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매절차상 전세권자와 전세권저당권자의 보호방안 =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Chonsegwon-holder and Chonsegwon-mortgagee in the Foreclosing prodced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70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y person having Chonsegwon is entitled to use it in conformity with its purposes and to take the profits from it, by paying the deposit money and possessing the real property owned by another person. Furthermore, he is also entitled to obtain the payment of deposit money in preference to having the junior right or other creditors with respect to whole real property.
      If the settler of Chonsegwon delays the return of deposit money, the person of having Chonsegwon may request an auction of the subject matter of Chonsegwon,in accordance with the Civil Execution Act. This is the voluntary auction that aims to foreclosing the subject matter according to the Chonsegwon upon the provided statement of Civil Execution Act. Here, lots of legal issues such as (i) whether Chonsegwon-holder provides the performance, (ii) whether Chonsegwon-holder files a foreclosing action against entire real estate even in case of only the land or building is partially subject to the Chonsegwon contract, or (iii) how distribute the proceeds of the conversion from the auction when only exclusively possessed area is subject to the Chonsegwon in the joint-ownership building. In addition, the filing the execution proceeding is seeking upon the Civil Execution Act and the concrete method of public auction will inevitably lead to questionable points.
      Meanwhile, mortgage may have real property ownership for its object under the principle rule, above this Chonsegwon also can be subject to the mortgage.
      Besides, Chonsegwon-holder can be provides her rights to the third-person as a collateral. Therefore, the mortgage for the Chonsegwon purposes can be validly formed under the Korean Civil Act. At this time, the registration should be made by a codicil of mortgage for the Chonsegwon to a registration.
      There is continuous argument regarding what legal status have in mortgagor in the Chonsegwon-mortgagee and how should the stakeholder can be protected its rights because there is no concrete statement on the both issues. In general, the duration of Chonsegwon shall be not more than 10 years. However, if the period of Chonsegwon failed to prescribed in the contract, the issue arising whether the contract period is terminated when Chonsegwon-mortgagee starts her foreclosing action and those methods of execution means are differently applied.
      This article deals with general issues related to the foreclosing skill of Chonsegwon-holder and execution method of mortgagee against Chseonsegwon.
      Especially, a depth research and concrete argument added on the process of execution is how different from the legal theory in the security and collateral law practicing arena.
      번역하기

      Any person having Chonsegwon is entitled to use it in conformity with its purposes and to take the profits from it, by paying the deposit money and possessing the real property owned by another person. Furthermore, he is also entitled to obtain the pa...

      Any person having Chonsegwon is entitled to use it in conformity with its purposes and to take the profits from it, by paying the deposit money and possessing the real property owned by another person. Furthermore, he is also entitled to obtain the payment of deposit money in preference to having the junior right or other creditors with respect to whole real property.
      If the settler of Chonsegwon delays the return of deposit money, the person of having Chonsegwon may request an auction of the subject matter of Chonsegwon,in accordance with the Civil Execution Act. This is the voluntary auction that aims to foreclosing the subject matter according to the Chonsegwon upon the provided statement of Civil Execution Act. Here, lots of legal issues such as (i) whether Chonsegwon-holder provides the performance, (ii) whether Chonsegwon-holder files a foreclosing action against entire real estate even in case of only the land or building is partially subject to the Chonsegwon contract, or (iii) how distribute the proceeds of the conversion from the auction when only exclusively possessed area is subject to the Chonsegwon in the joint-ownership building. In addition, the filing the execution proceeding is seeking upon the Civil Execution Act and the concrete method of public auction will inevitably lead to questionable points.
      Meanwhile, mortgage may have real property ownership for its object under the principle rule, above this Chonsegwon also can be subject to the mortgage.
      Besides, Chonsegwon-holder can be provides her rights to the third-person as a collateral. Therefore, the mortgage for the Chonsegwon purposes can be validly formed under the Korean Civil Act. At this time, the registration should be made by a codicil of mortgage for the Chonsegwon to a registration.
      There is continuous argument regarding what legal status have in mortgagor in the Chonsegwon-mortgagee and how should the stakeholder can be protected its rights because there is no concrete statement on the both issues. In general, the duration of Chonsegwon shall be not more than 10 years. However, if the period of Chonsegwon failed to prescribed in the contract, the issue arising whether the contract period is terminated when Chonsegwon-mortgagee starts her foreclosing action and those methods of execution means are differently applied.
      This article deals with general issues related to the foreclosing skill of Chonsegwon-holder and execution method of mortgagee against Chseonsegwon.
      Especially, a depth research and concrete argument added on the process of execution is how different from the legal theory in the security and collateral law practicing aren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세권은 전세권자가 전세금을 지급하고 전세권설정자의 부동산을 점유하여 그 부동산의 용도에 좇아 사용·수익하는 용익물권이다. 또한 전세권이 소멸하면 목적 부동산으로부터 전세권자는 전세금의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는 담보물권적 성질도 가지고 있다.
      전세권 소멸 후 전세권설정자가 전세금의 반환을 지체한 때에는 전세권자는 민사집행법에 정한 절차에 따라 전세권의 목적물의 경매를 청구할 수 있다. 이러한 경매를 민사집행법상 전세권에 기한 담보권의 실행 등을 위한 임의경매라 한다. 따라서 전세권자의 경매실행에 있어서 경매신청시 전세권자의 이행제공 완료 여부, 토지나 건물 일부에 전세권이 설정된 경우 전세권자의 일괄경매신청 여부, 구분건물의 전유부분에만 전세권을 설정한 경우 배당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세권자 경매청구권은 민사집행법에 정한 바에 의하여 행해지므로 구체적인 경매실행방법에 있어서 우선변제권을 실행하는 데 명문의 규정이 없어 문제점이나 그 절차에 대해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한편, 저당권은 부동산의 소유권을 목적으로 함이 원칙이지만, 전세권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고 전세권자는 전세권을 타인에게 담보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세권을 목적으로 하는 저당권은 우리 민법상 유효하게 성립한다. 이때 그 등기는 전세권에 대한 저당권의 부기등기 형식으로 하게 된다. 전세권저당권의 경우 저당권자는 어떤 법적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그 권리실행은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는지 구체적인 규정이 없어 그 법적지위를 둘러싸고 상당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전세권저당권자의 권리실행에 있어서 전세권의 존속기간이 만료되었는지 그 여부에 따라 권리 실행방법에 있어서 다툼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전세권자의 경매절차에서의 제문제와 전세권저당권자의 저당권의 실행에 있어서 제문제를 고찰하고, 그 보호방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전세권은 전세권자가 전세금을 지급하고 전세권설정자의 부동산을 점유하여 그 부동산의 용도에 좇아 사용·수익하는 용익물권이다. 또한 전세권이 소멸하면 목적 부동산으로부터 전세권...

      전세권은 전세권자가 전세금을 지급하고 전세권설정자의 부동산을 점유하여 그 부동산의 용도에 좇아 사용·수익하는 용익물권이다. 또한 전세권이 소멸하면 목적 부동산으로부터 전세권자는 전세금의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는 담보물권적 성질도 가지고 있다.
      전세권 소멸 후 전세권설정자가 전세금의 반환을 지체한 때에는 전세권자는 민사집행법에 정한 절차에 따라 전세권의 목적물의 경매를 청구할 수 있다. 이러한 경매를 민사집행법상 전세권에 기한 담보권의 실행 등을 위한 임의경매라 한다. 따라서 전세권자의 경매실행에 있어서 경매신청시 전세권자의 이행제공 완료 여부, 토지나 건물 일부에 전세권이 설정된 경우 전세권자의 일괄경매신청 여부, 구분건물의 전유부분에만 전세권을 설정한 경우 배당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세권자 경매청구권은 민사집행법에 정한 바에 의하여 행해지므로 구체적인 경매실행방법에 있어서 우선변제권을 실행하는 데 명문의 규정이 없어 문제점이나 그 절차에 대해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한편, 저당권은 부동산의 소유권을 목적으로 함이 원칙이지만, 전세권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고 전세권자는 전세권을 타인에게 담보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세권을 목적으로 하는 저당권은 우리 민법상 유효하게 성립한다. 이때 그 등기는 전세권에 대한 저당권의 부기등기 형식으로 하게 된다. 전세권저당권의 경우 저당권자는 어떤 법적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그 권리실행은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는지 구체적인 규정이 없어 그 법적지위를 둘러싸고 상당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전세권저당권자의 권리실행에 있어서 전세권의 존속기간이 만료되었는지 그 여부에 따라 권리 실행방법에 있어서 다툼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전세권자의 경매절차에서의 제문제와 전세권저당권자의 저당권의 실행에 있어서 제문제를 고찰하고, 그 보호방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준, "한국민법론(물권편)" 박영사 2007

      2 오경미, "채권담보 목적의 전세권과 그에 관하여 설정된 저당권의 법률관계-연구대상판결 :대법원 2006. 2. 9. 선고 2005다59864 판결-" 부산판례연구회 18 : 2007

      3 김기정, "집합건물의 집행을 둘러싼 몇가지 문제에 대한 고찰-집합건물의 특수한 법률관계및 구분건물에 대하여만 설정된 전세권 및 저당권의 효력범위를 중심으로-" 법원도서관 27 : 1996

      4 양경승, "집합건물에 대한집행, In 민사집행에 관한 제문제(下)" 법원도서관 1996

      5 법원행정처, "집합건물등기에 관한 해설"

      6 윤대성, "전세권제도의 재구성" 성균관대학교법학연구소 2 : 1988

      7 이상태, "전세권저당권자의 법적 지위" 한국민사법학회 (38) : 575-610, 2007

      8 이재도, "전세권저당권의 효력과 실행방법, In 대전지방법원 실무연구자료(제7권)" 2006

      9 강대성, "전세권저당권의 우선변제적 효력" 한국토지법학회 24 (24): 31-51, 2008

      10 소재선, "전세권이 기간만료로 종료된 경우의 저당권의 효력-대법원 2004. 4. 27. 선고 2003다29968 판결-" 청림출판 (410) : 2004

      1 이영준, "한국민법론(물권편)" 박영사 2007

      2 오경미, "채권담보 목적의 전세권과 그에 관하여 설정된 저당권의 법률관계-연구대상판결 :대법원 2006. 2. 9. 선고 2005다59864 판결-" 부산판례연구회 18 : 2007

      3 김기정, "집합건물의 집행을 둘러싼 몇가지 문제에 대한 고찰-집합건물의 특수한 법률관계및 구분건물에 대하여만 설정된 전세권 및 저당권의 효력범위를 중심으로-" 법원도서관 27 : 1996

      4 양경승, "집합건물에 대한집행, In 민사집행에 관한 제문제(下)" 법원도서관 1996

      5 법원행정처, "집합건물등기에 관한 해설"

      6 윤대성, "전세권제도의 재구성" 성균관대학교법학연구소 2 : 1988

      7 이상태, "전세권저당권자의 법적 지위" 한국민사법학회 (38) : 575-610, 2007

      8 이재도, "전세권저당권의 효력과 실행방법, In 대전지방법원 실무연구자료(제7권)" 2006

      9 강대성, "전세권저당권의 우선변제적 효력" 한국토지법학회 24 (24): 31-51, 2008

      10 소재선, "전세권이 기간만료로 종료된 경우의 저당권의 효력-대법원 2004. 4. 27. 선고 2003다29968 판결-" 청림출판 (410) : 2004

      11 오세열, "전세권의 성립에 관한 제문제" 법조협회 56 (56): 5-46, 2007

      12 고상룡, "전세권의 강화-입법개정과정을 중심으로-" 25 (25): 1984

      13 남양우, "전세권을 목적으로 한 저당권의 효력에 관하여-대법원 1999. 9. 17. 선고 98다31301판결을 중심으로-" 대전지방법원 7 : 2006

      14 김창섭, "전세권에 대한 저당권의 우선변제적 효력의 인정여부" 법조협회 50 (50): 2001

      15 이원일, "전세권에 대하여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데 전세권이 기간만료로 종료된 경우, 전세금반환채권에 대한 제3자의 압류 등이 없는 한 전세권설정자는 전세권자에 대하여만전세금반환의무를 부담하는지 여부 및 그 저당권의 실행방법, In 대법원판례해설 1999년하반기" 법원도서관 1999

      16 박순성, "전세권에 관한 판례의 동향과 전망-전세권의 담보물권을 중심으로-, In 21세기 한국민사법학의 과제와 전망, 심당송상현선생화갑기념논문집" 2002

      17 양창수, "전세권" 고시계 1992

      18 김동옥, "저당권의 목적물로 된 전세권이 기간만료로 종료된 경우의 법률관계" 부산판례연구회 12 : 2001

      19 송덕수, "신민법강의" 박영사 2009

      20 민일영, "부동산의 일부에 대한 전세권자의 부동산 전부에 대한 경매청구의 가부" 1992

      21 권오복, "부동산경매의 경매목적물" 서울지방법원 실무논단 1997

      22 최세모, "부동산경매와 전세권" 법원행정처 1987

      23 전효숙, "부동산 경매와 등기, 등기에 관한 제문제(하)" 1988

      24 법원행정처, "법원실무제요, 민사집행(Ⅱ)"

      25 윤경, "민사집행(부동산 경매)의 실무" 육법사 2008

      26 김형배, "민법학강의" 신조사 2003

      27 "민법주해[Ⅵ], In 물권(3)" 박영사 1992

      28 김용한, "민법일부개정의 배경과 내용" 법조협회 33 (33): 1984

      29 지원림, "민법강의" 홍문사 2011

      30 법무부, "민법(재산편)개정 자료집" 1984

      31 송오식, "물권법 강의"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5

      32 오시영, "물권법" 도서출판학현사 2009

      33 김상용, "물권법" 화산미디어 2009

      34 박종두, "물권법" 도서출판 삼영사 2010

      35 이상태, "물권법" 법원사 2011

      36 김증한, "물권법" 박영사 1997

      37 고상룡, "물권법" 법문사 2001

      38 이은영, "물권법" 박영사 2002

      39 윤진수, "로스쿨 강의교재 물권법" 피데스 2009

      40 남기정, "등기 불능 건물 및 그 일부분에 대한 집행방법, In 법무사 제301호" 1992

      41 김종권, "대지권의 등기와 대지권인 취지의 등기-등기에 관한 제문제(하)-" 법원도서관 1988

      42 김인수, "공유, 공유물분할과 등기" 법원도서관 1988

      43 김정현, "경매실무요론(상)" 한국사법행정학회 1970

      44 김영희, "건물의 부분전세권자의 경매청구권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사법학회 15 (15): 165-22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KCI등재후보
      2009-03-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5 0.805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