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성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의식 및 쇼핑만족도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Consumer's Clothing Satisfaction and Fashion Consciousness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of Male Consum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03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 남성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의식과 쇼핑만족도를 통해 쇼핑행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남성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 패션의식, 쇼핑만족도의 구성요인을 밝히고 둘째, 남성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과 패션의식 및 쇼핑만족도간에 상호관련성을 분석하고 셋째, 의류쇼핑성향 집단에 따른 패션의식과 쇼핑만족도에 차이를 밝힌다. 넷째, 전반적인 패션의식과 쇼핑만족정도를 알아본다. 통계방법은 SPSS/WIN 10.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검정, 군집분석, 분산분석, 상관계수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류쇼핑성향은 패션의식 및 쇼핑만족도와 대체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고,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남성소비자를 세분화하는데 쇼핑성향이 의미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 패션의식에서는 캐주얼을 선호하며 스타일이 있고 가치있는 의류을 구매하고자하며, 쇼핑시 휴식공간, 매장진열 등의 서비스차원에서 쇼핑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현대 남성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의식과 쇼핑만족도를 통해 쇼핑행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남성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 패션의식, 쇼핑만족도...

      본 연구는 현대 남성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의식과 쇼핑만족도를 통해 쇼핑행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남성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 패션의식, 쇼핑만족도의 구성요인을 밝히고 둘째, 남성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과 패션의식 및 쇼핑만족도간에 상호관련성을 분석하고 셋째, 의류쇼핑성향 집단에 따른 패션의식과 쇼핑만족도에 차이를 밝힌다. 넷째, 전반적인 패션의식과 쇼핑만족정도를 알아본다. 통계방법은 SPSS/WIN 10.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검정, 군집분석, 분산분석, 상관계수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류쇼핑성향은 패션의식 및 쇼핑만족도와 대체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고,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남성소비자를 세분화하는데 쇼핑성향이 의미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 패션의식에서는 캐주얼을 선호하며 스타일이 있고 가치있는 의류을 구매하고자하며, 쇼핑시 휴식공간, 매장진열 등의 서비스차원에서 쇼핑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male consumer's shopping behavior through the fashion consciousness and shopp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rson's correlation.In conclusio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had high relationship with fashion consciousness and shopping satisfaction,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erefore shopping orientation is the reasonable factor to classify male customers. Also male customers prefer casual cloth and would like to purchase the stylish and valuable clothes, although they were lowly satisfied with service parts as like relax place, display of shop.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male consumer's shopping behavior through the fashion consciousness and shopp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on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male consumer's shopping behavior through the fashion consciousness and shopp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rson's correlation.In conclusio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had high relationship with fashion consciousness and shopping satisfaction,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erefore shopping orientation is the reasonable factor to classify male customers. Also male customers prefer casual cloth and would like to purchase the stylish and valuable clothes, although they were lowly satisfied with service parts as like relax place, display of sho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경호,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 한국자료분석학회 5 (5): 877-888, 2003

      2 최경호, "자료공개의 통계적 관리" 한국자료분석학회 5 (5): 127-135, 2003

      3 홍금희, "의복제품에 대한 소비자만족의 종적연구 -구매시 만족과 사용시 만족을 중심으로" 3-14, 1991

      4 최태용, "의복쇼핑성향과 의복구매만족과의 관계연구- 대구지역 여성소비자들을 대상으로 -" 대한가정학회 40 (40): 123-135, 2002

      5 이은영, "의류제품의 구매과정에 나타난 소비자불만족 연구" 19 (19): 149-160, 1995

      6 박은순, "신세대의 패션의식에 따른 상표 포지셔닝 연구" 44( (44(): 1999

      7 김혜원, "소비자의 의복관여도와 의복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8 옥경은, "상황과 소비자 특성에 따른 의류제품의 추구혜택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1

      9 김규곤, "비모수 통계를 위한 한글형 통계분석 시스템의 연구개발" Vol. 3, (Vol. 3,): 457-476, 2001

      10 김지현, "남성집단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2000

      1 최경호,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 한국자료분석학회 5 (5): 877-888, 2003

      2 최경호, "자료공개의 통계적 관리" 한국자료분석학회 5 (5): 127-135, 2003

      3 홍금희, "의복제품에 대한 소비자만족의 종적연구 -구매시 만족과 사용시 만족을 중심으로" 3-14, 1991

      4 최태용, "의복쇼핑성향과 의복구매만족과의 관계연구- 대구지역 여성소비자들을 대상으로 -" 대한가정학회 40 (40): 123-135, 2002

      5 이은영, "의류제품의 구매과정에 나타난 소비자불만족 연구" 19 (19): 149-160, 1995

      6 박은순, "신세대의 패션의식에 따른 상표 포지셔닝 연구" 44( (44(): 1999

      7 김혜원, "소비자의 의복관여도와 의복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8 옥경은, "상황과 소비자 특성에 따른 의류제품의 추구혜택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1

      9 김규곤, "비모수 통계를 위한 한글형 통계분석 시스템의 연구개발" Vol. 3, (Vol. 3,): 457-476, 2001

      10 김지현, "남성집단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2000

      11 윤미라, "남성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선호점포이미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0

      12 이지훈, "남성복 소비자의 구매행동 및 점포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2001

      13 서미아, "남성기성복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88

      14 김영수, "경쟁 할인점의 고객유치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391-406, 2004

      15 Shim, "and Their Relations to Clothing and Shopping Behavior Among Male Consumers" 35-44, 1991

      16 Shim, "The Hierarchical Influence of Personal Values of Mall Shopping Attitude and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139-160, 1988

      17 노현지, "20-30대 남성 소비자의 의복구매행동수준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활용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전문대학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