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년 체험 시에 나타난 기억 서사의 형상화 = The Figurative methods of the Memory Narrative shown in the Childhood Experience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5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method of having memory narrative imaged in the poetry about childhood experience in terms of setting of child speaker, development of the world view through childhood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reality and poetic statement in the childhood. It is intended to clarify the aesthetic principle and meaning shown in the poetic works of Baek Seok, Gi Hyeong-do and Yoo Ha as examples.
      The child speaker in Baek Seok's poetry delivers stable and rich scenery in his childhood using the present tense, focusing on his home and family. A child speaker is guaranteed to have autonomy of editing and distortion of universal memory and deliver it. Therefore, setting of such speaker works in favor of consensus. Gi Hyeong-do's poetry has a characteristic that childhood experience determines the general tone and sentiment of his world of poetry. Sorrow and depression derived from his tragic family history constantly show in his poems set in adult life as well as the ones recollecting childhood experience. In Yoo Ha's poetry perception of reality of the poetic subject who spent his childhood during 1970s and 1980s, which were the turbulent and chaotic times in Korean modern history. He satirizes the lineaments of the time of the military dictatorship and pariah capitalism, in particular, using kitsch.
      Childhood experience shown in modern poetry is utilized as a poetic device with special meaning and purpose and has a strong impact in terms of emotion, forming a key factor of memory narrative. Besides, it is embodied as time and space of multi-layered and stereoscopic conception predicting the future as well as underlying the past that have developed the subject of the present point of view.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method of having memory narrative imaged in the poetry about childhood experience in terms of setting of child speaker, development of the world view through childhood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reality and poetic stat...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method of having memory narrative imaged in the poetry about childhood experience in terms of setting of child speaker, development of the world view through childhood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reality and poetic statement in the childhood. It is intended to clarify the aesthetic principle and meaning shown in the poetic works of Baek Seok, Gi Hyeong-do and Yoo Ha as examples.
      The child speaker in Baek Seok's poetry delivers stable and rich scenery in his childhood using the present tense, focusing on his home and family. A child speaker is guaranteed to have autonomy of editing and distortion of universal memory and deliver it. Therefore, setting of such speaker works in favor of consensus. Gi Hyeong-do's poetry has a characteristic that childhood experience determines the general tone and sentiment of his world of poetry. Sorrow and depression derived from his tragic family history constantly show in his poems set in adult life as well as the ones recollecting childhood experience. In Yoo Ha's poetry perception of reality of the poetic subject who spent his childhood during 1970s and 1980s, which were the turbulent and chaotic times in Korean modern history. He satirizes the lineaments of the time of the military dictatorship and pariah capitalism, in particular, using kitsch.
      Childhood experience shown in modern poetry is utilized as a poetic device with special meaning and purpose and has a strong impact in terms of emotion, forming a key factor of memory narrative. Besides, it is embodied as time and space of multi-layered and stereoscopic conception predicting the future as well as underlying the past that have developed the subject of the present point of vie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유년 체험을 소재로 한 시에서 기억 서사가 형상화 되는 방법을 유년 화자의 설정, 유년 체험에 의한 세계관 형성, 유년기의 현실인식과 시적 진술의 측면에서 고찰한 연구이다. 각각 백석, 기형도, 유하의 시를 예시로 하여 작품에 나타난 미학적 원리와 의미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백석의 시에서 유년 화자는 고향과 가족을 화두로 한 어린 시절의 안정적이고 풍요로운 풍경을 현재시제로 전달한다. 유년 화자는 보편적인 기억에 대한 편집과 왜곡의 자율성을 보장받으면서 전달할 수 있기에 이러한 화자의 설정은 공감대 형성에 유리한 작용을 한다. 기형도 시에는 유년의 체험이 시세계의 전반적인 어조와 정서를 결정짓는 특징이 있다. 비극적인 가족사에서 비롯되는 우울과 비애는 유년 체험을 회상하는 시뿐만 아니라 성인의 삶을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유하의 시에서는 한국 현대사에서 격변과 혼란의 시기였던 1970~80년대에 유년기를 보낸 시적 주체의 현실인식이 두드러진다. 특히 키치를 활용하여 군부독재와 천민자본주의의 세태를 풍자한다.
      현대시에 나타나는 유년의 체험은 특별한 의미와 목적을 가진 시적 장치로 활용되며, 기억 서사의 풍부한 요체를 이루면서 정서적 측면에서 넓은 파급력을 지닌다. 또 현재 시점의 주체를 이루어온 과거의 바탕이자 미래를 견지하는, 다층적이고 입체적인 개념의 시공간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유년 체험을 소재로 한 시에서 기억 서사가 형상화 되는 방법을 유년 화자의 설정, 유년 체험에 의한 세계관 형성, 유년기의 현실인식과 시적 진술의 측면에서 고찰한 연구이다. 각각...

      본고는 유년 체험을 소재로 한 시에서 기억 서사가 형상화 되는 방법을 유년 화자의 설정, 유년 체험에 의한 세계관 형성, 유년기의 현실인식과 시적 진술의 측면에서 고찰한 연구이다. 각각 백석, 기형도, 유하의 시를 예시로 하여 작품에 나타난 미학적 원리와 의미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백석의 시에서 유년 화자는 고향과 가족을 화두로 한 어린 시절의 안정적이고 풍요로운 풍경을 현재시제로 전달한다. 유년 화자는 보편적인 기억에 대한 편집과 왜곡의 자율성을 보장받으면서 전달할 수 있기에 이러한 화자의 설정은 공감대 형성에 유리한 작용을 한다. 기형도 시에는 유년의 체험이 시세계의 전반적인 어조와 정서를 결정짓는 특징이 있다. 비극적인 가족사에서 비롯되는 우울과 비애는 유년 체험을 회상하는 시뿐만 아니라 성인의 삶을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유하의 시에서는 한국 현대사에서 격변과 혼란의 시기였던 1970~80년대에 유년기를 보낸 시적 주체의 현실인식이 두드러진다. 특히 키치를 활용하여 군부독재와 천민자본주의의 세태를 풍자한다.
      현대시에 나타나는 유년의 체험은 특별한 의미와 목적을 가진 시적 장치로 활용되며, 기억 서사의 풍부한 요체를 이루면서 정서적 측면에서 넓은 파급력을 지닌다. 또 현재 시점의 주체를 이루어온 과거의 바탕이자 미래를 견지하는, 다층적이고 입체적인 개념의 시공간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이, "현대문학" 현대문학 256-274, 2001

      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2010

      3 이재복, "한국 현대시의 미와 숭고" 소명출판 113-144, 2012

      4 고형진,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2007

      5 손유경, "유년의 기억과 각성의 순간 - 산업화시대 ‘성장’ ‘서사’의 무의식에 관한 일고찰" 한국현대문학회 (37) : 323-351, 2012

      6 박성현, "유년 체험’에 투영된 유토피아 의식의 양면성" 겨레어문학회 32 : 163-, 2004

      7 김준오, "시론" 삼지원 2003

      8 유 하, "세운상가 키드의 사랑" 문학과지성사 1995

      9 디이터 람핑, "서정시 : 이론과 역사" 문학과지성사 1994

      10 백 석, "사슴" 선광인쇄주식회사 1936

      1 김수이, "현대문학" 현대문학 256-274, 2001

      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2010

      3 이재복, "한국 현대시의 미와 숭고" 소명출판 113-144, 2012

      4 고형진,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2007

      5 손유경, "유년의 기억과 각성의 순간 - 산업화시대 ‘성장’ ‘서사’의 무의식에 관한 일고찰" 한국현대문학회 (37) : 323-351, 2012

      6 박성현, "유년 체험’에 투영된 유토피아 의식의 양면성" 겨레어문학회 32 : 163-, 2004

      7 김준오, "시론" 삼지원 2003

      8 유 하, "세운상가 키드의 사랑" 문학과지성사 1995

      9 디이터 람핑, "서정시 : 이론과 역사" 문학과지성사 1994

      10 백 석, "사슴" 선광인쇄주식회사 1936

      11 장정희, "분단 이후 백석 동시론: ‘유년 화자’와 ‘대상으로서 아동’의 문제" 한국비평문학회 (45) : 171-204, 2012

      12 박종덕, "백석, 흰 바람벽의 근대를 투시하다"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13 이현승, "백석 시의 화자 연구" 민족어문학회 (62) : 313-317, 2010

      14 이혜원, "백석 시의 동심지향성과 그 의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305-330, 2002

      15 남기택, "백석 시의 ‘어린이기’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54) : 263-282, 2005

      16 발터 벤야민, "방법으로서의 유토피아-아케이드 프로젝트 4" 새물결 2008

      17 박철화,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한다 해설" 문학과지성사 155-, 1991

      18 유 하,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한다" 문학과지성사 1991

      19 변학수, "문학적 기억의 탄생" 열린책들 2008

      20 김 현, "무림일기 해설" 중앙일보사 1989

      21 M. 칼리니스쿠,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 언어 1998

      22 김용희, "대중문화 1세대의 문화적 기억과 망각 -유하 시집《세운 상가 키드의 사랑》,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27) : 31-63, 2005

      23 정우진, "기형도의 ‘겨울 版畫’ 연작 연구 -의도와 의의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소 48 : 327-358, 2018

      24 김행숙, "기형도가 희망을 말하는 방법" 한국문학연구소 (51) : 275-304, 2016

      25 기형도, "기형도 전집" 문학과지성사 2008

      26 전동진, "기형도 시의 시간양상과 주제의식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1 (11): 233-261, 2007

      27 김정배, "기형도 시의 메멘토 모리 양상" 인문학연구소 17 (17): 73-107, 2016

      28 에릭 캔델, "기억의 비밀" 해나무 2018

      29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3

      30 에릭 캔델, "기억을 찾아서" 알에이치코리아 2017

      31 송기섭, "기억 서사와 문화적 소통" 한국현대소설학회 (34) : 201-216, 2007

      32 안지영, "공감의 윤리와 슬픔의 변증법 -기형도 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4) : 305-335, 2017

      33 김기택, "21세기 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50-267, 1999

      34 발터 벤야민,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베를린 연대기" 길 20-21,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7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