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생활사 중심의 유물 박물관인 숙명박물관의 인지도와 브랜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을 활용한 통합 브랜드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15519
2017
Korean
학술저널
-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생활사 중심의 유물 박물관인 숙명박물관의 인지도와 브랜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을 활용한 통합 브랜드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
본 연구는 여성생활사 중심의 유물 박물관인 숙명박물관의 인지도와 브랜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을 활용한 통합 브랜드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박물관의 브랜드를 프로모션하고 그래픽, 제품, 공간의 통합 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총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로서 4개 팀 중, 1개 팀의 작업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적 범위는 ‘숙명여자대학교 숙명박물관'의 2D~4D까지의 전반으로 설정한다. 그 결과, 제품부터 공간까지 숙명박물관의 통합된 브랜딩은 일
관성과 객관성, 스토리성을 얻을 수 있었다. ’숙명박물관'은 학교의 박물관이라는 장점을 극대화시켜 가치와 스토리를 부여하고 하나의 브랜드로 리뉴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보편적인 박물관들의 차별화된 브랜드 개발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브랜드 개발에 있어서 G·I,
P·I, S·I의 통합 브랜드 메뉴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숙명역사관’뮤지엄 아이덴티티 개선을 위한 마케팅, 디자인 전략 수립 -특별 기획전, 홍보, 기프트 샵을 중심으로-
오감각적 자극과 감성 브랜드 프로모션 공간 연출 디자인에 관한 연구 -마임 건강식품 알로주스 프로모션 연출을 중심으로-
박물관 브랜드 마케팅 및 공간 프로모션 전략 -숙명여자대학교 내 정영양자수박물관 C·E·M 공간디자인을 중심으로-
자연의 아름다움과 고급스러움이 공존하는 마임 비에타 쇼룸 제안 -오감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