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블루멘베르크(H. Blumenberg)의 은유의 해석학  :  「은유학의 범형들」을 중심으로 = Die Hermeneutik der Metapher bei H. Blumenber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사학에 대한 재평가 작업과 병행해서 철학적 글쓰기에 대한 전망을 확보하기 위해서 은유를 통해 철학적 개념의 확장을 도모했던 블루멘베르크의 입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철학적 글쓰기는 철학적 사유의 반영이며, 철학적 사유는 현실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급격히 변화하는 현실세계를 고려할 때 새로운 사유와 그에 상응하는 글쓰기의 형식에 대한 물음은 매우 중요한 철학적 주제이다. 전통적으로 이성중심주의(Logozentrismus)의 개념적-논리적 사고를 강조해온 철학에서도 다양한 글쓰기에 대한 요구와 함께 철학의 표현방식에 대한 입장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는 철학적 개념과 언어에서 ‘은유’가 차지하는 위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장식기’(裝飾期)에서 ‘본질기’(本質期)로의 이행 즉 ‘수사학의 르네상스’와 함께 특히 은유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는 은유가 가진 엄청난 ‘영향사’와 그와 연관된 적용 범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가장 탁월한 수사법을 간주된 은유는 그러나 철학의 전통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현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은유는 현실의 다양한 층위를 드러내주는 매체로서 긍정적인 평가를 획득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개념적-논리적 사유의 한계와 이와 연관된 은유의 불가피성을 블루멘베르크의 관점을 빌려 살펴보고, 그러한 은유의 정당성 근거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는 은유는 대체될 수 없으며, 심지어 철학적 개념을 포함한 과학의 모든 핵심적 용어들의 근거에 은유가 놓여 있다는 테제를 제시한다. 그런 배경에서 ‘절대적 은유’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개념적-논리적 사고에 숙달된 오성의 입장에서는 접근 불가능한 영역을 주제로 다루고자 할 때, 그 주제에 관한 내용을 인간에게 (이미지로서) 전달하고 사유의 길을 열어줄 수 있는 길이 필요하며, 이러한 매체가 바로 ‘은유’라는 것이다. 은유는 인간 현존재의 근거로부터 던져지는 ‘답할 수 없는 물음’에 답하고자한다. 물론 이 연구가 직접적으로 ‘철학적 글쓰기’의 물음을 다루지는 않지만, 은유에 대한 이런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자연스럽게 철학적 글쓰기의 방향설정에 대한 이론적 기초도 새롭게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수사학에 대한 재평가 작업과 병행해서 철학적 글쓰기에 대한 전망을 확보하기 위해서 은유를 통해 철학적 개념의 확장을 도모했던 블루멘베르크의 입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철...

      본 연구는 수사학에 대한 재평가 작업과 병행해서 철학적 글쓰기에 대한 전망을 확보하기 위해서 은유를 통해 철학적 개념의 확장을 도모했던 블루멘베르크의 입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철학적 글쓰기는 철학적 사유의 반영이며, 철학적 사유는 현실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급격히 변화하는 현실세계를 고려할 때 새로운 사유와 그에 상응하는 글쓰기의 형식에 대한 물음은 매우 중요한 철학적 주제이다. 전통적으로 이성중심주의(Logozentrismus)의 개념적-논리적 사고를 강조해온 철학에서도 다양한 글쓰기에 대한 요구와 함께 철학의 표현방식에 대한 입장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는 철학적 개념과 언어에서 ‘은유’가 차지하는 위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장식기’(裝飾期)에서 ‘본질기’(本質期)로의 이행 즉 ‘수사학의 르네상스’와 함께 특히 은유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는 은유가 가진 엄청난 ‘영향사’와 그와 연관된 적용 범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가장 탁월한 수사법을 간주된 은유는 그러나 철학의 전통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현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은유는 현실의 다양한 층위를 드러내주는 매체로서 긍정적인 평가를 획득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개념적-논리적 사유의 한계와 이와 연관된 은유의 불가피성을 블루멘베르크의 관점을 빌려 살펴보고, 그러한 은유의 정당성 근거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는 은유는 대체될 수 없으며, 심지어 철학적 개념을 포함한 과학의 모든 핵심적 용어들의 근거에 은유가 놓여 있다는 테제를 제시한다. 그런 배경에서 ‘절대적 은유’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개념적-논리적 사고에 숙달된 오성의 입장에서는 접근 불가능한 영역을 주제로 다루고자 할 때, 그 주제에 관한 내용을 인간에게 (이미지로서) 전달하고 사유의 길을 열어줄 수 있는 길이 필요하며, 이러한 매체가 바로 ‘은유’라는 것이다. 은유는 인간 현존재의 근거로부터 던져지는 ‘답할 수 없는 물음’에 답하고자한다. 물론 이 연구가 직접적으로 ‘철학적 글쓰기’의 물음을 다루지는 않지만, 은유에 대한 이런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자연스럽게 철학적 글쓰기의 방향설정에 대한 이론적 기초도 새롭게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Zur Zeit hat die Rhetorik Konjuntur. Wenn man sich die Herabwurdigung der Rhetorik in der Neuzeit vorstellt, ist die heutige Stellung der Rhetorik ein bewundernswurdiges Ereignis. In der Rhetotik spielt die Methapher eine große Rolle. Was eine Metapher mitteilen will, hat nicht mit einem begrifflich-logischen Gedanken zu tun. Nach Blumenberg sind Metaphern keine Restbestande, die sich im Verlauf der Wissensentwicklung durch logische Begriffe ersetzen und verdrangen lassen, sondern Grundbestande der philosophischen Sprache. Dies bedeutet, daß durch die Metaphern der Umfang des philosophischen Denkens erweitert werden kann.
      Blumenberg fragt bemerkenswerterweise nicht nach dem Hintersinn, sondern nach der Funktion von Metaphern. Diese besteht fuh ihn darin, Sinnerwartungen, Orientierungen und Sichtweisen von der Welt und dem Menschen zu charakterisieren. Metaphern sind absoult, wenn sie sich nicht durch Begriffe ersetzen lassen. Absolute Metaphern erfassen umgreifende Zusammenhange und geschichtliche Sinnhorizonte, die dem wissenschaftlichen und begrifflichen Denken unzuganglich sind. So sehr Blumenberg in seiner Metaphoroligie auch einen eigenstandigen Standpunkt vertritt, so wenig kommt doch bereits hier sein eigentlicher Grundgedanke zum Durchbruch.
      번역하기

      Zur Zeit hat die Rhetorik Konjuntur. Wenn man sich die Herabwurdigung der Rhetorik in der Neuzeit vorstellt, ist die heutige Stellung der Rhetorik ein bewundernswurdiges Ereignis. In der Rhetotik spielt die Methapher eine große Rolle. Was eine Metaph...

      Zur Zeit hat die Rhetorik Konjuntur. Wenn man sich die Herabwurdigung der Rhetorik in der Neuzeit vorstellt, ist die heutige Stellung der Rhetorik ein bewundernswurdiges Ereignis. In der Rhetotik spielt die Methapher eine große Rolle. Was eine Metapher mitteilen will, hat nicht mit einem begrifflich-logischen Gedanken zu tun. Nach Blumenberg sind Metaphern keine Restbestande, die sich im Verlauf der Wissensentwicklung durch logische Begriffe ersetzen und verdrangen lassen, sondern Grundbestande der philosophischen Sprache. Dies bedeutet, daß durch die Metaphern der Umfang des philosophischen Denkens erweitert werden kann.
      Blumenberg fragt bemerkenswerterweise nicht nach dem Hintersinn, sondern nach der Funktion von Metaphern. Diese besteht fuh ihn darin, Sinnerwartungen, Orientierungen und Sichtweisen von der Welt und dem Menschen zu charakterisieren. Metaphern sind absoult, wenn sie sich nicht durch Begriffe ersetzen lassen. Absolute Metaphern erfassen umgreifende Zusammenhange und geschichtliche Sinnhorizonte, die dem wissenschaftlichen und begrifflichen Denken unzuganglich sind. So sehr Blumenberg in seiner Metaphoroligie auch einen eigenstandigen Standpunkt vertritt, so wenig kommt doch bereits hier sein eigentlicher Grundgedanke zum Durchbru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응철, "캇시러의 문화철학" 한울아카데미 2000

      2 H. Blumenberg, "진리의 은유로서의 빛. 철학적 개념이 형성되기 이전에, 모더니티와 시각의 헤게모니" 시각과 언어 2004

      3 김진우, "은유의 이해" 나라말 2005

      4 김욱동, "은유와 환유" 민음사 2004

      5 T.호크스, "은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6 김욱동, "수사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2

      7 G.비코, "새로운 학문" 동문선 1997

      8 G. 레아코프,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2004

      9 박치완, "데카르트와 수사학" 20 : 2007

      10 김덕영,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 풍경 11가지" 도서출판 길 2007

      1 신응철, "캇시러의 문화철학" 한울아카데미 2000

      2 H. Blumenberg, "진리의 은유로서의 빛. 철학적 개념이 형성되기 이전에, 모더니티와 시각의 헤게모니" 시각과 언어 2004

      3 김진우, "은유의 이해" 나라말 2005

      4 김욱동, "은유와 환유" 민음사 2004

      5 T.호크스, "은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6 김욱동, "수사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2

      7 G.비코, "새로운 학문" 동문선 1997

      8 G. 레아코프,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2004

      9 박치완, "데카르트와 수사학" 20 : 2007

      10 김덕영,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 풍경 11가지" 도서출판 길 2007

      11 H. Blumenberg, "Wirklichkeiten, in denen wir leben" Stuttgart 1981

      12 H. Blumenberg, "Schiffbruch mit Zuschauer" FfM 1979

      13 H. Blumenberg, "Paradigmen zu einer Metaphorologie" FfM 1999

      14 E. Angehrn, "Interpretation und Dekonstruktion. Untersuchung zur Hermeneutik" G?tingen 2003

      15 F.J. Wetz, "Hans Blumenebrg. Zur Einf?rung" Hamburg 1993

      16 O. Marquard, "Entlastung vom Absoluten n: Die Kunst des ?erlebens. Nachdenken ?er Hans Blumenberg" FfM 1999

      17 E.Angehrn, "Die ?erwindung des Chaos" FfM 1996

      18 J. Goldstein, "Deutung und Entwurf. Perspektiven der historischen Vernunft Deutung und Entwurf. Perspektiven der historischen Vernunft" FfM 1999

      19 B. Merker, "Bedurfnis nach Bedeutsamkeit. Zwischen Lebenswelt und Absolutismus der Wirklichkeit in: Die Kunst des Uberlebens. Nachdenken uber Hans Blumenberg" FfM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철학탐구 -> 철학탐구
      외국어명 : 미등록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7 0.9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