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현대 일본인 대상 한국어 학습서의 총체적 접근과 분석 = Holistic Approach and Analysis on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s for Japanese People in the Modern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95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근현대 일본인 대상으로 편찬된 한국어 학습서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여 근대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학습서의 변천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습서...

      이 연구는 근현대 일본인 대상으로 편찬된 한국어 학습서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여 근대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학습서의 변천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습서의 편찬 배경과 시대적 상황과 같은 외적인 요인과 학습서의 목적 및 단원 구성과 같은 교육 내적인 요인을 함께 살펴볼 것이다. 학습서의 분석은 구축된 DB를 바탕으로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 과정을 통해 근대와 일제강점기의 시대적 특성과 교재의 편찬 목적, 배경 등을 분명히 밝히고, 해당 시기 교재의 특징을 포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실증적 자료와 재해석된 내용을 토대로 근대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편찬된 일본인 대상의 한국어 학습서의 흐름을 파악하고, 변화를 읽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서 한 두 권의 분석이 아닌 통시적인 관점에서 학습서를 살피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아직 정확한 규모나 내용을 알 수 없는 근대와 일제강점기 일본인 대상의 한국어 학습서의 규모와 편찬 상황은 물론 교육 내용 등을 총체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of learning materials from modern times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analyzing Korean learning materials compiled for modern-present Japanese people, from various perspectives. For this study, ext...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of learning materials from modern times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analyzing Korean learning materials compiled for modern-present Japanese people, from various perspectives.
      For this study, external factors like compilation backgrounds of learning materials and situations of the times and internal factors like purposes of learn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of units are examined as well. Learning materials are analyz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ose times, based on the constructed DB.
      It is anticipated that this process would help in clarifying traits of modern times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compilation purposes of teaching materials, and backgrounds and in grasping characteristics of teaching materials of the times. It was also considered that it wa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eam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Japanese people compiled from modern times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read the change, based on the empirical data and re-interpreted information. This requires a process of investigating learning materials, from a diachronic viewpoint, not merely analyzing one or two learning materials.
      It is supposed that this process may facilitate a holistic approach to the scale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Japanese people, compilation situation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modern times a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at have not been found accurately, ye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경민, "한국어 교재 변천사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2 조항록, "한국어 교재 개발의 기본 원리와 실제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223-250, 2003

      3 허재영, "한국어 교육사의 관점에서 본 교린수지(交隣須知)와 사과지남(辭課指南) 비교 연구" 한말연구학회 (31) : 361-383, 2012

      4 민현식, "한국어 교육론 1" 한국문화사 5-25, 2005

      5 허재영, "한국 근대의 학문론과 어문 교육" 지식과교양 1-443, 2013

      6 오현아,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9 (9): 199-219, 2012

      7 金惠貞, "일제 강점기 ‘朝鮮語 敎育’의 意圖와 性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 (31): 431-455, 2003

      8 전형식, "일본인의 한국어 연구에 대한 고찰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일본학회 (72) : 113-126, 2007

      9 정승혜, "오구라문고(小倉文庫) 所藏 韓國語 學習書에 대한 一考察 - 『今古奇觀』을 中心으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 (39): 43-72, 2011

      10 야마다 간토, "식민지 시기 전후의 언어 문제" 소명출판 197-217, 2014

      1 고경민, "한국어 교재 변천사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2 조항록, "한국어 교재 개발의 기본 원리와 실제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223-250, 2003

      3 허재영, "한국어 교육사의 관점에서 본 교린수지(交隣須知)와 사과지남(辭課指南) 비교 연구" 한말연구학회 (31) : 361-383, 2012

      4 민현식, "한국어 교육론 1" 한국문화사 5-25, 2005

      5 허재영, "한국 근대의 학문론과 어문 교육" 지식과교양 1-443, 2013

      6 오현아,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9 (9): 199-219, 2012

      7 金惠貞, "일제 강점기 ‘朝鮮語 敎育’의 意圖와 性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 (31): 431-455, 2003

      8 전형식, "일본인의 한국어 연구에 대한 고찰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일본학회 (72) : 113-126, 2007

      9 정승혜, "오구라문고(小倉文庫) 所藏 韓國語 學習書에 대한 一考察 - 『今古奇觀』을 中心으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 (39): 43-72, 2011

      10 야마다 간토, "식민지 시기 전후의 언어 문제" 소명출판 197-217, 2014

      11 이지영, "근현대 민족어문교육 기초 연구 ; 근현대 한국어 교재의 사적 고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3 : 503-541, 2004

      12 홍인숙, "근대계몽기 여성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3 고미숙, "근대계몽기 , 그 생성과 변이의 공간에 대한 몇 가지 단상" 민족문학사학회 14 : 105-132, 1999

      14 고경민, "근대 태동기 한국어 교재의 회화문 분석 - 구성 방식과 표기 방식을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7 (7): 133-160, 2013

      15 강남욱, "근대 초기 한국어 교재의 역동적 정착 과정 - 로스(Ross, J.), 호세코(寶迫繁勝), 게일(Gale, J. S.)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193-222, 2009

      16 성윤아, "근대 일본인의 조선어회화 학습서『実用日韓会話独学』에 대한 고찰"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59-78, 2015

      17 이강민, "근대 일본의 한국어 학습서" 역락 1-283, 2015

      18 성윤아, "근대 일본에서의 조선어회화 학습 열기 ― 조선어회화서 붐의 실체 ―" 아시아문화연구소 25 : 67-91, 2012

      19 최영철, "근대 계몽기 일본인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과 한국어 학습서의 변화 -개항 이후 학제 도입부터 통감시대까지-" 중앙어문학회 57 : 453-477, 2014

      20 이광정, "국어문법연구 3" 역락 1-477, 2008

      21 정근식, "구한말 일본인의 조선어교육과 통역경찰의 형성" 한국문학연구소 (32) : 7-55, 2007

      22 제점숙, "구한말 부산지역 조선어, 일본어 교육의 전개-이문화 ‘장(場)’으로서의 교육 공간-" 한국일본근대학회 (39) : 193-213, 2013

      23 편무진, "개화기 한국과 세계의 상호 교류" 국학자료원 111-134, 2004

      24 한용진, "갑오개혁기 일본인의 한국교육 개혁안 고찰 ― 근대화 교수용어 선택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33) : 77-98, 2009

      25 山田寬人, "植民地朝鮮における朝鮮語獎勵政策" 不二出版 1-266, 2004

      26 山田寬人, "朝鮮語学習書·辞書から見た日本人と朝鮮語-1880年~1945年" 천리대학조선학회 167 : 53-83, 1998

      27 末松保和, "朝解硏究文獻目錄 單行書篇" 東京大學東洋學文獻歡 センター 1-302, 1970

      28 성윤아, "明治前期における朝鮮語会話書の特徴とその日本語" 동아시아일본학회 (31) : 73-86, 2009

      29 김정숙, "20세기 초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회화 학습서 연구" 민족어문학회 (74) : 133-157,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8 1.05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