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화성의 소설『벼랑에 피는 꽃』은 페미니스트 현석란이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을 일생의 목표로 하여 살아온 이야기를 수미상관의 기법으로 전개한 작품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67660
2014
Korean
박화성 ; 『벼랑에 피는 꽃』 ; 탈식민적 페미니즘 ; 언어제국주의 ; 여성정체성 ; 자매애 ; 형제애 ; 섹슈얼리티 ; 가부장제 ; 제국주의 ; 항일저항의식 ; Park Hwa-sung ; 『Flowers blooming on a cliff』 ; postcolonial feminism ; linguistic imperialism ; female identity ; sisterhood ; brotherhood ; sexuality ; patriarchy ; imperialism ; anti-Japanese resistance consciousness
810
KCI등재
학술저널
291-320(30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박화성의 소설『벼랑에 피는 꽃』은 페미니스트 현석란이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을 일생의 목표로 하여 살아온 이야기를 수미상관의 기법으로 전개한 작품이다. ...
박화성의 소설『벼랑에 피는 꽃』은 페미니스트 현석란이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을 일생의 목표로 하여 살아온 이야기를 수미상관의 기법으로 전개한 작품이다. 17세부터 36년 동안에 현석란은 ‘우리만의 힘으로 대한의 딸들을 기르리라’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고군분투하였다. 이런 현석란의 삶은 독립을 목표로 싸운 조선의 36년과 같았다. 즉 근대 초기 여류작가로만 인식되고 있는 박화성은 해방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항일저항의식을 간직하는 작품을 집필한 현대적 작가였던 것이다. 본고는 『벼랑에 피는 꽃』에 나타난 언어제국주의 비판과 민족주의적 여성정체성, 이중 억압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자매애와 형제애, 식민지 여성의 양면적 섹슈얼리티를 통해 이를 밝히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rk Hwa-sung the『Flowers blooming on a cliff』 is a feminist in a patriarchal society hyeonseokran is the resistance to Japanese imperialism, and lived the life story of Sumi aims to do the work of development of the technique. 36 years from 53 ye...
Park Hwa-sung the『Flowers blooming on a cliff』 is a feminist in a patriarchal society hyeonseokran is the resistance to Japanese imperialism, and lived the life story of Sumi aims to do the work of development of the technique. 36 years from 53 years old to 17 years old during the Hyeonseokran is "the power of our own will bring up the daughters" were struggling to achieve the goal. Hyeonseokran goal of this struggle is fought independence of Korea and the like may be 36 years. That is recognized as the only female writer in the early modern Park Hwa-sung anti-Japanese resistance continued even after the liberation thus keeping the ceremony was the work will be written by a modern writer. This paper is a 『Flowers blooming on a cliff』 appears in the language of nationalist criticism and female identity, imperialism, dual sisterhood and brotherhood as the resistance to oppression, colonial ambivalent sexuality of women who were saying it ov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은, "헤겔 <법철학>에서 여성적 자매애와 사회적 우애의 관계" 한국여성철학회 3 : 2003
2 태혜숙, "한국의 탈식민 페미니즘과 지식생산" 문화과학사 2006
3 태혜숙, "한국의 식민지 근대체험과 여성공간-여성주의문화론적 접근을 위하여" 한국여성학회 20 (20): 33-56, 2004
4 심진경, "한국문학과 섹슈얼리티" 소명출판 33-, 2006
5 박화성, "한국대표문학전집 4" 삼중당 1973
6 김병욱, "프랑스 언어제국주의 : ‘불가분한 하나’와 ‘보편 언어’의 지향" 한국프랑스학회 84 : 249-277, 2013
7 정혜욱, "탈식민페미니즘과 탈식민페미니스트들" 현대미학사 2001
8 박종성, "탈식민주의에 대한 성찰-푸코, 파농, 사이드, 바바, 스피박" 살림출판사 2006
9 태혜숙,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여이연 2001
10 고부응, "초민족 시대의 민족정체성-식민주의, 탈식민 이론, 민족" 문학과지성사 2002
1 이정은, "헤겔 <법철학>에서 여성적 자매애와 사회적 우애의 관계" 한국여성철학회 3 : 2003
2 태혜숙, "한국의 탈식민 페미니즘과 지식생산" 문화과학사 2006
3 태혜숙, "한국의 식민지 근대체험과 여성공간-여성주의문화론적 접근을 위하여" 한국여성학회 20 (20): 33-56, 2004
4 심진경, "한국문학과 섹슈얼리티" 소명출판 33-, 2006
5 박화성, "한국대표문학전집 4" 삼중당 1973
6 김병욱, "프랑스 언어제국주의 : ‘불가분한 하나’와 ‘보편 언어’의 지향" 한국프랑스학회 84 : 249-277, 2013
7 정혜욱, "탈식민페미니즘과 탈식민페미니스트들" 현대미학사 2001
8 박종성, "탈식민주의에 대한 성찰-푸코, 파농, 사이드, 바바, 스피박" 살림출판사 2006
9 태혜숙,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여이연 2001
10 고부응, "초민족 시대의 민족정체성-식민주의, 탈식민 이론, 민족" 문학과지성사 2002
11 황남엽, "차별에서 화합으로 : 스카이 리의 『잔월루』와 히로미 고토의『버섯들의 합창』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2 박정우, "일제하 언어민족주의 : 식민지 시기 문맹퇴치/한글보급운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3 미우라 노부타카, "언어제국주의란 무엇인가" 돌베개 2005
14 손준식, "식민주의와 언어- 대만 · 인도 · 한국에서의 동화와 저항" 아름나무 2007
15 스티븐 모튼, "스피박 넘기" 앨피 2005
16 조셉 브리스토우, "섹슈얼리티" 한나래 2000
17 미셀 푸코, "성의 역사1- 앎의 의지" 나남출판 2004
18 서정자, "박화성의 해방 후 소설과 역사의식" 한국현대소설학회 (24) : 49-72, 2004
19 김동윤, "박화성의 1950년대 신문소설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47) : 87-112, 2011
20 박명애, "박화성 소설의 서사구조와 인물- <벼랑에 피는 꽃>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7 : 2000
21 송명희, "박화성 소설연구 -『북국의 여명』에 나타난 성숙의 플롯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301-328, 2009
22 최창근, "박화성 소설 연구 : 1950-60년대 소설의 담론적 실천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23 에드워드 사이드, "문화와 제국주의" 문예출판사 2005
24 임호준, "국가로서의 여성- 혁명 후 쿠바 영화에서의 페미니즘과 민족주의" 서울대학교 스페인중남미연구소 11 : 2000
25 태혜숙, "교육기계 안의 바깥에서" 도서출판 갈무리 2006
26 김성연, "공동체 지향과 아나키즘적 상상력 -박화성의 『백화』론-" 국제어문학회 (46) : 221-251, 2009
27 가야트리 스피박, "경계선 넘기- 새로운 문학연구의 모색" 인간사랑 2008
28 프란츠 파농, "검은 피부, 하얀 가면" 인간사랑 1998
29 徐正子, "日帝强占期 韓國 女流小說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
30 서정자, "‘주의자’의 성·사랑·결혼" 한국현대소설학회 (26) : 89-112, 2005
‘우리’를 상상하는 몇 가지 방식-1970년대 소설과 집단주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7-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3-21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7 | 0.61 | 1.35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