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실제 컴퓨터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선호하는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컴퓨터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컴퓨터 관련 태도, 그리고 컴퓨터 경험의 측면에서 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222348
1999
Korean
004.000
KCI등재
학술저널
51-58(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실제 컴퓨터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선호하는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컴퓨터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컴퓨터 관련 태도, 그리고 컴퓨터 경험의 측면에서 성...
본 연구에서는 실제 컴퓨터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선호하는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컴퓨터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컴퓨터 관련 태도, 그리고 컴퓨터 경험의 측면에서 성차와 각각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중학교 2학년 235명을 대상으로 컴퓨터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검사 및 컴퓨터 관련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컴퓨터 경험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 동등성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선호하는 컴퓨터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점수가 실제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실제 컴퓨터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에서는 성차가 없었던 반면, 남학생이 컴퓨터 관련 태도에서 더 긍정적이었으며 컴퓨터 경험도 많았다. 컴퓨터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은 컴퓨터 관련 태도와 상관이 높았으나 컴퓨터 경험과는 상관이 낮았다. 컴퓨터 경험은 컴퓨터 관련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IT 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원격 컴퓨터연수 교육과정 탐색
학교 운영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교육종합정보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컴퓨터교육에서 정보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