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인종과 문양 -대야운외(大野雲外)와 조거룡장(鳥居龍藏)의 인종론과 시각자료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Race and Monyo - Focusing on The Racial Discourses of Ono Ungai and Torii Ryuzo and Their Use of Visual Eviden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일본 근대기 인류학자들이 선사시대 토기에 남겨진 문양과 토기 형태를 보고 그 토기 제작자의 인종이 무엇이었는지를 추적하려 했던 논의들을 다룬다. 메이지 말기부터 다이쇼...

      본고에서는 일본 근대기 인류학자들이 선사시대 토기에 남겨진 문양과 토기 형태를 보고 그 토기 제작자의 인종이 무엇이었는지를 추적하려 했던 논의들을 다룬다. 메이지 말기부터 다이쇼 초기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 선사시대 토기의 형태나 토기에 남겨진 문양은 인류학자들에게 그 토기 제작자들의 인종적 아이덴티티를 추적하게 하는 단서로써 간주되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大野雲外와 鳥居龍藏라는 도쿄 인류학회의 주축이 되었던 두 인류학자의 논의를 중심으로 하여, 시각 이미지를 근거로 인종을 구별하고 판단하는 행위 자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大野雲外는 도쿄 인류학 교실에서 일했던 삽화가로서, 여러 인종의 모습과 고고학 유물을 묘사하는 일러스트레이션을 많이 남겼지만, 한편으로는 자신만의 이론을 펼치기도 하는 이론가이기도 했다. 본고에서는 특히 오노의 문양에 대한 이론들, 그 중에서도 문양을 각 인종별로 나누고, 이를 비교·대조한 연구들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나아가, 鳥居龍藏는 익히 잘 알려진 바와 같이 坪井正五郞를 뒤이어 도쿄인류학회를 이끌어 간 인류학자로, 무엇보다도 일본 제국의 확장과 함께 행했던, 만주, 사할린, 타이완, 한반도등지에서의 현지 조사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한일 병합이후, 그가 한반도에서 관찰한 조선 토기의 문양과 형식에 대한 논의, 특히 토기 제작자의 인종적 아이덴티티에 대한 도리이의 논의를 검토한다. 잘 알려진 것처럼, 근대 일본 인류학자들의 연구는 일본 제국의 확장과 무관한 것이 아니며, 특히 인종에 대한 논의는 일본 제국주의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이제는 더 이상 논의되지 않는 토기의 문양에 대한 인종론적 논의를 다시 살펴봄으로써, 인종 구분에 있어서 시각적 증거를 제시한다는 행위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modern Japanese anthropologists investigated the specific patterns engraved on the Neolithic potteries - largely known as monyO in Japanese - as well as the shape of the earthenware, and then how they identifi...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modern Japanese anthropologists investigated the specific patterns engraved on the Neolithic potteries - largely known as monyO in Japanese - as well as the shape of the earthenware, and then how they identified the racial and ethnic identity of the pottery maker. The pattern designs and formal shape of the Neolithic potteries, during the late Meiji and the early Taisho period, were considered for the modern Japanese anthropologists, as a clue to trace the racial and ethnic identity of the pottery manufacturer. My paper pays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 two leading anthropologists - Ono Ungai and Torii RyuzO. Ono was one of the modern anthropologists and illustrators who worked for Tokyo Anthropology Laboratory, and took charge a wide variety of pictures and illustrations for the Journal of the Tokyo Anthropological Association. Not only as an illustrator, but as an anthropologist, he also attempted to define the racial identity of JOmon pottery creators, under the influence of Tsuboi ShOgoro, by investigating and comparing the patterns to those by Ainu and other races. Torii, as is well known, was one of the leading scholars in Tokyo Anthropological Laboratory, following Tsuboi, and is particularly well-known for his investigation into the prehistoric remains of other Asian regions, including Manchuria, Sakhalin, Taiwan, and Korea, which took place in conjunction with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empire. This paper, in particular, attends to Torii``s discussion on the Choson pottery where he discussed, in the aftermath of the Japan``s annexation of Korea, the forms and patterns in relations to the racial identity of the producer. In this sense, much of the investigations done by modern Japanese anthropologists were not unrelated to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paper therefore examines the process whereby the patterns from the prehistoric remains became an important evidence in identifying race and ethnicity, and furthermore attempts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practices of classifying races on the basis of the visual material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