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활성화를 위한 폐광지역 문화 및 관광자원화 방안 = Cultural and Tourism Resources for Abandoned Mine Areas for Local Acti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79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angwondo Samcheok, Gogae, and Taebaek, which were once famous as the largest coalfield in Korea, are suffering from rapid population decline and local economic decline due to the rationalization of the coal industry due to depletion of coal resources in the mid 1980s. Among the various discussion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coal mine remaining as an industrial heritage of the abandoned mine area, the local culture and tourism resource utilization project using the abandoned mine has helped to reconstruct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and also to reorganize the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the tourism industry I think.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Samtan Art Museum, Coal Art Museum, Taebaek Coal Museum, which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local culture and tourism resource utilization project, utilizing industrial heritage of abandoned coal mine in Taebaek and Jeongseon area in view of locality and contextuality. We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each, and try to discuss the best model for each region. Through this process, we will seek ways to revitalize the abandoned mine area that is appropriate fo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light of the locality and cultural context of Gangwon area.
      번역하기

      Gangwondo Samcheok, Gogae, and Taebaek, which were once famous as the largest coalfield in Korea, are suffering from rapid population decline and local economic decline due to the rationalization of the coal industry due to depletion of coal resources...

      Gangwondo Samcheok, Gogae, and Taebaek, which were once famous as the largest coalfield in Korea, are suffering from rapid population decline and local economic decline due to the rationalization of the coal industry due to depletion of coal resources in the mid 1980s. Among the various discussion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coal mine remaining as an industrial heritage of the abandoned mine area, the local culture and tourism resource utilization project using the abandoned mine has helped to reconstruct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and also to reorganize the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the tourism industry I think.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Samtan Art Museum, Coal Art Museum, Taebaek Coal Museum, which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local culture and tourism resource utilization project, utilizing industrial heritage of abandoned coal mine in Taebaek and Jeongseon area in view of locality and contextuality. We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each, and try to discuss the best model for each region. Through this process, we will seek ways to revitalize the abandoned mine area that is appropriate fo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light of the locality and cultural context of Gangwon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때 국내 최대의 탄전지대로 유명했던 강원도 삼척, 도계, 태백 지역은 1980년대 중반 석탄자원의 고갈에 따른 석탄산업 합리화조치와 더불어 급격한 인구감소와 지역 경제 쇠락의 고통을 동시에 겪고 있다. 현재는 폐광지역 산업유산으로 남아있는 탄전지대의 재건을 위한 다양한 논의들 중 폐광유산을 활용한 지역 문화·관광 자원화 사업은 도시재생을 통한 지역공동체 재건과 동시에 관광산업을 통한 산업구조 재편에도 도움이 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성과 맥락성의 견지에서 현재 태백, 정선지역에서 운영 중인 폐광지역 산업유산을 활용하여 지역 문화·관광 자원화 사업의 대표적 사례인 삼탄아트마인, 석탄유물 종합전시관, 태백석탄 박물관을 대상으로 각각의 차별성과 가능성, 한계를 분석, 비교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최선의 모델을 논구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강원지역의 지역성과 문화적 맥락성의 견지에서 지역특성에 적합한 폐광지역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한때 국내 최대의 탄전지대로 유명했던 강원도 삼척, 도계, 태백 지역은 1980년대 중반 석탄자원의 고갈에 따른 석탄산업 합리화조치와 더불어 급격한 인구감소와 지역 경제 쇠락의 고통을 ...

      한때 국내 최대의 탄전지대로 유명했던 강원도 삼척, 도계, 태백 지역은 1980년대 중반 석탄자원의 고갈에 따른 석탄산업 합리화조치와 더불어 급격한 인구감소와 지역 경제 쇠락의 고통을 동시에 겪고 있다. 현재는 폐광지역 산업유산으로 남아있는 탄전지대의 재건을 위한 다양한 논의들 중 폐광유산을 활용한 지역 문화·관광 자원화 사업은 도시재생을 통한 지역공동체 재건과 동시에 관광산업을 통한 산업구조 재편에도 도움이 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성과 맥락성의 견지에서 현재 태백, 정선지역에서 운영 중인 폐광지역 산업유산을 활용하여 지역 문화·관광 자원화 사업의 대표적 사례인 삼탄아트마인, 석탄유물 종합전시관, 태백석탄 박물관을 대상으로 각각의 차별성과 가능성, 한계를 분석, 비교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최선의 모델을 논구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강원지역의 지역성과 문화적 맥락성의 견지에서 지역특성에 적합한 폐광지역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준식, "포스트 산업시대 산업문화 유산의 활용방안 모색 :강원도 탄광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회 20 (20): 35-64, 2019

      2 김인호,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국내 전시관의 재생사례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1 (11): 131-142, 2016

      3 박훈, "양지사택을 중심으로 하는 탄광촌 광부사택 활용 전략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1-13, 2018

      4 손상희, "시민참여를 위한 홍보관 전시 계획에 관한 연구 - 역사적 콘텐츠를 중심으로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4 (14): 19-30, 2017

      5 김홍기, "독일 산업?기술문화재로서의 폐광산 재생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205-213, 2007

      6 "https://www.taebaek.go.kr/coalmuseum/index.do"

      7 "https://www.mbceg.co.kr/post/66928, 67148"

      8 "https://map.naver.com/"

      9 "http://samtanartmine.com/bbs/page.php?hid=s0301"

      10 "http://momonews.com/46583"

      1 박준식, "포스트 산업시대 산업문화 유산의 활용방안 모색 :강원도 탄광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회 20 (20): 35-64, 2019

      2 김인호,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국내 전시관의 재생사례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1 (11): 131-142, 2016

      3 박훈, "양지사택을 중심으로 하는 탄광촌 광부사택 활용 전략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1-13, 2018

      4 손상희, "시민참여를 위한 홍보관 전시 계획에 관한 연구 - 역사적 콘텐츠를 중심으로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4 (14): 19-30, 2017

      5 김홍기, "독일 산업?기술문화재로서의 폐광산 재생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205-213, 2007

      6 "https://www.taebaek.go.kr/coalmuseum/index.do"

      7 "https://www.mbceg.co.kr/post/66928, 67148"

      8 "https://map.naver.com/"

      9 "http://samtanartmine.com/bbs/page.php?hid=s0301"

      10 "http://momonews.com/46583"

      11 50 years history Korea Coal Corporation, "Korea Coal Corpor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