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형외과 상담실장의 역할과그 의료윤리적 함의에 대한 민족지 연구 = The Roles of Patient Managers and Their Implications for Medical Ethics: An Ethnographic Study of a Plastic Surgery Clin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46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long-term ethnographic fieldwork at a plastic surgery clinic, this article shows that non-medical professionals called “patient managers” have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patients and doctors and possibly challenged medical ethics and authorities. Unlike previous social studies of plastic surgery, rather than simply criticizing the unethical aspects of the private medical market, this study starts from their realities and considers them as resources for medical ethics. By taking the roles of non-medical professionals into both ethical and educational consideration, this study supplements current medical ethics, which is mainly concern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and extends medical ethics education to include more common problems faced by patients. This study is a preliminary attempt to draw ethical implications from social studies of medicine. It demonstrates that medical ethics is a concern, not only for physicians, but for multiple agents including non-medical professionals. This kind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can thus contribute to improving both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ethics and the social perception of doctors and medicine.
      번역하기

      Based on long-term ethnographic fieldwork at a plastic surgery clinic, this article shows that non-medical professionals called “patient managers” have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patients and doctors and possibly challenged medical ethics and ...

      Based on long-term ethnographic fieldwork at a plastic surgery clinic, this article shows that non-medical professionals called “patient managers” have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patients and doctors and possibly challenged medical ethics and authorities. Unlike previous social studies of plastic surgery, rather than simply criticizing the unethical aspects of the private medical market, this study starts from their realities and considers them as resources for medical ethics. By taking the roles of non-medical professionals into both ethical and educational consideration, this study supplements current medical ethics, which is mainly concern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and extends medical ethics education to include more common problems faced by patients. This study is a preliminary attempt to draw ethical implications from social studies of medicine. It demonstrates that medical ethics is a concern, not only for physicians, but for multiple agents including non-medical professionals. This kind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can thus contribute to improving both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ethics and the social perception of doctors and medici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장기간의 현장연구에 근거하여 성형의료시장에서 상담실장이라고 불리는 비의료인이 환자와 의사 사이에서 매개적인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윤리와 의사의 권위에 도전적인 존재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사회과학 연구들이 성형의료산업의 비윤리성이나 상업성을 비판해 온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사설의료시장에서 발견되는 상업성과 이질성을 현실로 인정하고 윤리적 자원으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의료현장에 개입하는 비의료인의 역할을 고려함으로써 의사나 간호사 혹은 환자 개인에 한정된 기존 의료윤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이것을 의료윤리교육에 포함시킨다면 의사들이 일상적으로 겪는 갈등을 다루는 데 더욱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과학적 연구로부터 의료윤리적 함의를 이끌어 내려는 시도로서 이러한 학제적 접근은 의사와 환자 사이의 다양한 관계뿐만 아니라 의사와 환자 사이를 매개하는 다양한 존재들을 발견하게 해준다. 의료윤리가 의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양한 주체들의 윤리적인 판단이 요구되는 일임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러한 학제적 윤리 연구는 의료윤리의 실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의사와 의료행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데에도 일조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장기간의 현장연구에 근거하여 성형의료시장에서 상담실장이라고 불리는 비의료인이 환자와 의사 사이에서 매개적인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윤리와 의사의 권위에 ...

      본 논문은 장기간의 현장연구에 근거하여 성형의료시장에서 상담실장이라고 불리는 비의료인이 환자와 의사 사이에서 매개적인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윤리와 의사의 권위에 도전적인 존재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사회과학 연구들이 성형의료산업의 비윤리성이나 상업성을 비판해 온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사설의료시장에서 발견되는 상업성과 이질성을 현실로 인정하고 윤리적 자원으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의료현장에 개입하는 비의료인의 역할을 고려함으로써 의사나 간호사 혹은 환자 개인에 한정된 기존 의료윤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이것을 의료윤리교육에 포함시킨다면 의사들이 일상적으로 겪는 갈등을 다루는 데 더욱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과학적 연구로부터 의료윤리적 함의를 이끌어 내려는 시도로서 이러한 학제적 접근은 의사와 환자 사이의 다양한 관계뿐만 아니라 의사와 환자 사이를 매개하는 다양한 존재들을 발견하게 해준다. 의료윤리가 의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양한 주체들의 윤리적인 판단이 요구되는 일임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러한 학제적 윤리 연구는 의료윤리의 실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의사와 의료행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데에도 일조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은, "현대 여성주의 철학에서 보살핌 윤리 - 실천적 판단에서 특수 윤리와 보편 윤리의 전환 가능성" 한국여성철학회 11 : 143-171, 2009

      2 박상혁, "한국 실천철학의 ‘현실적 무력함’과 그 극복방안: 정치철학과 생명의료윤리학을 중심으로" 24 (24): 51-63, 2008

      3 강명신,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한국의철학회 13 : 3-33, 2012

      4 하정옥, "임신한 여성의 결정과 자율성 ─ 생명윤리, 여성의 경험에 귀 기울이라 ─" 한국여성연구소 10 (10): 1-34, 2010

      5 브루노 라투르, "인간·사물·동맹: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010

      6 맹광호, "의료인과 제약회사 사이의 관계윤리" 대한의사협회 53 (53): 644-646, 2010

      7 구영모, "의료윤리 문제에 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의식 조사" 2 (2): 59-60, 1999

      8 권상옥, "의료 인문학의 개념과 의학 교육에서의 역할" 한국의학교육학회 17 (17): 217-224, 2005

      9 권복규, "우리나라 의료윤리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의료윤리학회 9 (9): 60-72, 2006

      10 맹광호,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의 인문사회의학교육: 과제와 전망" 한국의학교육학회 19 (19): 5-11, 2007

      1 이정은, "현대 여성주의 철학에서 보살핌 윤리 - 실천적 판단에서 특수 윤리와 보편 윤리의 전환 가능성" 한국여성철학회 11 : 143-171, 2009

      2 박상혁, "한국 실천철학의 ‘현실적 무력함’과 그 극복방안: 정치철학과 생명의료윤리학을 중심으로" 24 (24): 51-63, 2008

      3 강명신,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한국의철학회 13 : 3-33, 2012

      4 하정옥, "임신한 여성의 결정과 자율성 ─ 생명윤리, 여성의 경험에 귀 기울이라 ─" 한국여성연구소 10 (10): 1-34, 2010

      5 브루노 라투르, "인간·사물·동맹: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010

      6 맹광호, "의료인과 제약회사 사이의 관계윤리" 대한의사협회 53 (53): 644-646, 2010

      7 구영모, "의료윤리 문제에 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의식 조사" 2 (2): 59-60, 1999

      8 권상옥, "의료 인문학의 개념과 의학 교육에서의 역할" 한국의학교육학회 17 (17): 217-224, 2005

      9 권복규, "우리나라 의료윤리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의료윤리학회 9 (9): 60-72, 2006

      10 맹광호,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의 인문사회의학교육: 과제와 전망" 한국의학교육학회 19 (19): 5-11, 2007

      11 정준영, "영미권의 생명의료윤리학, 어떻게 볼 것인가? - 응용윤리학적 접근법을 비판하며 -" 새한철학회 3 (3): 281-310, 2008

      12 나윤경, "십대 여성의 외모중심 인식을 추동하는 일상과 성형의료산업" 한국여성학회 25 (25): 73-108, 2009

      13 태희원, "신자유주의적 통치성과 자기계발로서의 미용성형 소비" 한국여성연구소 12 (12): 157-191, 2012

      14 백영경,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아시아여성연구소 52 (52): 43-71, 2013

      15 최경석, "생명의료윤리에서의‘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의료윤리학회 14 (14): 13-27, 2011

      16 이은영, "생명의료윤리에서 자율성의 새로운 이해: 관계적 자율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료윤리학회 17 (17): 01-13, 2014

      17 강명신, "사회윤리학의 관점에서 본, 의사의 전문직 역할도덕과 '초연한 관심'" 한국의료윤리학회 10 (10): 135-148, 2007

      18 윤택림,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 방법론" 아르케 2004

      19 마경희, "돌봄의 정치적 윤리: 돌봄과 정의의 이원론을 넘어"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319-348, 2010

      20 김남준, "나노생명공학에 대한 윤리적 고찰" 한국윤리학회 1 (1): 185-217, 2007

      21 홍성욱, "과학은 얼마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22 Rose N, "The politics of life itself" 18 (18): 1-30, 2001

      23 Conrad P, "The Medicalization of Society: On the Transformation of Human Conditions into Treatable Disorder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7

      24 Geertz C,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 Selected Essays" Basic Books 1973

      25 Fox RC, "Reflections and opportunities in the sociology of medicine" 26 : 6-14, 1985

      26 Talyor JS, "Personal Autonomy: New Essays on Personal Autonomy and Its Role in Contemporary Moral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7 Atkinson P, "Medical Talk and Medical Work" Sage 1995

      28 Ong A, "Making the biopolitical subject: cambodian immigrants, refugee medicine and cultural citizenship in California" 40 (40): 1243-1257, 1995

      29 Thompson C, "Making Parents: The Ontological Choreography of Reproductive Technologies" The MIT Press 2005

      30 Stoljar N, "Informed consent and relational conceptions of autonomy" 36 (36): 375-384, 2011

      31 López J, "How sociology can save bioethics... maybe" 26 (26): 875-896, 2004

      32 Robertson DW, "Ethical theory, ethnography, and differences between doctors and nurses in approaches to patient care" 22 (22): 292-299, 1996

      33 Hogle LF, "Enhancement technologies and the body" 34 : 695-716, 2005

      34 Sherlock R, "Enclyclopedia of Science, Technology, and Ethics" Macmillan Reference USA 1184-1188, 2005

      35 Armstrong D, "Embodiment and ethics: constructing medicine's two bodies" 28 (28): 866-881, 2006

      36 Twigg J, "Conceptualising body work in health and social care" 33 (33): 171-188, 2011

      37 Fisher JA, "Co-ordinating ‘ethical’ clinical trials: the role of research coordinators in the contract research industry" 28 (28): 678-694, 2006

      38 Måseide P, "Body work in respiratory physiological examinations" 33 (33): 296-307, 2011

      39 Clarke AE, "Biomedicalization: technoscientific transformations of health, illness, and US biomedicine" 68 (68): 161-194, 2003

      40 Gallagher EB, "Bioethics and Society: Constructing the Ethical Enterprise" Prentice Hall College Division 166-191, 1998

      41 Wolpe PR, "Bioethics and Society: Constructing the Ethical Enterprise" Prentice Hall College Division 38-59, 1998

      42 DeVries RG, "Bioethics and Society: Constructing the Ethical Enterprise" Prentice Hall College Division 233-257, 1998

      43 Chattopadhyay S, "Bioethical concerns are global, bioethics is Western" 18 (18): 106-109, 2008

      44 Lock M, "An Anthropology of Biomedicine" John Wiley & Sons 2010

      45 Jonsen AR, "A Short History of Medical Eth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8-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 한국의료윤리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KCI등재
      2009-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지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5 0.94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