1927
13 "Warsaw University’s Admission Office homepage"
14 Oh, Kyung-geun, "The difficulties in Korean Studies Education in Poland and their development program" 10 : 63-76, 2009
15 Kim, Jeong-geun, "Teksty do nauki języka koreańskiego" Wydawnictwo Uniwersytetu Warszawskiego 1990
16 Choe Un-hak, "Teksty do nauki języka koreańskiego" Wydawnictwo Uniwersytetu Warszawskiego 1977
17 "Study Korea Project" Overseas Korean Education Divis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
18 Ogarek-Czoj, H., "Studia koreanistyczne w Polsce" 3 : 239-243, 1998
19 Informator Wydział Neofilologii UAM, "Rok akademicki 2010/2011" Poznan 127-129, 2010
20 Skarul, B., "Ponad 60 procent Polaków nie czyta książek, Głos Szczeciński"
21 Ogarek-Czoj, H., "Podręcznik języka koreańskiego. Część II. Kurs dla zaawansowanych" Dialog 1995
22 Ogarek-Czoj, H, "Podręcznik języka koreańskiego. Część I. Kurs podstawowy" Dialog 1994
23 Ogarek-Czoj, H., "Literatura koreańska XX wieku" Dialog 2007
24 Warsaw University, Department Of Japanese and Korean Studies, "Korean Section’s homepage"
25 Banczerowski, J., "Korea as one of the main interests of the Institute of Linguistics at Adam Mickiewicz University in Poznan, Poland, Korea-Poland-Central Europe: Perspective partnership in the Areas of Science, Culture, Art" 1 : 10-23, 2002
26 Bae Ji-sook, "Korea 4th Foreign Language Choice in SAT, The Korea Times"
27 Ogarek-Czoj, H., "Klasyczna literatura koreańska" Dialog 2003
28 Jang, So-won, "Język koreański dla Polaków, cz. 1, 2" Bakijeong 2011
29 Tchórzewska, J., "Good morning, bonjour, buenos dias, zdrastwuj?, GazetaEdukacja.pl"
30 Lewis, M. Paul,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Sixteenth edition" SIL International 2009
31 Jankowska, D, "Edukacja i Dialog" 123 : 2000
32 Swidzinski, J., "Changes needed in Polish education in Korea, Korea-Poland-Central Europe: Perspective partnership in the Areas of Science" 2 : 19-28, 2002
33 "Adam Mickiewicz University, Institute of Linguistic's homepage"
34 "Adam Mickiewicz University's Amuland forum"
35 Kim Hong-jin, "(2009, September 11), The Growing Popularity of the Korean Language, Chosun Ilbo"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3 | 0.99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