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갈바노 스캐너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이용한 두부 고정형 다초점 디스플레이 시스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560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와 갈바노 스캐너를 이용한 두부 고정형 다초점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초점 조절이 가능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양안의 수렴작용과 단안의 초점조절 작용의 불일치에 의한 눈의 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레이저 스캐닝 방법으로 각 시점에 대한 영상의 수렴점을 형성하여 관찰자 동공에 제공함으로 초점조절이 가능토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다초점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레이저 스캐닝 방법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러한 분석에 기반 한 다초점 시스템을 제작하여 비디오카메라를 통하여 초점조절이 가능함을 보였고, 결과적으로 레이저 스캐닝 방법에 의한 다초점 시스템의 시점 형성원리가 검증되었다.
      번역하기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와 갈바노 스캐너를 이용한 두부 고정형 다초점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초점 조절이 가능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양안의 수렴작용과 단안의 초...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와 갈바노 스캐너를 이용한 두부 고정형 다초점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초점 조절이 가능하여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양안의 수렴작용과 단안의 초점조절 작용의 불일치에 의한 눈의 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레이저 스캐닝 방법으로 각 시점에 대한 영상의 수렴점을 형성하여 관찰자 동공에 제공함으로 초점조절이 가능토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다초점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레이저 스캐닝 방법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러한 분석에 기반 한 다초점 시스템을 제작하여 비디오카메라를 통하여 초점조절이 가능함을 보였고, 결과적으로 레이저 스캐닝 방법에 의한 다초점 시스템의 시점 형성원리가 검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ad fixed type multi-focus display system using Galvano-scanner and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which is able to perfectly accommodate, can solve eye fatigue due to conflict between convergence eye movement and accommodation action in stereoscopic display. This system is able to accommodate through making convergence point about each view point and offering it in front of observer’s pupil by using laser scanning method. In this paper, we analyzed laser scanning method of this multi-focus display system. And multi-focus display system based on this analysis was made, which showed that focus adjustment was possible through video camera. As a result, formation principle of view point of multi-focus system by laser scanning method was verified.
      번역하기

      Head fixed type multi-focus display system using Galvano-scanner and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which is able to perfectly accommodate, can solve eye fatigue due to conflict between convergence eye movement and accommodation action in stereosco...

      Head fixed type multi-focus display system using Galvano-scanner and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which is able to perfectly accommodate, can solve eye fatigue due to conflict between convergence eye movement and accommodation action in stereoscopic display. This system is able to accommodate through making convergence point about each view point and offering it in front of observer’s pupil by using laser scanning method. In this paper, we analyzed laser scanning method of this multi-focus display system. And multi-focus display system based on this analysis was made, which showed that focus adjustment was possible through video camera. As a result, formation principle of view point of multi-focus system by laser scanning method was verifi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수렴점 형성을 통한 다초점 시스템의 초점조절 원리
      • Ⅲ.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의 수학적 분석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수렴점 형성을 통한 다초점 시스템의 초점조절 원리
      • Ⅲ.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의 수학적 분석
      • Ⅳ. 실험 및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azuhiko Ukai, "Visual fatigue caused by viewing stereoscopic motion images: Background, theories, and observations" 29 : 106-116, 2008

      2 Sumio Yano, "Two factors in visual fatigue caused by stereoscopic HDTV images" 25 : 141-150, 2004

      3 Hirosi Nakanuma, "Natural 3D display with 128 directional images used for human-engineering evaluation" 5664 : 28-35, 2005

      4 Joseph M. Geary, "Introduction to lens design" Willmann-Bell 2002

      5 Sung-Kyu Kim, "Evaluation of the monocular depth cue in 3D displays" 16 : 21415-21422, 2008

      6 Nicholas L. Silverman, "Engineering a retinal scanning laser display with integrated accommodative depth cues" 1538-1541, 2003

      7 Sung- Kyu Kim, "Development of the 2ndgeneration of HMD type multi-focus 3D display system" 6016 : 6016-, 2005

      8 N. Hiruma, "Accommodation response to binocular stereoscopic TV images and their viewing conditions" 102 : 1137-1144, 1993

      9 Sumio Yano, "A study of visual fatigue and visual comfort for 3D HDTV/HDTV image" 23 : 191-201, 2002

      10 Sung-Kyu Kim, "3D display system for one observer using multi-projection of 2-Dimesional image from an arc" 4297 : 141-147, 2001

      1 Kazuhiko Ukai, "Visual fatigue caused by viewing stereoscopic motion images: Background, theories, and observations" 29 : 106-116, 2008

      2 Sumio Yano, "Two factors in visual fatigue caused by stereoscopic HDTV images" 25 : 141-150, 2004

      3 Hirosi Nakanuma, "Natural 3D display with 128 directional images used for human-engineering evaluation" 5664 : 28-35, 2005

      4 Joseph M. Geary, "Introduction to lens design" Willmann-Bell 2002

      5 Sung-Kyu Kim, "Evaluation of the monocular depth cue in 3D displays" 16 : 21415-21422, 2008

      6 Nicholas L. Silverman, "Engineering a retinal scanning laser display with integrated accommodative depth cues" 1538-1541, 2003

      7 Sung- Kyu Kim, "Development of the 2ndgeneration of HMD type multi-focus 3D display system" 6016 : 6016-, 2005

      8 N. Hiruma, "Accommodation response to binocular stereoscopic TV images and their viewing conditions" 102 : 1137-1144, 1993

      9 Sumio Yano, "A study of visual fatigue and visual comfort for 3D HDTV/HDTV image" 23 : 191-201, 2002

      10 Sung-Kyu Kim, "3D display system for one observer using multi-projection of 2-Dimesional image from an arc" 4297 : 141-147, 2001

      11 Y. Kajiki, "3D Display with Focused Light Array" 2652 : 106-116,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5-01-01 평가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2014-11-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B</br>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B KCI등재
      2014-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B</br>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 B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