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년층 여성의 경력단절 = Career Interruption of Korean Female Youth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력단절 여성의 분석 범위를 `청년층`으로 한정하여, 그들의 경력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여성가족패널...

      본 연구는 경력단절 여성의 분석 범위를 `청년층`으로 한정하여, 그들의 경력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여성가족패널」1-4차 자료(2007-2012년)이며, 청년층 여성의 경력단절 양상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1차년도 자료에서 직업력 정보, 특히 경력기간을 확인할 수 있는 20-34세의 청년층 여성을 대상으로 4차년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생존분석 중, 경력단절 여부와 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에 적합한Andersen Gill Model을 적용하여, 경력단절이라는 사건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위험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층 여성은 종사하는 일자리의 사업체 규모가 100인 이상의 대규모인 집단에 비해, 10인 미만의 소규모일수록 경력단절의 위험률이 약1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상 지위를 반영한 일자리 유형별로는 시간제나 비정규직 일자리와 같이 전일제나 정규직에 비해 일자리의 안정성이 불리한 경우, 경력단절을 겪을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 경험에 의한 경력단절 위험률도 확인되었다. 청년층 기혼여성들은 비혼여성에 비해, 경력단절 위험률이 약 14배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결혼이 청년층 여성에게는 경력단절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료의 여성 응답자들이 기재한 자녀의 출생년도와 경력이 단절된 시점간, 혹은 경력유지자의 경우 관찰시점 간의 검토를 통해, 출산 시기 전후 1년 동안에 겪는 경력단절의 위험률이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현행 경력단절 여성 대상 정책이 청년층의 임신, 출산 이전 시점에서의 경력단절 예방 정책으로서는 미흡함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년층 여성이 경험하는 일자리의 질을 개선해야할 필요성을 함의한다. 노동시장에 초기 진입한 청년층 여성이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할수록, 시간제나 비정규직 일자리를 경험할수록, 동시에 결혼을 경험할수록 경력단절을 경험할 위험이 높다는 점에 주목하여, 여성이 중간관리자로 성장하기 전에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는 현상에 대한 개선정책과 심층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workplace conditions that influence women`s career discontinuity. The data used for this analysis is The National Women and Family Panel 1-4 data collected between 2007 and 2012 by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workplace conditions that influence women`s career discontinuity. The data used for this analysis is The National Women and Family Panel 1-4 data collected between 2007 and 2012 by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lso, in order to take a closer look into the pattern of young women`s career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unemployment), the analysis was centered on young women at age of 20 to 34 who has documented career records from the beginning of the career. As for the analysis method, Andersen Gill Model, one of the survival analysis methods, was chosen as a right approach considering that it is the most suitable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women`s career change or the duration of career continuity to identify main factors of career continuity (the employed) and unemployment or career change. The analysis indicates that female youth who worked for a small business with less than ten employees are 12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job discontinuity than the counterparts who worked at a large scale of businesses with more than 100 employees. However, young female part-timers or casual workers who do not have much job privilege are more likely to be unemployed. Additionally, It is also confirmed that marriage status affects job discontinuity; married women in youth have 14 times higher possibilities to put a halt to their career than unmarried counterparts. This result implies that getting married can undermine the career continuity of female youth, evidenced by the birthdate of Female respondents` children roughly coincides with the time at which they left the labor market. In contrast, the childbirth does not seem to have a substantive impact on the females` job discontinuity based on the data of women`s job status one year before and after their childbirth, suggesting that the current policy designed to support women`s career does not play an effective role in preventing women from forsaking their career due to marriage. This result implies that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ing environments for young women. Taking into account that young women would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job discontinuity when their jobs are not secure and stable as a part-timer and casual worker and as they experience their one of the major life events;marriage, it is imperative that the policies be made to prevent women from leaving the labor market before they become a middle manag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미, "한국여성의 '인적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구학회 25 (25): 113-143, 2002

      2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회 19 (19): 43-80, 2003

      3 박경숙,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회 26 (26): 63-90, 2003

      4 통계청, "통계용어·지표의 이해" 51-52, 2015

      5 이재열, "취업경력에 대한 동태적 분석" 30-43, 1999

      6 채창균,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Ⅰ-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7 이찬영, "청년층 임금근로자의 하향취업 행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49-69, 2008

      8 원지영, "청년층 이직의 결정 요인과 효과: 직무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6) : 348-372, 2015

      9 김종성, "청년층 구직활동과 하향취업" 한국노동연구원 12 (12): 51-73, 2012

      10 금재호, "청년의 고용불안과 재취업" (97) : 66-82, 2013

      1 박수미, "한국여성의 '인적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구학회 25 (25): 113-143, 2002

      2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회 19 (19): 43-80, 2003

      3 박경숙,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회 26 (26): 63-90, 2003

      4 통계청, "통계용어·지표의 이해" 51-52, 2015

      5 이재열, "취업경력에 대한 동태적 분석" 30-43, 1999

      6 채창균,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Ⅰ-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7 이찬영, "청년층 임금근로자의 하향취업 행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49-69, 2008

      8 원지영, "청년층 이직의 결정 요인과 효과: 직무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6) : 348-372, 2015

      9 김종성, "청년층 구직활동과 하향취업" 한국노동연구원 12 (12): 51-73, 2012

      10 금재호, "청년의 고용불안과 재취업" (97) : 66-82, 2013

      11 법제처, "청년고용촉진 특별법 검색결과"

      12 이진경, "첫 자녀 출산 여부와 가족친화제도에 따른 유배우 기혼 여성의 취업 중단에 관한 연구" 한국조사연구학회 10 (10): 59-83, 2009

      13 유홍준, "직업사회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6

      14 오은진, "제2차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 수립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15 이미정, "젊은세대 고학력여성의 노동시장참여" 한국인구학회 25 (25): 139-162, 2002

      16 김지경,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 42 (42): 91-104, 2004

      17 김영옥, "일가정양립 실태조사(2015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18 김종숙, "여성인력패널조사: 여성비공식돌봄종사자 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9 이재열,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19 (19): 5-44, 1996

      20 김영옥, "여성의 동태적 노동공급 - 취업연속성과 첫 노동시장 퇴출행태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5 (25): 5-40, 2002

      21 민현주,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분석" 한국인구학회 34 (34): 53-72, 2011

      22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가족패널 원자료"

      23 김영옥, "여성 경력단절 예방 강화를 위한 법 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24 민현주, "엄마의 취업과 자녀터울에 관한 동태적 분석" 한국사회학회 41 (41): 106-126, 2007

      25 김영미, "분포적 접근으로 본 한국 성별임금격차 변화, 1982~2004년" 비판사회학회 (84) : 206-229, 2009

      26 박경숙, "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요인: 계층혼, 성역할 분리규범, 경제조정의 우발적 결합" 한국인구학회 28 (28): 33-62, 2005

      27 구명숙, "기혼여성의 재취업 구조에 관한 사례연구: 전업주부 재취업훈련 참가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53-167, 2005

      28 김영미, "기혼여성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가구소득 불평등의 변화" 비판사회학회 (77) : 79-106, 2008

      29 김인선,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인적자원 활용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6

      30 전병유, "고용없는 성장에 대한 대응전략연구(II)" 한국노동연구원 2005

      31 법제처, "경제활동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검색결과"

      32 오은진,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조사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33 김우영, "결혼과 출산을 중심으로 한 여성 취업률의 동태적 분석" 3 (3): 67-101, 2003

      34 Tilly Louise A, "Women, work, and family" Routledge 1987

      35 Desai Sonalde, "Women's employment during pregnancy and after the first birth: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work commitment" 56 (56): 551-566, 1991

      36 Hoem Britta, "The impact of women's employment on second and third births in modern Sweden" 43 (43): 47-67, 1989

      37 Lehrer Evelyn L, "The impact of children on married women's labor supply: Black-white differentials revisited" 422-444, 1992

      38 Bartel Ann P., "Studies in labor market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5-90, 1981

      39 송경일, "SPSS15를 이용한 생존자료의 분석" 한나래출판사 2008

      40 Audrey Light, "Panel estimates of male and female job turnover behavior:can female nonquitters be identified?" 10 (10): 156-181, 1992

      41 최성은, "OECD 국가의 여성 일-가정양립에 대한 성과- 자유주의 경로의 검증 -" 한국정책학회 23 (23): 273-302, 2014

      42 통계청, "KOSIS 경제활동인구조사 검색결과"

      43 Derek Neal, "Industry-specific human capital: Evidence from displaced workers" 13 (13): 653-677, 1995

      44 Audrey Light, "Gender differences in wages and job turnover among continuously employed workers" 80 (80): 293-297, 1990

      45 Box-Steffensmeier Janet M., "Event History Modeling: A Guide for Social Scientis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46 Blossfeld Hans-Peter, "Event History Analysis" Lawrence Crlbaum Associates 2007

      47 Mincer Jacob, "Economics of the Family: Marriage, Children, and Human Capita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6-110, 1974

      48 Becker Gary S, "Altruism in the Family and Selfishness in the Market Place" 48 (48): 1-15, 1981

      49 Becker Gary S,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75 (75): 493-517, 196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71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