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자정보 압수수색의 ʻ객관적 관련성ʼ 요건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최근 대법원의 태도를 중심으로 - = Critical Review of ʻObjective Relevanceʼ Requirement for Electronic Information Seizure and Search - Focusing on the recent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may be no other word in law that is as obscure as the word ‘relevance’. On July 18, 2011, the requirement of ‘relevance’ was added to the revised Article 215 on Seizure, Search, and Inspection by prosecutors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re may be no other word in law that is as obscure as the word ‘relevance’. On July 18, 2011, the requirement of ‘relevance’ was added to the revised Article 215 on Seizure, Search, and Inspection by prosecutors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article 215 (1), which stipulated that “ if necessary for criminal investigation, the prosecutors may perform seizure, search, or verification based on a warrant issued by requesting a judge of a district court,” was amended to “if necessary for the investigation of crimes, prosecutors may seize, search, or inspect articles or persons according to the warrant issued by a judge of the competent district court upon request of the prosecutors, only when there are circumstances where a criminal suspect is suspected of having committed a crime and the articles or persons to be seized, searched, or inspected are deemed to be connected with the relevant case.” The purpose of the amendment is to minimize the human rights violations of suspects by restricting the seizure and search of unrelated evidence more strictly. However, recently,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related to the seizure and search of electronic information have been pouring out since the judgment by the plenary body of the Supreme Court on Nov 18, 2016 (2016 do 348).
      ‘Objective relevance’ can be recognized not only in the cases in which the facts of suspicion stated in the seizure and search warran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same crime, but also the cases where it can be used as indirect or circumstantial evidence to prove the motive and circumstances of the crime, the means and method of the crime, the time and place of the crime, etc. In view of the details of the alleged facts in the search and seizure warrant, the subject of the investigation, the circumstances of the investigation, etc., the relevance is recognized only when there is a specific and individual relationship between the alleged fact, and the simple grounds of the same or similar crime are not sufficient, they say. On the other hand, it is acknowledged the ‘relevance’ even between separate criminal offenses in the relationship of actual concurrent crimes.
      By including indirect or circumstantial evidences of the alleged facts that motivate the seizure, and using them as direct evidence for each relevant crime that does not motivate the seizure, it sneaks away from the warrant principle. Even the Supreme Court’s judgments are not consistent.
      What is the Supreme Court misunderstanding? I would like to critically review the recent attitudes of the Supreme Court attitude toward the (objective) ‘relevance’ requirement of electronic information seizure and search, including the above decision of the plenary bo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법학에서 ‘관련성’이라는 단어만큼 불분명한 단어가 또 있을까. 형사소송법은 2011. 7. 18. 검사의 압수수색검증에 관한 제215조를 개정하면서 ‘관련성’이라는 요건을 추가하였다. ‘검사...

      법학에서 ‘관련성’이라는 단어만큼 불분명한 단어가 또 있을까. 형사소송법은 2011.
      7. 18. 검사의 압수수색검증에 관한 제215조를 개정하면서 ‘관련성’이라는 요건을 추가하였다. ‘검사는 범죄수사에 필요한 때에는 지방법원판사에게 청구하여 발부받은 영장에 의하여 압수, 수색 또는 검증을 할 수 있다’라고 정하고 있었던 구 제215조 제1항을‘검사는 범죄수사에 필요한 때에는 피의자가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 만한 정황이있고 해당 사건과 관계가 있다고 인정할 수 있는 것에 한정하여 지방법원판사에게청구하여 발부받은 영장에 의하여 압수, 수색 또는 검증을 할 수 있다’라고 개정한 것이다. 개정 취지는 ‘관련성’ 없는 증거의 압수수색을 더욱 엄격하게 제한함으로써피의자 등의 인권침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대법원은 -2021. 11.
      18. 전원합의체 판결(2016도348) 이후 전자정보 압수수색과 관련한 대법원 판례가쏟아져 나오고 있다- ‘객관적 관련성’이란 ‘압수수색의 영장에 기재되어 있는 혐의사실 자체 혹은 그와 기본적인 사실관계가 동일한 범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경우는 물론 범행의 동기와 경위, 범행의 수단과 방법, 범행의 시간 및 장소 등을 증명하기 위한 간접증거 또는 정황증거 등으로 사용 가능한 경우에도 인정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관련성은 압수수색의 영장에 기재된 혐의사실 내용과 수사 대상, 그리고 수사경위 등을 종합하여, 혐의사실과 단순하게 동종 또는 유사 범행이라는 사유만으로는부족하고,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연관관계가 있는 경우에만 인정’되는 것이라면서, 실체적 경합범의 관계에 있는 별개의 수죄 사이까지 그 ‘관련성’을 인정하고 있다.
      압수의 동기가 된 혐의사실에 대한 간접증거 또는 정황증거까지 포함하고 그 증거들을 압수의 동기가 되지 아니한 각 해당 범죄사실에 대하여 직접증거로 사용함으로써 사실상 영장주의를 잠탈하고 있기도 하다. 심지어 이와 같은 대법원의 판단에는일관성도 없다. 대법원은 무엇을 착각하고 있을까. 위 전원합의체 판결을 포함하여, 전자정보 압수수색의 (객관적) ‘관련성’ 요건에 대한 최근 대법원의 태도를 비판적으로검토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배종대, "형사소송법" 홍문사 2020

      2 이주원, "형사소송법" 박영사 2020

      3 이상진, "해킹피해시스템 증거물 확보 및 복원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2

      4 이경열 ; 설재윤, "전자증거의 적법한 압수와 별건 증거사용에 관한 실무 연구" 법조협회 68 (68): 356-390, 2019

      5 김재중 ; 이승준, "압수・수색 범위와 범죄사실과의 관련성"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7 (27): 1-33, 2016

      6 이종수, "압수수색에 있어 ‘관련성’의 의미와 ‘탐색’ 행위의 법적 성질" 법학연구원 30 (30): 257-292, 2020

      7 전승수, "압수수색상 관련성의 실무상 문제점" 대검찰청 (49) : 37-73, 2015

      8 강수진, "별도 범죄혐의 관련 정보의 압수·수색에 관한 대법원 2015. 7. 16.자 2011모1839 결정의 검토" 안암법학회 (50) : 280-326, 2016

      9 정대희 ; 이 상 미, "디지털증거 압수수색절차에서의 ‘관련성’의 문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6 (26): 95-130, 2015

      10 한기준 ; 전상덕 ; 홍동숙, "디지털 포렌식의 기술 동향과 전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13 (13): 3-19, 2006

      1 배종대, "형사소송법" 홍문사 2020

      2 이주원, "형사소송법" 박영사 2020

      3 이상진, "해킹피해시스템 증거물 확보 및 복원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2

      4 이경열 ; 설재윤, "전자증거의 적법한 압수와 별건 증거사용에 관한 실무 연구" 법조협회 68 (68): 356-390, 2019

      5 김재중 ; 이승준, "압수・수색 범위와 범죄사실과의 관련성"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7 (27): 1-33, 2016

      6 이종수, "압수수색에 있어 ‘관련성’의 의미와 ‘탐색’ 행위의 법적 성질" 법학연구원 30 (30): 257-292, 2020

      7 전승수, "압수수색상 관련성의 실무상 문제점" 대검찰청 (49) : 37-73, 2015

      8 강수진, "별도 범죄혐의 관련 정보의 압수·수색에 관한 대법원 2015. 7. 16.자 2011모1839 결정의 검토" 안암법학회 (50) : 280-326, 2016

      9 정대희 ; 이 상 미, "디지털증거 압수수색절차에서의 ‘관련성’의 문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6 (26): 95-130, 2015

      10 한기준 ; 전상덕 ; 홍동숙, "디지털 포렌식의 기술 동향과 전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13 (13): 3-19, 2006

      11 노수환,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 절차상 당사자의 참여권 및 별건 관련성 없는 증거의 압수 요건 - 대법원 2015. 7. 16.자 2011모1839 전원합의체 결정 –" 법조협회 65 (65): 641-668, 2016

      12 탁희성, "디지털 증거분석도구에 의한 증거수집절차 및 증거능력확보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6

      13 최호진,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에 있어서 해당 사건과의 관련성에 대한 검토" 3 (3): 2017

      14 신동운, "간추린 신형사소송법" 법문사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